서술트릭의 모든 것
니타도리 케이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와 독자의 추리 게임. 소설보다는 추리에 중점을 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팬데믹 : 여섯 개의 세계
김초엽 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로 지금 여기에서 읽어야 유의미한 SF 소설 모음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팬데믹 : 여섯 개의 세계
김초엽 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팬데믹을 주제로 여섯 명의 작가가 쓴 단편을 엮은 앤솔로지 형식의 책이다. 김초엽, 듀나, 정소연, 김이환, 배명훈, 이종산이 참여했고, 각각 두 편씩 '끝과 시작', '전염의 충격', '다시 만난 세계'라는 소주제로 묶였다. 이중에 가장 인상적이었던 작품은 배명훈의 <차카타파의 열망으로>이다. 처음 이 소설을 읽었을 때는 인쇄가 잘못된 줄 알았다. 그도 그럴 게 "ㅊ, ㅋ, ㅌ, ㅍ, ㄲ, ㄸ, ㅃ, ㅆ, ㅉ" 같은 한글 자음이 모두 평음 "ㄱ, ㄷ, ㅂ, ㅅ, ㅈ"으로 처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알고 보니 이 소설의 배경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 상황이 해소되지 않은 미래로, 비말 전파를 염려한 사람들이 발음을 할 때 침이 튀기 마련인 자음을 피하다 보니 "ㅊ, ㅋ, ㅌ, ㅍ, ㄲ, ㄸ, ㅃ, ㅆ, ㅉ"이 사라지고 "ㄱ, ㄷ, ㅂ, ㅅ, ㅈ"만 남게 된 것이다. 엉뚱한 상상 같지만, 한글 창제 당시만 해도 있었던 한글 자음과 모음 중 일부가 현재는 사라진 걸 생각하면 아주 불가능한 일은 아닐 수도 있다(물론 팬데믹 상황이 지속되길 바라는 것도 아니고, 이런 미래가 오기를 바라는 것도 아니다). (의도적으로) 한글 자음의 일부만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온전하게' 소설을 읽을 수 있었다는 점도 신기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술트릭의 모든 것
니타도리 케이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듀나 님의 서평(http://inpk.kr/rGuB)을 읽고 구입한 책이다. 서술트릭이란 밀실트릭, 부재증명(알리바이) 트릭, 물리트릭, 심리트릭 등과 마찬가지로 추리소설에 사용되는 트릭의 일종이다. 서술트릭은 문장 그 자체의 서술법으로 독자를 속이는 유형의 트릭으로, 가령 등장인물이 한 명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니 동명이인이라든가, 여성(남성)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남성(여성)이라는 식으로 허점을 찌르는 추리소설의 기법을 일컫는다. 


<서술트릭의 모든 것>이라는 제목이 보여주듯, 저자는 서문에서 이 책에 실린 모든 단편에 서술트릭이 내재되어 있음을 '대놓고' 알린다. 모든 단편에 서술트릭이 나오는 건 알지만 어떤 서술트릭이 나오는지는 모르는 채로 독자는 이 책에 실린 단편들을 읽게 되고, 그때마다 작가를 상대로 일종의 추리 게임을 하게 된다. 변기가 막힌 여자 화장실을 몰래 청소한 범인을 찾거나, 사진 동아리에서 필터를 몰래 바꾼 범인을 알아내거나, 고립된 산장에서 동료를 죽인 범인을 찾거나, 서점에서 산 추리소설의 진상을 밝히거나, 여러 국적의 유학생들이 거주하는 기숙사에서 간식을 훔친 범인을 찾거나, 거대한 고케시 인형에 낙서를 하려는 범죄자를 찾는 식이다. 


각 단편마다 어떤 서술트릭이 나오는지 맞히는 것이 작가가 의도한 목적이자 재미의 핵심인 책인 만큼, 각 단편이 하나의 서사로서 뛰어난 재미와 빼어난 완결성을 갖추고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만화나 영화, 드라마로는 구현하기 힘든 - 서술트릭 자체의 재미와 스릴을 체험하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추리소설 마니아라면 한 번쯤 읽어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종병기그녀 애장판 4
타카하시 신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사람이 인류의 생존을 책임진 최종병기라면 어떨까. 이러한 상상에서 출발한 만화 <최종병기 그녀> 애장판이 4권으로 완결되었다. 지난 3권에서 슈지와 치세는 인적이 드문 시골로 '사랑의 도피'를 떠났다. 우연히 발견한 라면집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모처럼 단란하고 편안한 나날을 보낸 두 사람. 부디 이런 날이 계속되기를 바랐지만, 최종병기인 치세를 찾는 자위대 사람들이 찾아오고, 슈지는 이대로 치세를 보낼지 말지 선택의 기로에 선다. 단 하나뿐인 연인의 행복과 전 인류의 행복 중에 무엇을 택해야 할까. 애초에 그것을 내가 선택할 '자격'이 있을까. 


결국 치세와 헤어진 슈지는 치세가 남긴 일기장을 가지고 고향 마을로 향한다. 고향으로 가는 길에 슈지는 사람들이 자신의 고향을 '치세의 마을'이라고 부르는 것을 알게 된다. 그곳에 가면 최종병기인 치세가 지켜준다고, 그래서 당분간은 죽을 걱정 없이 편안하게 살 수 있다고 사람들은 말한다. 치세를 끝까지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던 슈지는 마을 사람들을 지키는 것으로 속죄를 대신하고자 한다. 그렇게 억지로, 꿋꿋하게 하루하루를 보내던 슈지는 잠시 잊고 있었던 치세의 일기를 읽는다. 치세와 첫 키스를 했던 그곳에서... 


완결권이라서 그런지 수위도 높고, 결말의 임팩트도 상당했다. 21세기 초까지 남아 있었던 - '세기말 감성'이 완연한 작품이라는 인상은 여전하다. 단 하나뿐인 연인과 전 인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과연 오늘날의 사람들은 어느 쪽을 선택할까. 순정을 보기 힘든 시대임을 감안하면 후자일 것 같지만, 인류애가 파사삭 식는 때도 많으니 (그럴 만한 연인이 있다는 가정 하에) 전자일지도. 모든 것을 희생해서라도 지키고 싶은 사랑. 그런 사랑이 과연 '사랑'일까 하는 의문도 든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을 남기는 작품. 이런 작품을 가리켜 명작이라고 하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