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본성]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돈의 본성
제프리 잉햄 지음, 홍기빈 옮김 / 삼천리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로지 정치외교학을 전공하겠다는 일념으로 사회과학대학에 들어간 것이기에 따로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을 할 생각이 없었는데, 혹시 나와 맞는 학문일까 싶어 경제원론 수업을 들었다가 '아, 경제학을 공부해 놓으면 살면서 손해는 안 보겠다'는 생각이 들어 그 길로 경제학 복수전공을 신청했더랬다. 그 후로 대학 4년을 정치외교학에도, 경제학에도 미치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다가 졸업하는 바람에 백조 신세를 면치 못한 나. 이따금씩 경제학을 복수전공하길 잘 한 걸까 자문하곤 했는데, <돈의 본성>을 읽으면서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어려운 책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니!! (그러나 '읽었다'고 해서 전부 '이해한' 것은 아니다.) 

<돈의 본성>은 케임브리지대학 사회학과 교수인 제프리 잉햄이 지은 책이다. 잉햄은 사회학자로서는 드물게 사회학과 정치경제학을 아우르는 분석을 통해 자본주의와 노동, 화폐 문제를 연구하고 있는데, 경제학이 정치철학에서 출발한 학문이고, 사회학이 사회과학 전반을 아우르는 '사회과학의 꽃'과 같은 학문임을 생각하면 그리 드문 것도 아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경제학의 연구 대상으로만 여겨지기 쉬운 화폐의 속성에 대해 권력, 계급, 사회적 함의 등 사회학적 용어를 사용하여 지극히 사회학적인 관점으로 분석했다.  

 

먼저 저자는 화폐를 권력적인 것으로 규정하며, 화폐를 상품이나 다름없는 '중립적 베일'로 간주하여 화폐의 본성에 대한 논의를 무시하는 정통 경제학의 화폐 이론에 딴지를 건다. 너무나 당연해서 잊기 쉽지만, 돈은 종이 한 장, 금속 덩어리에 불과하다. (요즘은 物化되지 않은 돈도 매우 많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화폐는 군주와 귀족, 상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국가와 시민 사이의 대결의 산물로, 그것을 통제할 힘을 가진 자에게는 절대반지와도 같은 것이다. 그리고 알다시피 대결의 결과 화폐를 통제할 힘은 정부와 자산계급에 돌아갔다. 그 후 이들은 시민, 노동자에게 화폐를 지극히 공평하고 평등한 교환의 매개인 양 주입시켰고, 시민, 노동자는 화폐의 속성에 대해서는 의심하지 않고 오직 그것을 소유하는 데 골몰하는 종속자로 전락했다.  

 

   
  자본과 노동 사이 그리고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권력균형 상태가 변화하면, 이것은 화폐의 구매력에 영향을 미친다. 이때, 권력균형을 변화시키는 중심적인 투쟁은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투쟁이다. 역사적으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투쟁은 가장 중요한 계급투쟁이었다. (p.178)  
   

   

이러한 논의를 뒷받침 하기 위해 저자는 역사 속에서 증거를 찾았다. 그 중에서도 독일어와 일본어 등 여러나라의 언어에서 화폐나 지불을 뜻하는 말의 유래를 분석한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언어야말로 대표적인 사회적 산물이 아닌가!) 가령 독일어로 화폐를 뜻하는 겔트라는 말은 보상금, 희생(고대 영어로 Geild)이나 조세(고트족 언어로 Gild)라는 말은 물론이고 범죄(guilt)라는 말과도 관련이 있다. 일본어로 지불을 뜻하는 하라이라는 말은 죄 씻김 이라는 뜻이 있다. (p.190) 화폐 단위인 실링(shilling)은 살인 또는 상해를 뜻하는 스킬란(skillan)에서 왔다. (p.196) 

 

화폐-자본의 권력적 속성에 대한 논의는 현대 경제학, 특히 몇 년 전 미국발 금융위기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도 의의가 있다고 저자는 분석한다. 2차대전 이후 세계 경제의 반쪽이 미국 중심의 질서로 재편되면서 경제는 '대자본', '대규모 조직 노동', '금리 수취자'라는 3대 경제적 계급이 서로 불안정하게나마 타협하는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경제가 팽창하면서 대자본은 노동 가격 인상을 감수하지 못하고, 노동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실질소득이 감소하나, 그런 중에도 금리 수취자는 높은 이자율의 덕을 보는 데다가 탈규제로 인해 고삐마저 풀려 무소불위의 힘을 가지게 되었다. 결국 세력균형의 축은 금리 수취자, 즉 화폐자본 및 금융에게 유리하게 재편된 것이다. 그러나 고평가된 금융 팽창의 끝은 투기 거품이 꺼지는 종말인 경우가 많다. 그런 사례는 90년대말과 2000년대 초반 수차례 목격했다. 

  

앞에도 썼듯이 읽을 수는 있지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은 아니다. 하지만 책을 한장 한장 읽으면서 내가 이 책을 '어렵다'고 느낀 이유는 돈을 역사적으로 '만들어진' 산물이 아니라 날 때부터 존재했던, 주어진 것으로 자연스럽게만 여겼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다.  

돈은 주어진 것이 아니다. 인류의 역사를 통해 만들어진, 지극히 부자연스럽고 인위적인 산물이다. 자본주의 사회에 살면서 이 시스템을 움직이는 화폐, 즉 '돈'의 본성이라는 것에 대해 한 번쯤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권력적 속성이라는 개념까지 굳이 들먹이지 않더라도, 가깝게는 금융을 감독해야하는 자가 그 권력과 지위를 이용하여 서민들의 돈을 약탈하는 사건부터 돈을 가진자와 못 가진 자 사이의 불평등과 모순을 우리는 너무나도 자주 목격하고 있지 않은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리시스 2011-06-12 2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야, 복수전공 하셨군요. 사회과학대학 또한 어떤 면에서 보면 [모 아니면 도]라서 취업이 힘든 것 같기도 해요. 님 나이를 짐작할 순 없지만 저는 그랬던 것 같아요. 더 높은 학위를 요구하는 학문 같아요. 실제로도 그렇게 학문으로 나아가는 사람이 많구요. 그래도 좀 멋있어요. 정치외교학과 경제학이라~^^

키치 2011-06-12 21:42   좋아요 0 | URL
모 아니면 도 맞습니다^^ 아쉽게도 전 아직 도 쪽이네요.
그냥 공부하는 게 좋아서 선택한 전공인데 직업으로 삼으려니 참 힘드네요.
쉽게 빛 보려고 선택한 길이 아니니까 어쩔 수 없다고 스스로 위로하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