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rchill (Paperback, Reprint)
Johnson, Paul / Penguin Group USA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국인 저자의 처칠에 대한 흠모의 글. 영국을 패배에서 구한 위대한 정치가라는 평이 흘러 넘친다. 처칠이 없었다면 영국은 2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했을까. 한 인물이 역사에서 맡은 역할이 그렇게 큰가. 히틀러를 생각하면 그렇기도 하다. 처칠에 대한 찬사가 우리의 이순신 장군에 비견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itler's Scientists: Science, War, and the Devil's Pact (Paperback)
존 콘웰 지음 / Penguin Group USA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치에 부역했던 폰 브라운과 하이젠베르크의 예를 통해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과연 내가 그 위치에 있었다면 그들과 다르게 행동할 수 있었을까. 누구도 장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역사적 판단을 내려서 후세에 교훈이 되도록 하는 것이 역사가가 할 일이다. 이 둘이 나치당에 가입하지 않았고 히틀러를 적극 지지하지 않았더라도 그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고 주변에서 벌어지는 악행에 눈감았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비난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을 저자는 피력한다.


궁극적 질문은 이것이다. 과학은 가치 중립적인가. 과학자는 연구 결과가 어떻게 쓰일지 생각하지 않고 연구만 하면 되는가. 결국 과학자도 사회 속에 존재하므로, 그의 연구 결과가 어떻게, 누구의 이익을 위해 쓰일지 항상 자신의 양심에 비추어 숙고해야 한다. 양심에 비추어 올바르지 않다면 연구를 그만 두어야 한다. 모범으로는, 독일의 원자폭탄 연구가 걱정했던 것처럼 진전되지 않아 실현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알고 연합국의 맨해튼 계획에서 사임한 조지프 로트블랫Joseph Rotblat의 예가 있다.


물론 쉽지 않은 일이다. 나치 치하의 독일처럼 박해나 처형의 위협이 없더라도 당장 연구비가 끊어지거나 연구자로서의 경력을 이어나갈 수 없을 것 같다면, 과연 양심에 비추어 올바른 일이 아닐 때 그 연구를 그만 둘 수 있을까. 무기 관련 연구뿐만 아니라 유전자 조작 연구가 책에서 예로 거론되는데, 상업적 이익을 낼 수 있는지에 연구의 초점이 많이 맞추어져 있는 요즘의 세태에 비추어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한다.


저자는 사회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독립적 과학자 그룹이 있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결국 모든 것은 개인이 자신의 존엄성을 지키고자 노력할 수 있느냐에 있다. 과학뿐만 아니라 자신이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하는 어떤 일을 그만 두어도 용인될 수 있는 사회, 우리가 그런 사회를 가꾸어 가기를 희망한다.


  The greatest pressures on the integrity of scientists are exer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science and the demands of the fund-awarding patrons. At every stage of this narrative, from Fritz Haber’s decision to promote poison gas to Max Planck’s decision to raise his arm in a Nazi salute, to Paul Harteck’s acceptance of a chair made vacant by a dismissed Jew, to Heisenberg’s decision to accept Hans Frank’s hospitality in Cracow, to Wernher von Braun’s use of slave labor, we have seen the pressures of hubris, loyalty, competition and dependence leading to compromise. In the final analysis the temptation was a preparedness to a deal with the Devil in order to continue doing science. 

  The Faustian bargains lurk within routine grant applications, the pressures to publish for the sake of tenure and the department’s budget, the treatment of knowledge and discovery as a commodity that can be owned, bought and sold. Handling these pressures and realities is inseparable from the difficult task of being a good scientist today. (p. 462)

  Will scientists today, in an increasingly crisis-ridden world, in which they are ever more dependent on payments to pursue their vocations, behave like the fellow travelers under Hitler – the Heisenberg, Weizsäckers and the von Braun – taking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and the military, while claiming that as individuals they are aloof from society and politics? Will they argue that they are not in any way responsible for the uses to which their knowledge and discoveries are put? Or will they take part in bringing down the barriers that insulate defence research from public scrutiny, criticism and influence?

  There is an urgent need today for scientists who are not only skilled practitioners in their disciplines but who possess a highly developed grasp of politics and ethics, who are prepared to question, probe, expose and criticize the trends of military-dominated science. Under Hitler, the dissident scientists risked imprisonment and death; but at least, in the early days of the regime, it was possible to emigrate in the hope of doing science under more benign political auspices. Today the dissident does not risk imprisonment or death, but in the globalized domains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re are no oases of irresponsible purity into which a scientist can retreat. The best defence against the prostitution and abuse of science is for scientists to unite in small and large unofficial constituencies, to create communicating communities of scientists who, in Joseph Rotblat’s words, are ‘human beings first and scientists second’. These constituencies could provide the pluralist checks and balances that alert the public to irresponsible exploitation of science that poses threats not just to the American ‘homelands’, but to societies and peoples everywhere; to the environment, to peace, to human rights and to nature itself. (pp. 466-46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2-05-20 21: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가치는 결코 중립적일 수 없단 생각에, 그들을 두둔하는 건 아니지만,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

blueyonder 2022-05-21 08:26   좋아요 0 | URL
지금 이런 사회에 사는 것도 모두 선열들의 덕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
감사합니다~
 















매우 잘 쓴 글임을 알겠다. 왜 인기가 있는지도... 쉽지만 좋다. 우리는 지식이 아니라 지혜를 원한다. 지식은 '아는 것'이고, 지혜는 '이해하는 것'이다. "Knowledge knows. Wisdom sees." 간명하지만 멋진 말이다.


지혜는 우리가 노력으로 얻을 수 있는 것, 하지만 숙련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희망을 주는 말이다. 하지만 노력 없이는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니 거저 얻으려고 하지 말라는 경고이기도 하다.


... We don’t want what we think we want. We think we want information and knowledge. We do not. We want wisdom... Information is a jumble of facts, knowledge a more organized jumble. Wisdom untangles facts, makes sense of them, and, crucially, suggests how best to use them... Knowledge knows. Wisdom sees. 

  The difference between knowledge and wisdom is one of kind, not degree. Greater knowledge does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greater wisdom, and in fact can make us less wise. We can know too much, and we can mis-know. 

  Knowledge is something you possess. Wisdom is something you do. It is a skill and, like all others, one you can learn. But it requires effort. Expecting to acquire wisdom by luck is like expecting to learn to play the violin by luck. (p. xiii)

  Most schools today don’t teach philosophy. They teach about philosophies. They don’t teach students how to philosophize. Philosophy is different from other subjects. It is not a body of knowledge but a way of thinking—a way of being in the world. Not a “what” or a “why” but a “how.” (p. xvi)

  “Sooner or later, life makes philosophers of us all,” said the French thinker Maurice Riseling. (p. xvii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의 물레 환상문학전집 33
어슐러 K. 르귄 지음, 최준영 옮김 / 황금가지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내가 꾸는 꿈이 현실이 된다면? 지금의 현실이 사실은 꿈이라면? 장자의 호접몽을 모티브로 한 상상력의 향연. 번역의 어색함에도 불구하고 흥미롭게 읽었다. 제목에 나오는 ‘물레‘의 원어는 ‘lathe‘인데 물건을 깎기 위해 회전시키는 ‘선반‘을 말한다. 역자는 ‘돌림판‘의 의미로 물레를 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젊음의 특권은 아직 정형화되지 않음이며,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 것이다. 반면 인디언 서머의 특권은 정해진 결론을 속이는 것이다. 즉, 우아함과 몰락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는 것이다. 오십이 되면 태평함의 시기는 끝이 난다. 모든 이는 되어야 할 무엇이 이미 되었으며, 앞으로 현재의 자신을 지속하던가 아니면 새로운 자신을 만들어 내고 싶어한다. 성숙함은 한 사람 속에 상이한 우주를 쌓아 놓으며, 이 우주는 인디언 서머를 지나며 입자가속기가 섞어 놓듯 다시 섞일 것이다


  If the privilege of youth is to remain undefined, it does not know what is going to happen, whereas that of Indian summer is to cheat with the conclusion. It is the age of wavering between grace and collapse. After fifty, insouciance is over, everyone has become more or less what he was supposed to become and now feels free to continue as he is or reinvent himself. Maturity aggregates in a single person dissimilar universes that post-maturity will mix up again, like a particle accelerator. (p. 14)


  또다른 클리셰는 이렇다: 노년은 세속적 즐거움을 향한 지나친 욕구로부터 차례차례 자유로워지는 시간이다. 명상과 공부에 시간을 바쳐 권위 있는 격언으로 '신탁'을 전달하고, '장엄한 떠남'을 위해 자신을 준비하기 좋은 시간이다. 아마 요즘은 어느 누구도 이러한 이별을 매력적으로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사실, 행복한 노년의 비밀은 정확히 반대의 일을 하는 데 있다. 황혼까지 우리의 열정과 능력을 가꾸고 어떠한 즐거움도 포기하지 않는 것, 호기심을 유지하고 불가능한 도전을 계속하는 것, 마지막까지 사랑하고 일하고 여행하고 세상과 사람들에게 열려 있는 것이다. 한 마디로, 아직 망가지지 않은 능력을 시험하는 것이다.


  Another cliche is superimposed...: great age is supposed to be the time to free oneself, stage by stage, from an excessive appetite for earthly pleasures, to devote oneself to meditation, to study, to delivering oracles in the form of definitive maxims, the better to prepare oneself for the Big Departure. It is not certain that any of our contemporaries find such a farewell attractive. In fact, the secret of happy old age resides in doing precisely the opposite: cultivating until late in life all our passions, all our abilities, not giving up any pleasure, any curiosity, setting impossible challenges for ourselves, continuing, right to the end, to love, work, travel, and remain open to the world and to other people. In a word, testing our unimpaired powers. (p. 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