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셜록 미스터리
J.M. 에르 지음, 최정수 옮김 / 단숨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셜록 미스터리>는 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 시리즈에 대한 경의와 애정이 바탕이 된 작품이다. 주요 등장인물도 셜록 홈즈를 연구하는 10인의 홈스학자들, 셜록 홈즈와 외모가 닮은 러스트레이드 경감(p.21)이다. 따라서 셜록 홈즈의 팬이라면, 작품에 숨겨진 위트나 풍자를 더 깊게 즐길 수 있다. 하지만, 셜록 홈즈를 한 번도 읽지 않았거나, 좋아하지 않는다고 해도 <셜록 미스터리>를 읽는 데 지장은 없다. 나 역시도 어릴 때 아동용 홈즈를 읽은 기억밖에 없다.
포세이돈 소방위와 플리포 소방사가 긴급 출동한다. 이들의 임무는 '눈사태로 매몰된 베이커 스트리트 호텔에 가서, 홈즈학회 참석차 투석했던 10인의 대학교수를 구출'(p.16)하는 거다. 호텔 지배인 루이지 리가텔리와 레스트레이드 경감이 합류하고, 다 함께 호텔로 진입한다. 이들은 난장판이 된 호텔에서 충격적인 뭔가를 발견하는데...
<셜록 미스터리>는 일종의 액자식 구성이다. 러스트레이드 경감과 포세이돈 소방위 일행은 현장에서 발견된 기록을 읽고 있다. (액자 바깥 이야기) 이들이 읽는 기록은 1)신문기자(오드리 마르무쟁)가 남긴 기록과 2)교수들이 보낸 편지와 메모 등으로, 고립되었던 4일간의 기록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액자 속 이야기) 비중은 20 : 80 정도로 액자 속 이야기가 핵심이다. 따라서, 초반 맹활약을 기대했던 러스트레이드 경감은 그리 많이 등장하지 않는다.
10명의 교수들은 소르본 대학에서 새롭게 신설되는 홈즈학과의 정교수 자리를 노리고 있다. 임명권자이자, 학회 주최자인 보보교수의 눈에 들기 위해 애쓰며. 그러던 중, 홈스학자들이 하나둘 의문의 사고를 당하고 설상가상으로 호텔은 고립된다. 4일간 이들에겐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솔직히, 작품 속 풍자나 위트가 가슴에 와 닿진 않았다. 원인은 작가의 역량이 부족한 것도, 셜록 홈즈 시리즈에 대한 지식부족도 아니다. 문화차이다. 이건 이 작품뿐만이 아니라, 다른 프랑스권 작가의 작품을 읽을 때도 느꼈던 거다. 풍자나 위트는 굉장히 압축적이기에, 이를 제대로 느끼려면 어느 정도 문화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셜록 미스터리>의 구성은 놀라웠다. 오드리 마르무쟁의 기록이나, 교수들의 편지가 7,8페이지 내외로 짧게 짧게 이어진다. (한 페이지로 간략하게 등장하는 메모도 있다.) 그런데도 이야기의 흐름이 전혀 끊기지 않고, 기록과 편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대단하다. 이런 구성력은 쉽게 선보일 수 있는 게 아니다. (구성만 놓고 보면,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과도 비슷하다. 단, 편지와 기록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했다는 점에서 더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 사건의 진실은 러스트레이드 경감의 명쾌한 추리로 밝혀진 듯(p.359) 보이나, 끝부분에 새로운 의혹이 제시(p.381)된다. 진실은 아무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