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한 살의 유서
김은주.세바스티앙 팔레티 지음, 문은실 옮김 / 씨앤아이북스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채널A의 [이제 만나러 갑니다](약칭, '이만갑')는 항상 챙겨보는 프로그램이다. 탈북미녀들의 미모에 놀랐고, 충격적인 탈북스토리에 가슴이 아팠으며, 생소한 북한 이야기가 신기했다. 이 책의 저자인 김은주씨 역시 이만갑에서 자주 봤었고, 은주씨 어머니도 출연하신 적이 있었다. 교환학생으로 미국유학을 간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어느새 책을 썼다니...

 

<열한 살의 유서>는 은주씨가 경험했던, 굶주렸던 북한생활, 탈북과정, 지옥같은 중국생활, 한국으로 오기까지를 써내려간 생생한 기록이다. 삶과 죽음사이에서 줄타기를 했던 이 기록에 대해, 어떤 수식어를 붙일 수 있을까? 드라마로 만든다면, 300부작 대하드라마도 가능할 법한 충격의 스토리에 더이상의 할말을 잊었다. 더 가슴 아픈 것은, 이러한 것이 은주씨만의 일이 아니라, 수많은 탈북자들이 겪고 있는 진행형 문제라는 점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동포들은 중국에서, 북한에서 고통받고 있다.

 

은주씨는 왜 11살 나이에 유서를 남겨야 했을까? 어머니와 언니는 입에 풀칠할 것이라도 구하기 위해 나진,선봉으로 향했고, 은주씨는 홀로 빈 아파트에 남겨져 있다. 장판까지 뜯어 판, 아파트는 전기도 끊겼고, 먹을 것도 없었다. 겨우겨우 무시래기 조각을 모아 맹탕인 국을 끓여(p.12) 버텨보지만, 배고픔을 그녀를 죽음으로 몰아갔다.

 

"잠을 청하려고 누우면, 쇠약해질 대로 쇠약해진 나를 방바닥이 잡아먹는 것 같은 느낌에 사로잡혔다. (중략) 문득 나는 내가 죽음의 문턱에 서 있음을 깨달았다. (중략) 이렇게 아무런 흔적도 남기지 못하고 가 버릴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갑자기 나는 유서를 쓰기로 마음 먹었다."(p.12.13)

 

어머니와 언니를 돌아왔지만, 상황은 전혀 나아지지 않았고, 세 모녀는 탈북을 결심(p.66)한다. 우여곡절 끝에 탈북에 성공(p.92)하지만, 기다리는 건 인신매매. 세 모녀는 단돈 2천 위안에 팔려 간다. p.106이하는 지옥 같았던 중국생활 이야기인데, 이만갑이나 다른 곳에서도 들을 수 없던 이야기라 더욱 가슴 아팠다. 세 모녀는 팔린 중국인 집에서, 죽도록 일만 하고 온갖 냉대와 모욕을 견뎌야 했으며, 어머니는 아기 낳을 것을 강요받는다.

 

특히, 슬펐던 건, 은주씨 어머니와 은주씨가 계속해서 지옥 같았던 중국인 집으로 찾아가는 장면이었다. 북송 후(p.135) 다시 중국으로 와서, 끔찍한 소굴로 다시 들어갔고,(p.152) 춘절에도 지옥으로 찾아간다.(p.164) 왜? 거기엔 원치 않는 임신이었지만, 아들이 있었다. 아, 눈물겨운 모생애. 또한 중국 땅에서 그들은 기댈 곳이라곤 없었다. 인신매매 당해서 팔려간 곳이었지만, 그런 곳이라도 바라보고 기대야 하는 현실, 너무 슬프지 않은가?

 

은주씨는 상하이에 와서, 남한에 대해 조금씩 알게 되고 한국으로 갈 결심을 한다. 하지만, 한국행은 쉽지만은 않았다. 여러 루트중에 몽골루트를 선택했는데, 죽음의 고비사막을 지나야(p.187) 했다. 끝없는 모래사막을 견디지 못하고 죽어나가는 사람이 수두룩했다. 하지만, 은주씨 모녀는 결국, 한국행을 성공한다.

 

<열한 살의 유서>를 읽으며, 탈북자에 대한 더 큰 관심이 필요하다는 걸 느꼈다. 같은 민족이 인신매매 당해 팔려가는 현실을 그냥 보고만 있을 것인가? 또한, 한국에서 탈북자들이 느꼈을 소외감이나 경제적 어려움도 걱정이 됐다. 오직 한국행만을 꿈꾸며 죽을 각오를 하고 넘어왔는데, 한국은 꿈에 그리던 이상향만은 아닌 것이다. 아마존 정글보다 더 치열한 경쟁사회니, 탈북자들이 제대로 적응할 리가 없다. 다행스러운 건, 은주씨와 어머니는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는 있는 듯 보인다는 것. 특히 은주씨는 서강대에 다니며, 교환학생으로 미국유학도 다녀왔다. 하지만, 책에는 미처 적지 못한 고민거리가 하나 가득할 것이다. 탈북자에 대한 인식재고, 탈북자 지원시스탬 등을 다시 한 번 돌아봤으면 좋겠다.

 

<열한 살의 유서>는 한국인이라면, 한번 읽어야 할 책이다. 북한동포도 우리 민족이고 우리의 현실이다. 굶주리지 않고, 탈북자로 떠돌지 않아도 될 날이 오길... 남과 북이 대립하지 않고, 언젠가 하나가 되길... 간절히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