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국의 뒷길을 걷다 - 김인숙의 북경 이야기
김인숙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7월
평점 :
<제국의 뒷길을 걷다>의 부제는 '김인숙의 북경 이야기'이다. 여행기 같은 느낌을 풍기지만 일반적인 여행기는 아니다. 혹시 북경사람들의 생활내지 먹거리, 북경생활의 에피소드를 기대한 분이 있다면 '뭐지, 뭐야?'할지 모르겠다. 이 책은 중국의 상징 '자금성을 중심으로 주요 건축물들에 얽혀 있는 역사적 이야기를 풀어간다. 생활, 먹거리, 에피소드, 거의 없다. 저자의 생생한 체험이 더해지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핵심은 중국 근현대사에 맞추어져 있다. 생생함이 묻어 있는 역사서 같다고나 할까.
중국 근현대사의 중심인물인 서태후, 마지막 황제 푸이, 황후 완룽과 관련된 이야기가 상당히 많다. 약탈당하고 무너져 가는 왕조의 비애를 표현하고 싶었던 걸까? 아니면 황제에서 일반인으로 전략한 푸이의 고뇌를 그리고 싶었던 걸까?
푸이는 세 살에 황제에 올랐다. '신해혁명에 의해 중화민국이 선포되자 그 이듬해 일곱 살 나이에 퇴위 선언을 하고, 열아홉 살에는 자금성에서 쫒겨 났으며, 만주국 황제가 되기도 한다.'(p.24참조) 험란한 삶의 종점은 포로수용소였다. 2차 세계대전 후 중국으로 송환된 그는 무려 9년간이나 사상개조를 받고 '보통 사람'이 되었다. 말 그대로 드라마같은 삶. 포로가 된 푸이의 궁색한 처지가 잘 드러나는 일화가 있다. 수용소에서 연필상자 접는 부역을 시켰는데, 푸이는 제대로 해내지 못한다. 그러자 과거의 대신들이 그를 비난하기 시작한다.(p.28참조) 한때 그를 쳐다 보지도 못했던 그들이 말이다.
황후 완룽에 대한 이야기도 인상적이다. 완룽은 열일곱 살때 푸이와 결혼한다. 국모인 황후의 자리에 오르지만 푸이와의 결혼은 그리 행복한 선택이 아니었다. 푸이는 성기능을 상실해서 완룽과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하지 못했다. (풍문일 뿐이지만 제반사정으로 볼 때, 진실에 근접한 것으로 보임) 또한 이미 퇴위한 명목뿐인 황제와의 생활은 외로울 수 밖에 없었다. 지독한 아편중독자가 되어 무너져 버린 완룽, 그녀에게 아편은 악마의 유혹같은 마지막 도피처였다. 해방군에 끌려다니다 행려병자로 최후를 맞이한 완룽, 황후가 아닌 삶을 살았다면 더 행복하지 않았을까?
중국에서 오랫동안 작품구상을 했던 작가의 첫 작품이 소설이 아닌 것은 조금 의외였다. 소설가 김인숙이란 생각이 뭐낙 강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저자는 소설보다 더 매력적인 작품을 선보였다. 여정이 바탕이 된 역사 이야기의 색다른 매력을 느껴 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