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하연애
우메다 미카 지음, 오세웅 옮김 / 북애비뉴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연하연애>는 여성작가에 의한, 여성들의 이야기다. 그것도 10살 가까이 어린 연하와 사랑을 나누는 30대여성들의 이야기. 이런 생각이 들지 모른다. '아, 그럼 여성을 타킷으로 한 책이네. 남자는 볼별일 없겠는걸.' 아니다. 물론 여성들이 더 많은걸 느끼고 공감하겠지만 남성들 역시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사랑은 남녀노소 누구라도 공감할 수 있기에.
<연하연애>는 미나코, 아사코, 미호, 세 30대 여성이 주인공이다. [미나코] 35세, 두 살된 딸 사키를 키우는 세련된 싱글맘. [아사코] 36세, 외국인투자 IT벤쳐기업 과장. 이혼녀. [미호] 31세, 성실한 출판사 편집자였음. 프랑스 유학계획. 이야기는 세 여성의 시끌벅쩍한 수다(^^)로 시작된다. 프랑스로 유학가는 미호의 송별회로 세 여성이 뭉친 것이다. 남자 셋이 모이면 여자얘기, 음담패설이 오간다더니 여자들도 셋이 모이니 남자얘기를 하는구나. 최대 이슈는 아사코가 이상형이라며 공개선언했다는 부하직원 노부유키.
세 여성이 주인공이라고 했지만, 정확하게는 미나코, 아사코가 중심이고 미호는 조미료같은 역할이다. 미나코와 아사코의 연하연애를 살펴보자. [미나코] 프리터인 연하남 에이타와 연애중이다. 그가 바텐더로 있던 바에서 우연히 만나 사랑을 나누게 된 것. [아사코] 8살이나 어린 부하직원 노부유키에게 호감을 느낀다. 연애라 해야할지 아직은 애매한 상황. 이후 진행되는 양상을 보면, '미나코 >>> 에이타', '아사코 <<< 노부유키'로 중심이 쏠려 있다. 에이타가 딸까지 딸린 미나코와 결혼하고 싶어하는 반면, 아사코는 싱싱한 노부유키에 몸이 달아있기 때문이다.
연하연애의 문제점이 부각된다. 역시 가장 큰 문제는 경제력이었다. 노부유키는 계약직이고 연봉도 아사코의 절반밖에 안되는 현실에 컴플렉스를 느낀다. 이는 가까스로 연애관계에 다다른 이들에게 시한폭탄같은 것이다. (p.185이하 갈등의 근본원인은 바로 이것.) 또한 에이타 역시 경제력이 문제다. 프리터인 그는 스타벅스 커피값도 없어 쩔쩔맨다.(p.198) 경제력있는 연상녀와 경제력없는 연하남, 이들은 난관을 어떻게 헤쳐나갈까?
구성상 주목할 것은, 다양한 여성들을 등장시켜 여성들의 다양한 가치관과 선택가능성을 부각한다는 점이다. 인기절정의 만화가로 남편에게 가사일을 전담시킨 진정한 커리어 우먼 '마키하라 아츠키'(p.176), 남성의 경제력에 의존하는 모델출신 '스즈키 마리에'(p.191), 광고대리점에서 일하는 '사에구사 나오미'(p.42), 프리랜서 작가 '이노우에 사오리'(p.50)등등 이들의 모습을 바라보며 마리코와 아사코는 미래를 고민한다.
저자가 의도했던 아니건, 이 소설은 페미니즘적 시각으로 연결된다. 당당하게 사랑을 꿈꾸고 미래를 설계하는 그녀들에게 남자는 '필수'가 아닌 '선택'일 뿐이다. 갈등하고 절교위기(p.287)까지 몰리지만, 결국 영원한 건 미나코와 아사코의 우정뿐이었다.(p.152이하,277이하) 노부유키의 승진과 예견된 이별, 그리 놀랍지 않다. 힘겨운 가면극이 드디어 끝났구나. <연하연애>, 당당한 여성들의 우정, 고민, 갈등, 사랑을 엿볼 수 있는 소설이다. 20,30대 여성은 반드시 읽을 것! (연상녀와의 연애를 꿈꾸는, 혹은 연애중인 남성도 반드시!^^)
* 광개본으로 만들어진 책이다. 쫙쫙 갈라지진 않을까 읽는내내 조마조마했다. 제작단가가 더 비싼 광개본이 값어치를 못하는 것 같다.
* 각주가 보충되었으면 한다. p.102 '없네없네 게임'. p.118 아사코와 노부유키의 '마이 보디가드 사건'.(각주도 아니고 '참고'라고 간략히 언급된 건 부족하다.) 친절한 각주는 독자에 대한 예의다. 또한 미나코와 아사코가 속옷가게에서 브래지어를 입어보는 것을 '시착'한다고 표현(p.97이하)하고 있다. 브래지어를 '입는다'고 표현하는 것이 어색해서 그랬는지 몰라도 상당히 거부감드는 표현이다.
* 책 뒤쪽에 광고가 실려있다. 정말 실망이다. '1장짜리 광고가 뭐 그리 대수냐'고 반문할지 모른다. 하지만, 책을 정말 소중히 여기는 이에겐 천인공노할 일이다. 정말 화가난다. 얼마전 와타야 리사의 신작도 광고가 실려있어 분노했던 적이 있다. 이런 책을 또 보다니. 그렇게 광고가 하고 싶었단 말인가? 돈주고 구입한 독자들에게 이는 원치않는, 강요된 전단지다. 전단지는 버리면 그만이지 이건 뭐 버릴수가 있나. 난 돈 안냈으니 여기서 그만하겠다. 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