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 놀이
크리스토프 하인 지음, 박종대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이런 독특한 소설은 처음이다. '아멜리 노통브'의 <시간의 옷>을 읽고 느꼈던 충격을 다시 한번 느꼈다. <나폴레옹 놀이>는 변호사 '피아르테스'에게 보내는 '뵈클레'의 편지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뵈클레가 늘어놓는 장광설이 이어지는 것이다. 놀라운 건 장광설이 미친 듯 흥미롭다는 점이다. 흥미로움과 장광설, 쉽게 어울릴 수 없는 것의 미묘한 결합, 놀라지 않을 수 있겠는가?

유명 변호사였던 뵈클레는 살인사건의 피의자로 감방에 갇혀 있다. 정당방위, '불가피한 살인'을 주장하는 그는, 변호사 피아르테스에게 사건전말을 이야기한다며 편지를 보낸다. 우리가 읽게 될 내용이 바로 이 편지이다. 뵈클레의 편지는 딱딱하고 틀에 박힌 것이 아니었다. 어린 시절, 계모 이복동생을 포함한 가족들, 동서로 갈라졌던 독일의 현실, 대학시절, 나폴레옹론 등 흥미로운 이야기가 망라되어 있다. (뵈클레의 어린 시절부터 이야기되기에 성장소설 느낌도 풍긴다.)

도대체 뵈클레가 원하는 건 뭘까? 무엇 때문에 자신의 어린 시절이야기부터 계모, 이복동생 이야기까지 늘어놓는 걸까? 물론 표면적인 이유는 범행 동기를 설명하고 무죄를 주장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석연치 않다. 사형에 처해질 수도 있는 죄수가 늘어놓는 이야기라 보기엔 너무나 여유 넘친다. 이런 의문은 이야기 마지막에 풀린다. 뵈클레, 이 사람은 일반인의 상식으론 받아들일 수 없는 인간이었다. '광기어린 천재'쯤이라고 해둘까?

뵈클레가 펼쳐내는'나폴레옹론'은 작품의 중심이다. 나폴레옹의 후계자를 자처하고, 나폴레옹에서 범행의 정당성을 찾으려 하는 뵈클레.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을 뵈클레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나폴레옹은 분명 모스크바 출정이 그전에 자신이 이룬 모든 것을 한방에 날려 보낼 수도 있다는 것을 예감하고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이전의 모든 모험이 성공적으로 끝났다는 사실이 그를 그리로 떠나게 했고, 이성의 만류에도 승산 없는 출정을 감행하게 했고, 도박사의 심정으로 모든 것을 이 하나에 걸게 했습니다. 그 역시 자신이 획득한 모든 자신을 지키기 위해 승리를 거두려고 했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살기 위해 놀이를 계속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죠. 그래서 모스크바 출정이라는 수를 던졌습니다."(p.165)

즉, 자신의 살해 역시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처럼 살기 위해 벌인 일종의 놀이라는 것이다. 이어 '당구'에 대한 열정이 서술되고, 본격적으로 바크날 살해사건을 이야기(p.194이하)한다. 삶 자제를 하나의 놀이로, 세상을 놀이판으로 여기는 그의 궤변에 가까운 논리, 그렇구나.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이 연상되기도.) 마지막 반전은 놀라웠다. 또한 다양한 해석도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 꼼꼼하게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헬무트 뵈티거는 이 작품을 '훗날의 문학사에 오래오래 거론될 책'이라고 평했다. 공감한다. 독특한 구성과 실험정신, 뵈클레의 괘변과 유머, 놀라운 흥미진진함, 단순한 소설차원을 뛰어 넘는 작품이다.

 

* '놀이'라고 번역된 독일어 'spiel'은 놀이라는 뜻 외에 게임, 도박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고 한다.(p.94 역자주 참조) 본문에서 '놀이'가 어색하게 느껴질 때가 있는데, 이때는 게임과 도박으로 바꾸어 읽으면 휠신 이해가 쉽다. 즉, 놀이,게임,도박의 의미를 문맥에 맞게 그때 그때 맞춰서 읽어야 한다는 것^^

* 뵈클레가 이야기하는 어린시절, 아버지공장의 여직원들 이야기, 이복동생과의 우표판매 에피소드, 대학생활 이야기등은 흥미진진했지만, 길게 이야기하지 않았다. 읽어 보시길.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04 2010-09-10 2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닥 재미있게 읽지는 않았지만..
기묘한 내용이라 쉽게 읽혔던 책입니다.
추천해주신 시간의 옷, 추천 감사합니다.

리뷰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