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콜릿을 만드는 여인들
카트린느 벨르 지음, 허지은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책장을 넘기기 전, 그 책에 대한 기대치를 가늠해 보곤한다. <초콜릿을 만드는 여인들>은 기대치와 상당히 어긋났다. 어떤 의미이냐, 기대에 200%이상으로 부응했다는 말이다. 기대 했지만, 이렇게 재미있을 줄은 몰랐다. 이렇게 대단한 작품인 줄은 몰랐다. <초콜릿을 만드는 여인들>은 초콜릿처럼 달콤하고, 향긋한 이야기다. 무척 재밌고, 흥미진진하며 뜨거운 감동까지 있다. 정말 완벽한 작품.
<초콜릿을 만드는 여인들>을 한 문장으로 말한다면, 카카오 콩을 구하려는 '생 줄리앙 뒤 바스트 몽드 수녀원'(이하 생 줄리앙 수녀원), 초콜릿 수녀들의 좌충우돌, 포복절도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읽는 내내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 작품은 무조건 영화화 되어야 한다', '국내에서 영화화되면 좋을텐데…'라는 생각. 그 정도로 흥미진진하다. 이토록 가독성 좋고 재미있는 프랑스 문학은 근래 본 적이 없다.
먼저 한 여인에 대해 말을 해야겠다. '마리아 막달레나 드 킵다'. 1871년, 프랑스를 여행중이던 콜롬비아 아가씨는 '생 줄리앙 수녀원'에서 여생을 보내기로 결정한다. 가족들은 너무 가슴 아파한 나머지 타협안을 생각해 낸다. 수확한 콩의 일정량을 수녀원에 대주는 대신, 일년에 한번은 수녀원을 떠나 집을 방문해야 한다는 것. 여기에 '마리아 막달레나 드 킵다'가 알고 있던 초콜릿 비법이 더해져, 생 줄리앙 수녀원의 초콜릿은 수녀원을 지탱해주는 수입원이자 명물이 된다.
그러나, '생 줄리앙 수녀원'의 영광은 사라지고 이젠 건물 수리조차 하지 못하는 상태다. 교구청에서는 '생 줄리앙 수녀원'을 팔아버리려는 계획까지 세운다. 수녀원의 유일한 희망은 초콜릿, 오직 초콜릿이다. 다행스럽게 황금카카오 상을 수상해 한줄기 희망의 끈을 이어간 수녀원은 이를 기회로 초콜릿을 만들려 하지만 초콜릿 원료인 카카오 콩이 바닥난 상태. 수녀원은 마리아가家와의 계약조건-적어도 십년의 한번씩 카카오 콩 경매장을 찾아가야 한다(p.39)-을 떠올리며 두명의 수녀를 파견하기로 하는데…
그 두명은, 도도한 카리스마 '안느 수녀', 수녀원 최연소인 '수련 수녀 자스민'이다. 원래는 기예메트 수녀가 안느 수녀와 가기로 했지만, 불의의 사고로 최연소 자스민이 대타가 된 것. 이들은 과연 훌륭하게 임무를 수행해 낼 수 있을까? 계약조건을 지키고 질좋은 카카오 콩을 가져 올 수 있을까?
이후 이야기는 이들 수녀가 콜롬비아 마리아家 농장을 찾아가는 좌충우돌 여정이다. 오랜시간 수녀원 안에서만 살아가던 이들에게 바깥세상은 카오스, 그 자체다. 특히 안느 수녀는 핸드폰, 핸드프리조차 모르고, 비행기 공포증에 힘겨워 한다. 명문가 출신으로 도도한 안느 수녀의 또다른 모습. 수녀들의 고난은 시작일 뿐이다. 길 안내자로 소개받은 '이그나시오 라 파즈'는 이미 사망했고(p.146), 옷가지를 도둑맞고(p.170), 구더기로 만든 음식을 먹는다. 또한 건너야 하는 강에는 끔찍한 피라니아떼가 우글거리고(p.176), 악어가 돌아다닌다.(p.192) 하지만 수녀들에게 가장 큰 위협은 거대 초콜릿 회사 MMG와 이들의 청부를 받은 청부업자들이다.
이들은 '성 줄리앙 수녀원' 초콜릿의 비밀을 훔쳐내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다. 황금 카카오 대회를 위해 파견된 클로틸드 수녀를 습격하고, 수녀원에 잡입해 비밀을 훔쳐내고, 안느와 자스민을 방해한다. 하지만, 청부업자 중 한명인 제레미는 영화 '나홀로 집에'의 어리숙한 도둑처럼 고문서대신 행주를 훔치는 등 바보같은 행동을 한다. 과연 안느 수녀와 자스민 수련수녀는 카카오 콩을 찾아, 위기에 빠진 수녀원을 구할 수 있을까? 수많은 위험을 헤쳐 나갈 수 있을까? 읽어 보시길.
<초콜릿을 만드는 여인들>, 대단히 흥미진진한 작품이다. 이런 작품을 '흥미진진'이라고 밖에 표현하지 못하는 표현력이 아쉽기만 하다. 일단 읽어보시길, 정말 재미있다. 절대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