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롱기누스의 창
아르노 들랄랑드 지음, 허지은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단테의 신곡 살인>에 이어 접하는 아르노 들랄랑드의 두번째 작품이다. '단테의 신곡'을 소재로 삼았던 그가, 이제 '롱기누스의 창'과 '인간 복제'를 소재로 돌아왔다. 처음 '롱기누스'가 무엇 뜻하는지 알지 못했다. 호기심반 걱정반이었지만, 아르노 들랄랑드를 믿기로 했다.
'롱기누스'는 사람 이름이었다. 모난 얼굴에 사팔인 눈을 가진 25살 로마군인.(p.16) 롱기누스는 골고타 언덕에서 십자가에 못박힌 예수를 창으로 찔러 죽인다. 바로 그때 그가 손에 쥐고 있던 창이 '롱기누스의 창'이다. 롱기누스는 자기 손으로 그리스도를 찔렀다는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자신의 영혼의 변화를 알려한다는 강렬한 의무감에 사로잡힌다.(p.32참조) 창을 숨기고 골고카 언덕에서 벌어졌던 일을 자세히 적어 기록으로 남기는 롱기누스.
시간은 흘러 2006년. 이후 이야기의 핵심인물은 '주디스'다. 그녀는 스피넬리 교황의 특별고문으로 교황청의 깊은 신임을 받고 있다. <단테의 신곡 살인>의 호프, 흑란 피에트로에 대응하는 인물이 흥미롭게도 여성캐릭터다. 그녀는 자궁내막 종양때문에 자궁제거 수술을 권유받고 있다.(p.92) 아기를 원하지만 아기를 가질 수 없는 현실. (이런 설정은 이야기 뒷부분의 복선이다. 여기까지만^^)
'롱기누스의 증언'이 발견되어 이를 바탕으로 교황청은 므깃도에 탐사대를 보낸다.(p.49) 탐사대는 진짜로 추정되는 '롱기누스의 창'을 발견하는 개가를 올리지만, 갑작스런 습격을 받고 몰살당한다. 유일하게 한 사람, 다미앙 셀츠너만이 행방불명되고…바티칸은 주디스에게 다미앙 셀츠너 추격 및 사건 해결을 맡긴다. 이제부터 본격적인 시작이다.
듬직한 보디가드 안젤모와 함께 다미앙을 추적하는 주디스. 이스라엘 모사드요원들의 도움으로 다미앙을 발견하지만 그마저 정체불명의 누군가에게 살해(p.130)당하고 주디스 일행은 위험에 빠진다. 다미앙이 죽으며 남긴 한마디. "악수스 문디, 그들을 찾으시오!"(p.130) '악수스 문디'는 도대체 뭐란 말인가?
악수스 문디의 정체, 음모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언급하지는 않겠다. 흥미로웠던 것은 한국인 캐릭터가 등장한다는 점이다. 생명공학의 권위자, 박이원 박사. 비록 그는 악수스 문디를 돕는 악의 캐릭터지만 한국인이 등장한다는 점 하나만으로 좋았다. 한국의 생명공학이 상당히 발달했음을 저자는 알았던 것일까? 제주도도 살짝 언급된다^^
아르노 들랄랑드는 이 작품을 위해 상당한 준비를 한 듯하다. 생명공학에 대한-특히 인간복제-깊이 있는 지식없이는 쓰기 힘든 내용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특히 악수스 문디의 4명의 박사들이 브리핑하는 장면(p.170이하) 같은 것.
<롱기누스의 창>은 대단한 작품이다. 예수를 찔렀던 롱기누스의 창을 바탕으로, 놀라운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것이 허무맹랑한 것이 아닌 실현 가능한 것이기에, 이야기는 한층 힘을 받는다. 아르노 들랄랑드 특유의 속도감있는 전개, 놀라운 묘사는 이 작품에서도 여전하다. 안젤모와 정체불명 사내의 나일강을 배경으로 한 기차안 격투장면(p.197이하)은 백미다. 만약 이 작품이 영화화 된다면, 이 부분이 어떤 영상미로 구현될지 궁금하다.
마지막, 교황청의 힘든 결정(무엇에 대한 결정인지 밝히지 않겠음)과 주디스의 새로운 역할은 인상적이었다. '그래, 주디스는 아이를 가지고 싶어 했으니까.' 저자는 약간의 여운을 두고 이야기를 끝내고 있는데, 혹시 속편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도 든다. 에른스트 하인리히가 두 눈 시퍼렇게 뜨고 노리고 있잖은가? 아무튼.
아르노 들랄랑느의 전작 <단테의 신곡 살인>서평에 '흥미로워 밥도 안먹고 읽었다'는 일화를 언급했는데, <롱기누스의 창>은 <단테의 신곡 살인>을 능가한다. 마음에 드는 작품이다. 이제 아르노 들랄랑느란 이름 하나만으로 믿고 작품을 선택할 수 있을 것 같다. 강력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