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상식 바로잡기 - 한국사 상식 44가지의 오류, 그 원인을 파헤친다!
박은봉 지음 / 책과함께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를 읽으며 이런 생각을 했다. '왜 이렇게 잘못 알고 있는게 많은걸까. 잘못된 역사교과서 탓일까? 교육정책의 문제일까? 도대체 뭐가 문제야?' 학창시절 열심히 공부했던 것이 진실이 아님을 알고 잠시 허탈했다. 이럴수가. 바람직한 건 '바로잡을' 필요없이 애당초 똑바로 아는 것이리라.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을 어린 학생들에게 적극 권하고 싶다. (책 뒤를 보니,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버전이 따로 출간된다고 한다.)

이 책은 잘못 알려진 한국사 상식을 바로 잡아주는 길잡이다. 크게 '어원' '인물' '유물,유적' '책,문헌,사진' '정치,사회,생활'에 관한 잘못된 상식으로 분류하고, 챕터당 10페이지 내외 분량으로 오류를 바로 잡는다. 마지막에 '사료속으로' '더 읽을거리'를 마련해 입체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한 점도 주목할만 하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교과서에 실렸던 명성황후의 사진은 진짜다?'(p.333이하)였다. 저자는 무려 4페이지에 걸쳐 다양한 사진을 제시하며, 기존 명성황후 사진으로 알려졌던 것이 진짜가 아님을 설명한다. 놀랐다. 국사교과서에 실려 있던 사진을 명성황후의 모습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라니. 도대체 편찬자는 고증작업을 어떻게 한 것인가? 다행히 지금은 논란을 고려, 사진을 뺐다지만 안타까움은 여전하다.

고종황제의 사진이 실려 있는데(p.347), 이야기 흐름과는 무관하게 흥미로웠다. 사진속 고종은, 근엄하고 엄숙한 국왕보다는 친근한 이웃 아저씨 같다. 약간 쑥스러워 하는 듯한 표정도 볼 수 있다. 문득 이런 생각도 한다. '사진이 아주 예전부터 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그러면 역대 임금의 모습을 전부 알 수 있지 않는가. 양귀비나 유비의 얼굴 모습도 알 수 있지 않겠는가. 아무튼.

'<삼국유사>에 따르면 고조선은 기원전 2333년에 건국되었다?'(p.285) 역시 인상적이었다. 거의 정설처럼 배워왔던 것이 잘못된 것이었다니…<삼국유사>는 고조선 건국 연대에 대해 이렇게 서술하고 있다. "단군왕검은 요임금이 즉위한 지 50년인 경인년에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비로소 조선이라 불렀다."(p.286) 그러므로 요임금 즉위년을 확정해야 고조선의 건국년도 확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여기에 대해 일연은 '요임금 즉위 50년 정사년'을 주장한다. 그러면 고조선 건국년대는 기원전 2284년이 된다. 기원전 2333년은  동국통감의 저자 서거정은 '요임금 즉위 무진년'설에 따른 것.

그 외에도 '최영 장군은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고 말했다?'(p.112), '최익현은 대마도에서 단식 끝에 굶어 죽었다?'(p.190), '윤관이 개척한 동북 9성은 여진족의 간청으로 돌려주었다?'(p.365)등이 흥미로웠다. 한국사에 관심이 많은 사람에겐 필독서,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