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로
한유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 '그리고 음악' 집중분석

글쎄...작가 한유주에 대한 평을 읽어보면서 '과연 그래? 그렇단 말야?"라고 생각했다. 뭔가 그들은 느꼈기에 그런 말을 했겠지, 내가 알지 못하는 뭔가를 그들은 알고 있겠지.  한유주의 작품을 읽으며 느낀 감흥은 전혀 없다. 공감도 안 되고, 등장인물의 내면을 따라 쭈욱 서술되는 이야기도 공허하게만 느껴질 뿐이다.

일단 기본적인 서사가 없다. 그냥 '내면의 흐름'(맞는지 모르겠다)에 따라 짧은 호흡의 문장들이 이어진다. '상상은 소리를 제거한다. 공백. 환영은 참일까, 거짓일까. 공백. 상상은 나와 그들을 떼어놓는다. 공백. 그들은 나와 완벽하게 분리된다.'(<달로>p.110)식으로. 이런 짧은 호흡의 문장은 뚝뚝 끊어져 어색하고 생기 없다. 물론, 소설에 반드시 서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독자를 몰입시키지 못하는 어색한 문장들은 저자의 자기만족일 뿐이다.

'환영'이라는 인물을 바라보는 '나'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환영'이라는 이름은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다음 부분을 보자. '나는 환영의 옆얼굴에 흘긋 눈길을 준다. 환영은 눈을 감고 있다. 환 영. 나는 자꾸만 그림자처럼 사라지는 이름을 되뇌어 본다.'(p.99)  저자는 환영幻影이라는 단어를 염두에 둔 건 아닐까. 환영幻影처럼 등장인물 '환영'은 그 존재자체가 모호하다. 음악당안 보이지 않는 환영의 얼굴처럼(p.101) 환영은 몰개성적이고, 특징 없다.

환영의 어머니는 익사한 것으로 언급되는데, 그 사실을 아무도 믿지 않는다. 염을 할 때 삼베옷 밑으로 물기가 배어 있는 것을 본 사람은 환영밖에 없고, 몸을 마지막으로 만져본 사람도 환영뿐이었다.(p.107참조) 이 부분 서술을 보면 환영이란 존재는 더욱 이해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이런 의문이 든다. 과연 환영이란 존재는 실제 하는가? '나'와 환영의 관계는 뭐지? 혹시 동일인물의 별개의 인격은 아닐까?

이런 의문은 이야기 마지막이 극적으로 표출된다. '나'가 환영에게 어머니에 대해 묻자, 환영은 몸을 떨며 점점 사라져 간다. 뒤돌아보는 일도 없이.(p.120) 그리고 '나'가 환영의 대답을 헤아리며, 자신의 존재를 다시금 느낀다. 이는 이들이 본래 하나의 인격임을 강하게 암시한다. 이를 통해 저자가 하고자 하는 말은 무엇일까?

저자는 언어에 대한 회의를 품고 있다. 뚝뚝 끊어지는 어색한 문장도, 생뚱맞은 비유도 저런 연장선상에서 나오는 의도적인 장치일 수도 있다. 저자는 대안으로 '음악'에 희망을 건다. '말'의 근원에 근접했다고 여기는 것이다. 하지만 음악역시 완벽한 대안이 될 수 없다. 이를 알기에 더욱 곤혹스럽다.

등장인물에 대한 애정 없이, 저자의 글쓰기에 대한 확신 없이, 그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저자가 말하려는 그 무언가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신뢰를 보낼 수 없는, 현실. 오랜 시간에 걸쳐 다시금 읽는다면 과연 뭔가 느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