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년간의 평화수업 - 소년원에서 명문대학 로스쿨까지, 감동적인 교실 이야기
콜먼 맥카시 지음, 이철우 옮김 / 책으로여는세상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아이들에게 평화주의 정신을 가르치는 것을 시작해야 합니다. 이것은 우리 아이들에게 군국주의를 이겨낼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예방접종과 같습니다. 나는 전쟁보다는 평화를 가르치고, 증오보다는 사랑을 가르칠 것입니다" - 아인슈타인 (p.25)
워싱턴 포스트에서 28년간 칼럼니스트로 일한 저자는, '담장없는 학교'에서 글쓰기에 대한 수업을 부탁받고 그 제의를 기분좋게 받아들인다. 저자는 이때의 경험을 '말할 수 없는 흥분과 벅차오름'이라 표현한다. 이에 학교측은 정식으로 글쓰기 수업을 맡아 줄 것을 제의하는데, 그는 이렇게 말한다. "그보다는 오히려 평화를 가르치고 싶습니다."(p.14) 이렇게 그의 평화수업은 시작되었다.
그의 평화수업은 많은 호응을 얻고, 조지타운 로스쿨, 오크힐 청소년센터, 워싱턴센터등 다양한 단체에서 강의가 이루어진다. 이후는 평화수업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서술된다.
소년원인 오크힐 청소년센터에서의 평화수업은 평화수업의 의미가 가장 크게 부각될 것이라 생각했다. 과연 정상에서 일탈한 청소년은 평화수업을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예상대로 순탄하지 않았다. '똥 씹은 얼굴로 앉아 있는 아이들'(p.30) 저자는 첫 만남을 이렇게 표현한다. 그들은 수업때문에 자기가 하고 싶은 운동, TV시청, 카드게임등을 못해 불만이 가득한 것이다. 한 아이가 이런 질문을 던진다. "이 수업이 내가 여기서 나가는 데 도움이 되나요?" 상다이 기분나쁠 수 있는 질문이지만, 저자는 멋진 답변을 한다. "꼭 그렇다고 할 수는 없다네. 하지만 이 수업이 자네가 다시 여기에 들어오지 않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을 걸세."(p.32)
명문고등학교인 스톤리지 고등학교에서의 평화수업. 저자는 학생들이 평화수업을 듣기 위해 아침일찍 일어난 것에 감동하고, 그들이 왜 평화수업을 듣는지와 어떤 교훈을 얻어가고 싶은 가를 묻는다.(p.52) 학생들은 전쟁과 폭력에 질렸다,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정치적 시각을 넓히기 위해등 여러가지 의견을 밝힌다. (자세한건 p.52-54를 참조하시길) 저자는 평화수업을 숙제,시험,성적에 얽메이지 않는 열린 수업으로 만들고자 한다. 그는 숙제,시험,성적에 의한 수업을 두려움에 의한 교육으로 정의하고, 이를 비판한다. 저자의 확고한 철학은 상당한 공감이 갔다.
저자는 교육철학이 극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이 있다. 저자는 수업준비도 안하고, 마음이 어지러운 상태에서 영화시청이라는 방법으로 수업을 때운다. 하지만 그는 곧바로 다음 수업시간에 이 점을 솔직히 털어놓고, 학생들을 실망시켰음을 고백한다.(p.207) 그리고는 5달러를 꺼내 학생들에게 수업료 환불차원에서 나눠준다. 참 놀라운 모습이다. 난 고등학교,대학교 시절 정말 무성의하고, 실력없는 선생,교수들을 많이 보았다. 물론 대다수의 교육자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수학, 영어를 배운는 것도 분명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건 올바른 인성교육, 평화교육이 아닐까? 우리의 교육현실에서 너무 요원한 말일지도 모른다. 왠지 모르게 답답해진다. 저자의 평화수업을 함께 하는 싶다는 생각과 함께. 저자의 평화수업이 계속되길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