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자마인드 수업
월레스 D. 와틀스 지음, 정현섭 옮김 / 열린숲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부자 마인드 수업'이라, 일단 저자의 기본 서술태도를 살펴보자. '이 책은 부자가 되는 것에 관한 이론을 주장하려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실용적인 관점에서 기술한 안내서라고 할 수 있다. (중략) 먼저 부자가 되고 나서 그것에 관한 이론을 공부한다고 해도 결코 늦지는 않을 것이다.'(p.5) 처음 저자소개나 목차를 보고 <부자마인드 수업>이 '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담은 이론서'인 줄 알았다. 하지만 저자는 이론적 차원이 아닌, 철저하게 실용적인 차원에서 접근하겠다고 천명한다.
먼저 저자는 '부자가 될 권리'를 이야기한다. 가난을 미덕으로 여기던 시대를 넘어, 인간은 누구나 부자가 될 권리를 가진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급격한 산업화와 경제발전과정에서 졸부들이 등장하고, 각종 비리로 부를 축적한 자들이 많아 부자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다. 부자를 보면 왠지 부정한 방법으로 축재했을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에선 이율배반적인 태도지만, 우리 역사를 돌아보면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제 변화가 필요하지 않을까?
저자의 말을 들어보자. '부자가 되고자 노력하는 것은 아주 올바른 일이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부자가 되고자 하는 욕망을 결코 버릴 수가 없다. (중략) 그런 측면에서 부자가 되는 법에 관한 공부를 소홀히 하는 것은 자기 자신과 인류에 대한 의무를 소홀히 하는 것이다.'(p.20) 저자는 부를 악으로 여기던 태도에서 벗어나 자연스러운 부에 대한 욕망에 충실할 것을 주장한다. '부자가 되는 법에 관한 공부' 인류에 대한 의무라고 까지 이야기한다. 그럼 본격적으로 부에 대한 저자의 이야기속으로 들어가자.
[부는 빼앗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당신이 그들로부터 받는 금전적 가치보다 더 많은 사용가치를 주라. 그러면 모든 사업적 거래를 통해 당신의 삶은 세상에 보탬이 되는 인생이 된다.'(p.69) 저자의 저 말은 한마디로 성실함을 이야기 하는 것이리라. 건전한 상(商)도의. 상대방이 주는 가치보다 낮은걸 받을 이유는 없지만, 상대방에게 베풀때는 더 큰 가치를 주라는 것, 쉬운듯하지만 정말 어려운 일이다. 자기가 물건을 살때는 한푼이라도 깍으려하고, 반대로 팔때는 한푼이라도 더 받으려는게 사람아닌가? 저자는 더 큰 가치를 베푸는 태도가 결국은 부와 가깝게 되는 길임을 말하는 것이다.
[마음의 부자가 물질의 부자가 된다] 저자는 '자기가 원하는 것이 무었인지 생각해 보고, 그것을 가지게 되었을 때를 보듯이 마음속에 명확한 그림을 그릴 것'(p.90)을 주장하는데, 공감이 갔다. 쉽게 생각하면 이런것이다. 고등학교때 책상앞에 '목표는 XX 대' 'XX대 꼭 간다'식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붙여 놓는것이 바로 저자의 주장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목표와 욕망을 반복적으로 마음속에 되세기면서, 그를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는 것이다. 일종의 심리적 원동력이라고나 할까.
[긍정은 모든 성공의 부모다] 긍정적인 마음가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인데, 부자가 될 가능성만을 생각하고, 빈곤따위는 생각하지 말라는 것이다. 저자는 이렇게 이야기 한다. '당신에게 부자가 되는 것만큼 위대하고 고귀한 목표는 없다. 당신은 당신이 마음속에 그린 부의 그림에 집중하고, 비전을 흐리게 만들 가능성이 있는 모든 것을 거부해야 한다'(p.112) 마음가짐이란 정말 중요하다. 급히 약을 찿는 환자에게 아무런 약효가 없는 비타민제를 주었더니 환자가 그걸 먹고 효과가 좋았다고 말했다는 사례(위약효과)는 많다. 약효가 있을거라 긍정적으로 믿은 긍정의 힘이다. 이는 부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부자 마인드 수업'을 읽으며 정말 놀란게 있다. 그건 바로 이 책이 1910년에 초판이 발간되었다는 사실, 그럼에도 100여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깊은 교훈과 여운을 남긴다는 사실이다. 문학작품이 아닌 실용서가 이토록 오래동안 사랑받는건 정말 힘든 일이다. 이런 깊은 사랑의 이유는 어디있을까? 이유를 알고 싶으시다면, 부자가 되고 싶으시다면, 지금 당장 서점으로 달려가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