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한 가족의 100가지 비밀
데이비드 나이븐 지음, 남영주 외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근 50여년간 우리의 가족제도는 급격히 변화했다.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그리고 늘어가는 재혼가정이나 싱글맘,싱글대디가정등. 세계에서 유래를 찿을 수 없는 이런 변화속에서 진정한 가족의 가치는 한층 중요하게 부각되었으나, 수많은 문제들이 속출했다. 그렇다면, 대가족은 좋고 핵가족은 나쁘다, 혹은 핵가족은 좋고 재혼가족은 나쁘다란 결론에 이르는가? 그렇지는 않다. 가족형태가 무었이든간에 얼마나 행복할 수 있느냐가 정말 중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행복한 가족이 될 수 있는지 잘 모르고, 어려워 한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행복한 가족의 100가지 비밀'은 독자들에서 큰 교훈을 준다. 이 책은 100가지 교훈을 2~3페이지정도 분량으로 짧은 글로 설명하는데, 큰 부담없이 읽을 수 있었다. 또한 각 교훈은 먼저 저자가 하고자하는 핵심주장이 먼저 제시되고 이어 사례가 소개되는 구성을 취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저자의 핵심주장을 강하게 부각하는 한편, 사례를 통해 효과적으로 독자의 공감을 유도해 냈다.
[모두가 아니라고 해고 당신이 옳다면 괜찮다] 저자의 메시지가 가장 강한 인상을 남긴 부분이다. 저자의 주장을 한번 살펴보자. '책임감은 항상 부담감을 수반하기 마련이다. 가족들이 자신만의 입장을 주장하거나 당장 눈앞에 필요한것만을 생각한다 하더라도, 여러분은 가족전체에게 필요한것이 무었인지 긴 안목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사실 내 생각이 다른사람들과 다르다고 말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장기적인 안목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순간의 만족을 추구하는 것보다 휠심 더 가치가 있다.(p.44) 난 이 부분을 수첩에 옮겨 적었다. 저자는 가족차원에서 이야기하지만, 인간관계 공통에 적용할 수 있는 매우 소중한 말이다.
이어지는 사례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축구와 야구를 가르쳤던 에디라는 코치이야기가 나온다. 그는 스포츠기술을 가르치는데 만족하지 않고, 자기가 가르치는 선수들이 사회적으로도 올바르고 정직한 행동을 하길 원했다. 그래서 선수들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밤거리 유흥가를 순찰하고, 귀가시간을 체크하기도 했다. 부모들은 그의 엄격한 지도 스타일을 환영했지만 많은 학생들은 그의 규칙에 대해 반감을 가졌다.(p.45) 하지만 그를 축하하는 모임에서, 이제는 성년이 된 왕년의 선수들은 오늘날까지 자신들이 살아오는데 바탕이 되었던 성실성과 규율을 가르쳐 준 그에게 감사했다고 한다. 사회라는 공동체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가 자기 소신껏 행동하는건 무척이나 힘든일이다. 그렇기에 자기 소신껏 행동하는 이들의 용기가 한층 더 빛나는 것 아닐까?
[돈이 가족의 행복을 좌우하지는 않는다] 물론 돈은 행복한 삶을 가능케 해주는 하나의 요인이다. 하지만 돈은 전부가 아니다. 저자의 말을 들어보자. '사실 한 가족의 행복은 재산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가족들에 대한 헌신이나 가족의 즐거움이 절대 돈 때문에 방해받아서는 안된다. 돈은 그 어느 것에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p.112) 수백억 복권에 당첨된 사람들의 말로가 결코 행복하지 않았다는 뉴스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한다. 진정 화목한 가족의 모습을 떠올려보라. 난 추운 겨울, 따뜻한 스프 한그릇을 마주하고 사랑넘치는 미소를 주고 받는 가난한 가족의 모습이 떠오른다. 그런 그들사이에 돈다발이 떨어진다면 그건 바로 에덴동산의 사과.
[대화는 가족을 가깝게 만든다] 대화는 행복한 가족이 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생각한다. 여기선 사업을 하는 로버트의 이야기가 소개되는데, 경제호황으로 많은 부를 거머쥔 로버트는 가족들에게 돈을 펑펑 쓰도록 만들지만, 경제가 불황으로 돌아서자 갑자기 회사는 어려워지고 결국 실직상태가 된다. 결국 로버트는 가족들에게 진실을 말하기로 결심하는데...(p.138) 로버트는 가족들의 반응에 깜짝 놀랐다. "이 모든 걸 이야기했더니 가족들은 나를 위로해 주고, 힘이 되어 주었어요. 우리는 이전보다 서로 더 가까워졌어요" 이러한 대화의 중요성은 '열린 대화를 하라'(p.168)에서 한층 더 부각되어 소개된다. 앞에서 대화의 중요성에 대한 일반론을 이야기했다면, p.168에서는 도움되는 대화의 구체적 방법론 차원에서 접근한다. 저자의 말을 들어보자. '대화에서 말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듣는 것이다. (중략) 가족 간의 대화에서도 상대방이 편안하고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진지하게 긍정적으로 반응함으로써 감정을 공유하고 유대감을 고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p.170)
[가사노동을 함께하라] 이 부분은 모든 한국남성들이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로 저도 남자입니다) 난 사회적으로 차별받고 집안일까지 전담해야하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너무나 안스럽다. 그리고 미안하다. 가까운 중국을 보라. 그들은 남녀가 평등하고 집안일도 공평하게 분담해서 하고 있다. 중국여성들의 당당함과 자유분방함, 정말 부럽다. 저자의 말을 잠깐 들어보자. '가사노동이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함께해 나가야 하는 일이라고 느끼고, 부부가 함께 가사노동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p.201) 공평하게 가사노동을 분담한다면 부부상호간의 신뢰와 사랑이 깊어질 것이다.
'행복한 가족의 100가지 비밀'은 가족의 소중함이 날로 강조되는 오늘날 꼭 읽어봐야 할 책이다. 너무나 중요하기에, 어찌보면 쉬워보이기에, 조금은 무관심했던 행복한 가족이 되는 법.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