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버 피치 - 나는 왜 축구와 사랑에 빠졌는가
닉 혼비 지음, 이나경 옮김 / 문학사상사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피버 피치]는, 좀 점잖게 말하면, 어떤 열렬한 팬덤에 대한 보고서다. 하지만 툭하면 거품 물고 쓰러질 정도로 몰입하며 지름신의 강림을 적극 팔벌려 맞곤 하는 소위 빠순모드 강한 나나 친구들와의 용어로 표현하자면, "어떤 열혈 빠순모드에 대한 고백서"라 할 수 있을 거다.내 빠순상대 1순위가 영화라면 그의 상대가 영국 프로페셔널 축구, 그 중에서도 1부 리그 팀인 아스날이라는 것만 다를 뿐, 이 사람, 빠순모드에 대해 아주 제대로 알고 있다. 재미있는 건 나의 빠순모드의 대상에 이 닉 혼비도 이미 들어가 있다는 사실이다. 그것도 [어바웃 어 보이] 한 권과, 영화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에서 어렴풋하게 느껴지는 닉 혼비식 체취로.
[어바웃 어 보이]를 버스 안에서고 지하철 안에서고 거의 미친 듯이 킬킬대며 보고는 "나의 사랑하는 책" 리스트에 망설임 없이 넣어놓고, 닉 혼비의 책이 한국엔 도대체 왜 이리도 안 나오는 거냐며 투덜대고, 내가 아는 범위의 출판사에 다니는 모든 사람에게 제발 닉 혼비 책을 내달라고 졸라대고... 했던 건 변명컨데 결코! 나만 했던 행위가 아니다. 나보다 더하면 더했지 결코 덜하지 않았던 격한 반응을 보이면서 나와 공감대를 형성한 친구가 적어도 한 명이 있고, 또 한 명은, 물론 나처럼 그런 격한 반응으로 빠순 기질을 마음껏 드러내는 스타일의 친구는 아니지만, 조심스레 닉 혼비의 책 저작권을 추적했다. (그는 출판사에 다니고 있다.)
닉 혼비는 나나 내 주변 친구들이 종종 아무렇지도 않게 저지르곤 하는 빠순행위들을 대상만 바꾸어 그대로 전시해 놓고 있다. 심지어는 일련의 빠순행위 - 남들이 보기엔 강박증에서 기인한 온갖 기행과 괴벽 - 을 스스로도 한심하게 생각하면서도 어느 순간엔 슬쩍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는 사실까지 톡까놓고 밝혀놔 버려서 민망해 하면서도 키득댈 수밖에 없다. 바꿔 말하면, 내 비록 지난 월드컵 때마저도 경기를 전혀 안 볼 정도로 축구를 안 좋아하고 또 전혀 모르는 사람임에도 그가 축구와 관련해 보이는 온갖 기행과 강박증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가 써내려간 글을 보고 있노라면 이 부분에선 얼마나 스스로 쪽팔려하며 썼을지, 저 부분에선 또 얼마나 피를 토하며 썼을지, 조 부분에선 남들이 다 돌 던질 것이라 얼마나 단단히 각오하며 썼을지, 요 부분에선 얼마나 이상한 시선을 각오하며 썼을지, 충분히 알 수 있다. 그 뿐인가. 그 사람이 쓰는 어떤 문장에 대해선 그래, 요쯤에서 이런 자기방어 기제로서의 발언 한 마디를 아니 할 수 없지, 하면서 고 심리를 빤히 꿰뚫어볼 수 있을 수밖에 없더란 거다. 만약 닉 혼비가 나를 개인적으로 알았더라면, 그 사람 역시 내가 영화에 대해 하고 있는 짓거리들의 속내를 빤히 다 꿰뚫어보았을 것이다.
굳이 어른이 되려고 하지 않고, 혹은 되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려 자기자신을 바꾸고자 애쓰지 않고 자연스럽게 철딱써니없는 자신을 받아들이는 이 여유만만하고 유연한 삶의 자세. 물론 그 역시 그렇게 살기 위해 많은 걸 치러야 했을 거다. 하지만 자신을 부정하는 방향이 아니라, 아무리 유년기에 여전히 머물러있다 한들 그런 자신을 그대로 긍정하며 그걸 그냥 담담히 인정하고 받아들일 때, 바로 그때 그 지점에서는 또다른 종류의 어른스러움이 획득된다. 왜냐하면 현대사회는, 그렇게 살아도 살아지는 사회기 때문이다.
따지고 보면, 각 개인들의 성인이 되는 나이가 계속 더 뒤로 유예되는 게 현대사회의 특성이기도 하다. 과거 공동체 중심사회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과 오늘날 특히 이 자본주의 사회의 대도시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진다. 성년의 나이가 계속해서 늦춰지는 건 단순히 피터팬 컴플렉스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개인의 탓이 아니라, 최대한 오랫동안 청소년기에 묶어두려는 사회 시스템 때문이기도 하다. (현대사회로 올수록 성년식의 의미가 퇴색되는 것도 이 탓이다. 덧붙여 신화학에서 통과의례 이야기를 아주 슬쩍 끌어오자면, 현대사회로 올수록 통과의례는 거세되었다.) 과거의 사고가 여전히 남아있는 현대의 사회에서, 자본주의는 우리가 여전히 키덜트로 남기를 부추키면서, 또다른 한 편으론 '빨리 어른이 돼서' '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만큼 착취를 당해달라고' 부추킨다. 개인은 이 사이에서 당연히 정신분열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 그런 사회에서, 인생의 고난과 슬픔의 무게를 감당도 못할 거면서 직접적으로 맞으면서 허덕대고 자기연민에 시달리는 것보다, 이렇게 세상과 나 사이에 축구, 혹은 또다른 '열렬한 팬덤 대상'을 끼워넣어 완충제로 삼는 것, 그리고 그것을 자신의 일부로 그대로 인정하고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것도 이 미쳐버린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엔 꽤나 유용한 요령이 된다. 어쩌면 더 나아가, 진정한 의미에서의 어른이 되는 방법은 닉 혼비식의 이런 방법일지 모른다.
문장이 아주 유려하다. 비록 번역이라는 필터와, 교열과정에서 채 잡아내지 못한 비문들이 눈에 띄기는 하지만, [어바웃 어 보이]와 이 책에서 동시에 나타나는 어떤 특성들은 분명 닉 혼비의 것이라 추측해도 무리가 없으리라. 솔직하고 군더더기 없으며 재치있는, 그렇다고 억지로 비아냥과 이런 걸 과장해서 짜내지 않은 자연스러운 문체. 그리고 그런 문장들을 통해서 드러나는, 어쩔 수 없는 낙관론자 특유의 유머와, 따뜻한 위로와, 소통에의 의지. 감동이다. (제발 출판사들은 닉 혼비의 다른 책들도 내달라! 내달라! 내달라~~!)
고백하자면, 축구에 대한 닉 혼비의 그 열정과 '어쩔 수 없는 운명'에서 비롯한 행태를 본다면, 영화를 대하는 나의 태도는 지나치게 깍쟁이같아서 감히 '영화팬'이란 말을 못 하겠다. 영화를 직업으로 삼은 건 어쩌면 닉 혼비처럼 솔직하지 못했던, 어른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 앞에서 정신분열하던 나의 마지막 타협책이었는지 모른다. 만약 내가 진작 닉 혼비를 만났더라면, 시행착오가 조금은 줄어들었을텐데. 나이가 들수록 오히려 빠순모드가 강해지는 나는, 사실은 이제서야, 나를 억누르고 있던 무언가에서 조금씩 해방되는 느낌이다. 그리고 그것에 굳이 죄책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토닥여주는 닉 혼비가, 고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