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개골의 서
로버트 실버버그 지음, 최내현 옮김 / 북스피어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해설자와 온갖 SF 전문가들이 이 책 [두개골의 서]를 위해 해놓은 말에 의하면, '영생'은 SF의 고전적인 주제라 한다. 그래서 과연 이 소설이 SF냐 아니냐를 갖고 말이 많았던 모양이고, 본격적으로 소설을 시작하기 앞서 붙어 있는 저자의 말에도 이러한 논쟁의 그림자가 소개되어 있다만, 장르 구분에 티미한 나서는 그저 재미있는 책 한 권 읽은 것으로 만족.
한 문장으로 정리하자면, 네 명의 영생지원자가 '두개골의 서'라는 책을 우연히 발견하고, 영생을 얻기 위해 이 책과 관련된 일종의 신비주의 집단을 찾아간다는 내용. 이 책의 비의 중 핵심은 무엇보다도 아홉 번째, 영생을 얻기 위해 사각형을 이룬 네 명 중 한 명은 스스로, 한 명은 동료들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고 둘만 영생을 얻는다고 되어있다. 출신 성분도 가치관도 제각기 다를 수밖에 없는 네 명이 한 팀이 되어 떠나면서 이 넷을 각각의 화자로 번갈아 가며 내레이션을 하는 것으로 장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런 구성을 통해 네 명의 차이가 또렷이 드러난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작가는 네 명을 번갈아 가며 1인칭 화자로 서술하는 어려운 과업을 아주 훌륭하고 능숙하게 해내고 있다는 얘기기도 하다.
누가 죽고 누가 살 것인지는 앞부분을 조금 읽다 보면 감이 온다. 물질적 풍요 때문에 영혼의 문제가 그닥 중요하지 않은, 처음부터 별로 진지하지 않았던 이는 제일 먼저 죽을 수밖에 없으며, 누구보다 ‘의식’의 차원에서 가장 간절하게 바라는 - 또한 ‘의식’의 차원에서 모든 의심을 의도적으로 거세해 버린 - 이가 또한 의외의 희생자가 되지 않겠는가. 언제나 승리와 영광은, 믿음과 회의 사이에서 어쩔 줄 몰라하면서도 그 회의와 의심의 과정 덕에 더욱 굳건하고 더욱 ‘자기 자신의 것’인 믿음을 가진 자의 몫일 터이다. 그러나 누가 죽느냐보다 중요한 것은, 왜 죽느냐는 것. 죽임을 당하는 쪽은 바로 그 이유 때문일 것이라 짐작했지만, 자살하는 이가 그 이유일 거라곤 생각 못 했다. 하긴, 난 그리 눈썰미 좋은 독자는 되지 못한다. 어찌됐건 비의는 문자 그대로 실현되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시간도 공간도 다른 지금, 이 대한민국에서 여전히 찾아볼 수 있는 네 명의 인물형의 고독과 상처와 비밀과 사고관을 들여다보는 일이다. 말하자면 나는 일라이의 출신성분 - 도시 빈민가에서 자란 자수성가한 유태인의 후손 - 에서 동질감을 느끼는가 하면, 네드의 호들갑스러운 미의식과 극단적 이중성 및 나르시시즘에서 동질감을 느낀다. 그런가 하면, 넷 사이에서 흐르는 갈등과 감정적, 공감적 방향을 보는 것 역시 재미있다. 티모시와 올리버, 네드와 일라이가 특히 친할 수밖에 없는 건 당연한 듯 보인다. 네드가 올리버를 좋아하는 것 역시. 아마도 이들 넷의 정서적, 지적, 환경적 요소들이 이토록 친밀한 건, 모든 기존의 가치가 부정되던 당시 미국의 70년대와, 전통 가치는 부정된 채 새로운 대안을 찾지 못한 가치부재 시대의 2006년 대한민국의 상황이 맞아떨어지기 때문일 것이다.
책을 다 읽고서, 아홉번째 비의가 말하는 바, 극단적 자기부정과 배제가 실현되는 방식이 너무 직설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리적으로까지 드러나는 자살뿐 아니라, 나는 이미 네 명 중 한명이 자신의 학문적 기반의 공허함을 밝힐 때 이미 자기부정이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아니, 사실은 부정할 자기조차 갖고있지 못한 것인가. 그럼에도 '자기부정'과 '배제'를 뜻하는 죽음은, 물리적인 형태로, 비의가 글자그대로 실현된다. 하긴, 이들이 사원을 찾아가고, 마침내 사원에서 이런저런 과정을 거치는 것자체가 거대한 신화적 메타포를 그대로 실현해놓은 것이니, 어쩌면 그런 물리적 죽음은 반드시 일어나야만 했던 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달리 생각해보자면, 자기 부정과 배제 역시 결국은 한 인간이 영생을 얻기 위한, 즉 성장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거쳐야 하는 단계인 건지도 모른다. 결국 영생을 얻는 쪽인 둘은 자기 부정과 배제의 과정을 훌륭히 통과했기에 살아남은 건지도 모른다. (한 명은 자기 학문, 존재성의 기반 자체의 부정을 인정했고, 성욕 통제라는 관문에서 좌절함으로써 스스로에 대한 배제를 겪는다. 또 한 명은 성적 정체성 자체 때문에 외부로부터 계속 부정과 배제를 당해 왔으며, 동성애자라는 정체성에도 불구하고 이성애적 어떤 과정을 거침으로써 자기 부정을 훌륭히 수행해낸다.) 그러나 그들이 얻은 영생이란 과연, 물리적인 차이를 뺀다면 죽음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그런 생각이 든다. 그들의 삶은 결코 이전과 같아질 수 없으며, 그들이 얻은 영생의 삶은 이전에 그들이 살고 있던, 앞으로 살게 될 것이라 생각했던 속세의 일상과는 거리가 있다. 나는 바로 그 이유로, 죽음이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진 '끝' 혹은 '소멸'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새로운 시작, 혹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속세의 삶 이면에 그대로 평행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영생과 죽음은 사실 이음동의어가 아닐까, 라는.
편집 때문에 책이 두꺼워지고 부피가 다소 커보일 가능성이 있다. 얘기 자체는 단순하고 짧으며, 네 명이 각자의 입장에서 서술해 가면서 대체적으로 시간순서로 흘러가는 소설의 구성방식은 매우 매력적이다. 실버버그의 또다른 [다잉 인사이드]도 이미 출간되었다고 하는데 이 책에도 부쩍 관심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