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를 망하게 하는 이유 가운데 가장 치명적인 것이 결정의 오류, 곧 틀린 결정을 선택하고 그것을 따라가기다.

p 229

 

저자의 글들은 그 자신이 말한 것처럼 결국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어떤 사회를 만들어야 하는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그리고, 가장 마음을 울렸던 부분. '아이들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 그에 대한 의견이 명확하게 나와 있지는 않지만, 그래서 더 머리를 세게 맞은 듯 멍-해졌다. 저자의 글들을 하나씩 곱씹다보면 그에 대한 방향을 잡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의 성격/개성이 약 몇 알로 개조될 수 있다면 '인간'은 무엇인가? 슬픔의 형식이 존재하지 않는 사회는 건강한가? 더 중대한 문제는 사람들에게 우울증을 일으키는 사회적 환경과 구조에 대한 비판, 질문, 개선은 이 경우 필요없는 것이 되고, 개인 환자의 '치료'만이 전능한 해결책이 된다는 점이다.

p171

 

영화 <인사이드 아웃>이 생각나는 대목. 슬픔이라는 감정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영화에 깜짝 놀랐었는데, 저자는 더 나아가 그것을 사회적 문제의 관점에서 들여다본다. 슬픔, 혹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부정적 감정들. 그 감정들의 효용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었던 시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큐현상과 역아큐현상에 대해 역설한 부분이 흥미롭다. 영국에서도 자신들의 문화가 인도에 잠식당할까 걱정하다니!! 이 시대에 ‘고유한’ 문화가 과연 존재할까.

 

도정일 작가님의 책은 생각해보지 못한 내용들에 대해 언급해주어 매 장마다 기대가 된다!! 조금 어렵기도 하지만 매일매일 짧게 읽는 재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음 시기의 문명을 인문학적으로 상상해보는 일은 무엇보다도 ‘문명에 대한 인간의 책임’이라는 문제 의식을 떠나서눈 가능하지 않은 작업이다. 문명에 대한 인간의 책임이란 오류와 수치, 억압과 파괴의 문명을 가능한 한 차단하고, 그런 문명을 미래에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책임이다.

p 123

 

 

다음 세대를 위한 문명에 대한 인간의 책임. 관용을 명심하고, 야만적인 행위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심오하게 다가온다. 미래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교와 과학의 대립이 이렇게 격렬할 줄 상상도 하지 못했다. 리처드 도킨스에 의한 신랄한 종교 비판. [이기적 유전자] 는 말로만 들어봤는데 한 번 읽어봐야겠다. 나는, 따지자면 과학은 과학의 할 일이 있고 종교는 종교의 할 일이 있으니 서로 존중하면서 공생하자는 쪽??!!

 

 

문명 속에서 동물이 걸어온 발자취를 짚어본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특히 고대 이집트인들이 고양이에 대해 란 말은 소오름!!

 

생명체의 품위는 생명 그 자체의 존중에서 확보된다.

p 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