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첫사랑 ㅣ 미래의 고전 1
이금이 지음, 이누리 그림 / 푸른책들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살아가면서 기억 저편에 소중한 추억으로 남아있는 첫사랑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개인적으로 누군가를 좋아할 때는 무엇보다도 그 사람을 보면 방망이질 해대는 그 설레는 마음과 얼굴이 뜨겁게 달아오르던 그 느낌이 오래 기억에 남는다.
때로는 아프기도 했고, 슬프기도 했고, 힘들기도 했고, 이쁘기도 했을 우리의 첫사랑은 어떤 모습일지라도 세월이 흐른 지금은 아련한 추억으로 가슴속에 남아있는것 같다.
첫사랑의 작가이신 이금이선생님도 머리말에 첫사랑을 6학년때 하셨다고 했다.
물론, 행복한 결말을 맺지는 못했지만 세월이 흐른뒤에도 그 사람을 생각하면서 그 때의 기억을 떠올릴 수 있다는 것도 어쩜~ 행복한 일이 아닐까?
세월이 많이 흐른 지금은 그 모습이 기억나지 않더라도 그 때를 생각하면 괜히 마음이 아득해지는 느낌이 바로 첫사랑의 느낌이 아닐런지~
첫사랑의 주인공인 동재도 초등학교 6학년이다.
아빠와 엄마가 이혼을 하고 아빠와 둘이 남게된 동재는 새로운 가족이된 새엄마와 여동생 은재와의 사이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조금은 외롭게 생활하게된다.
같은반 친구인 연아를 좋아하게 되면서 일어나는 생활의 변화들이 좋은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고 때로는 가족들과 조금씩 가까워지는 계기를 만들어주기도 한다.
그런면에서 누군가를 사랑한다는것은 어쩌면 단점보다는 장점이 더 많은것 같다.
좋아하는 사람에게 잘 보이려고 공부도 열심히하고 외모도 깔끔해지면서 조금은 노력하는 모습으로 변했던 기억이 세삼스럽게 떠오른다.
공부하는 학생이 좋아하는 이성이 생기면 공부를 할 때 집중이 잘 안된다고 말하지만, 자신이 스스로 조절을 잘 한다면 장점도 많이 있을것 같다.
하지만 세상일이 자신이 생각한데로만 되지 않아서 문제이긴 하지만, 우리 아이들은 자신감있게 잘 지내길 바라는 마음이다.
연아를 좋아하게된 동재는 말한다. "연아와 한 교실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좋았다. 그 애가 공부에 열중하고, 아이들과 웃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밥을 먹고, 체육 시간에 운동장을 뛰어다니는 모습을 지켜 보는 것만으로도 학교에 다니는 기쁨을 느꼈고 집에서 받는 괴로움을 잊었다. "라고~
생각해보니 나도 그럴 때가 있었다. 학교에 가면 좋아하는 그 친구를 볼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즐겁고 설레었던 기억이 난다.^^ 그 친구가 나를 좋아하지 않아도 상관없었다.
초등학교의 사랑이라는 감정은 생각하면 입가에 미소가 번지듯이 참 순수한것 같다.
그래서 책을 읽는내내 동재와 연아의 모습이 그저 이쁘기만 했던것 같다.
부모의 이혼으로 힘든시간을 보내던 동재는 새로운 가족들이 서로를 위해 행동하는 작은 배려속에서 조금씩 마음을 열어 결국에는 행복한 가족의 모습으로 조금씩 바뀌게된다.
누군가를 진정으로 이해하며 함께 살아간다는건 무엇보다 힘든일일것이다.
하지만, 노력한다면 당장은 바뀌지 않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서로의 마음은 통한다고 생각한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멋지게 자신의 마음을 전하려고 했던 계획이 실패로 돌아가지만 그래도 동재는 연아와의 즐거웠던 이쁜 추억들을 가슴속에 차곡차곡 모아 두었을것이다.
그래서 다음에 또다시 누군가를 좋아하게 된다면 지금보다 더 행복한 모습으로 상대방을 좀더 아끼고 이해하며 이쁘게 사랑을 키워나갈것이다.
이혼하기전에는 없었던 행동을 하면서 누구보다 자상한 모습으로 변하는 아빠, 힘들지만 새로운 가족들과 함께 잘 지내려고 노력하는 새엄마와 은재, 첫사랑을 잊지못해서 서로에게 작은일이라도 도움을 주려고 하는 앞집 할머니와 할머니의 첫사랑 할아버지, 당당한 모습으로 자신의 남자친구를 아들에게 소개하는 엄마, 그리고 연아와의 이쁜 사랑을 시작하면서 조금씩 변하는 동재~
모두들 우리주변에서 각자의 일에 최선을 다하며 열심히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인것 같다.
사람이 변한다는 것은 내일이 있기에 사랑하는 사람이 있기에 행복해지고 싶기에 애쓰는 것이리라.
우리는 첫사랑을 가슴에 묻어두고 오래오래 추억하듯이 지금 자신의 자리에서 모든일에 최선을 다하면 후회하지 않도록 노력하며 살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