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늘의 발달 문학과지성 시인선 350
문태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0년 개띠 시인. 어째서인지 모르겠지만 70년생 작가들이 좀 있는 거 같아서 위키피디아로 1970년을 검색해봤더니, 세상에나, 1970년생 유명인 가운데 5월 7일, 대한민국 희극인 ‘황봉알’이란 자의 이름은 올라와 있어도 1970년생 시인과 작가 가운데서는 부커-인터내셔널 상을 받은 한강 딱 한 명만 올라와 있다. 세상에 이런 일이. 하여튼. 난 문태준을 한 일흔 살 넘은 시인인줄 알았다. 왜 그랬을까? 월북했다가 숙청당한 소설가 이태준을 염두에 두었나, 포항제철의 신화를 만든 박태준을 떠올렸던 건가. 어쨌거나 예상외로 젊은 시인이었다.
  왜 늙었네, 젊었네 말이 많으냐고? 글쎄 이이의 시를 한 번 읽어 보시라. 나보다도 한 세대 앞선 예전 시인이나 쓸 법한 단어나 의태어나 어미활용을 능수능란하게 하니 어찌 이이의 젊음에 놀라지 않았으리오. 예를 들어 첫번째로 실린 <새> 속에서, “새는 날아오네 / 산수유 열매 붉은 둘레에 // 새는 오늘도 날아와 앉네 / 덩그러니 / 붉은 밥 한 그릇만 있는 추운 식탁에 // 고두밥을 먹느냐 // 목을 자주 뒤쪽으로 젖히는 새는” (전문)을 봐도 “~오네”, “앉네”라는 표현. 또 “고두밥을 먹느냐”는 의문문 형의 어미 같은 것도 요즘 시인들은 별로 쓰지 않는 어미활용이다. 아마 거의, 거의 쓰지 않을 걸? 해설을 쓴 평론가 김주연도 제일 앞쪽에서 “어룽어룽” “조촘조촘” “물렁물렁” “슬금슬금” “들썽들썽” “생글생글” “간질간질” “까닥까닥” “미끌미끌” “얼금얼금” “들썩들썩” “끔벅끔벅” “조마조마” “조금조금” 등의 의태어/의성어 사용을 언급하고 있어, 그걸 유심히 읽었던 아마추어 독자의 어깨를 으쓱으쓱하게 해준다.
  시 낭독으로 이야기하자면 두번째 시로 실린 <한 송이 꽃 곁에 온>의 초두에 “눈이 멀어 사방이 멀어지면 / 귀가 대신 가 / 세상의 물건을 받아 오리”라 하며 마지막을 “나 먼저, 오래 쓴 눈을 감네”로 끝내고 있어서 적어도 시인이 잠깐 눈에 문제가 있었나 보다, 싶은 마음이 들었다. 눈 대신 귀라고 한 바, 아무래도 제일 먼저 인상 깊었던 시는, 이것,

 


  귀 1

 


  초여름 밤에
  미끄러운
  산개구리 내려와
  연못은
  울퉁불퉁하고
  산개구리는
  청포도알을 낳고
  청포도알을 낳고
  나의 연못은
  청포도잎처럼 커져  (전문)

 


  인데, 앞의 시에서 눈이 멀어져 귀가 대신 갔다는 얘기도 했고, 시의 제목이 또 <귀 1>임을 감안하면, 이 시는 초여름 밤에 산개구리가 연못에 내려와 청포도알 같은 알뭉치를 낳는 걸 보고 쓴 시가 아니라 밤에 방이나 마루에 걸터앉아, 아니면 마당에서 산개구리의 울음소리를 들은 귀가 눈 대신 미물의 수정, 산란하는 정경을 상상해서 쓴 시라고 읽어야 마땅하겠다. 연못에 산개구리들이 잔뜩 몰려 들어와서 수면이 개구리들의 대가리와 등짝 때문에 울퉁불퉁하고, 서로 엉겨 산란과 방정을 하는데, 연못 밑에 낳은 알이 꼭 청포도알 같았을 거라는, 바로 여기가 내가 읽은 포인트로, “같았을 거”란 감상이었다. 이런 시를 70년 개띠가 썼으면 분명 시골 출신일 터, 앞날개를 보니 1970년 경북 김천에서 태어났단다. 음. 이런. 암만해도 문태준, 심상치가 않다. 그래 있는 건 시간하고 돈밖에 없어서 문태준을 검색해보니, 아아, 이이의 시집 ≪맨발≫을 읽었고, “시인은 아무나 되는 게 아닌가비여”라는 제목으로 독후감도 썼다. 아놔, 그때도 1970년이 아니고 1950년생인줄 알았다고 적었었다. 어쩐지 씨, 눈에 익더라니까.

 

  시인에게는 피할 수 없는 화두가 하나 있다. 바로 ‘시’ 자체가 그렇다. 아니다. 시 자체가 “그런 거 같다.” 예컨대 내가 잘 인용하는 황지우의 <귀소歸巢의 새 2>도,

 

  “숲새는 지 울음이 들릴락말락한 까마득한 달팽이관 속으로 날러가부럿다 지 울음으로 숲 둘레를 막아놓고 그 숲에 집 지은 숲새는 가청권 몇 옥타브 우에서 끝없이 목이 쉬었다……사이사이에……지가 깃든 수풀 밖으로 또 다른 숲이 있능가없능가 의심하면서”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문학과지성, 1983. 한자는 전부 한글로 변환했음)

 

  가청권 몇 옥타브 위에서 목이 쉬도록 노래하는 숲새가 시인이고, 숲새의 울음이 시, 시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라 해석할 수도 있다. 가청권의 밖에 있다는 거, 그것도 몇 옥타브나 위에 있다는 건, 보통의 청각 가지고는 감각할 수 없다, 훈련받은 지성이 뒷받침한 자들만 쾌락을 얻을 것이란 황지우 특유의 (밉지 않은)오만일 수도 있다는 거. 황지우가 이렇게 노래하고 25년이 지난 2008년에 문태준은 시를 자신의 목숨이라 선언한다.

 


  두꺼비에 빗댐
  ᅳ 詩

 


  내 걸음 가다 멎는 곳 당신 얼굴 들썽들썽해
  천천히 오직 천천히
  당신의 집과 마당을 다 둘러 나왔소

 

  습한 곳에 바쳐질 조촐한 나의 목숨
  나의 서정(抒情)  (전문)

 


  문태준은 어느 날 집 마당을 어슬렁어슬렁 걷는 두꺼비를 본 모양이다. 나는 작대기 세 개를 달고도 쫄병생활을 할 때, 작대기 네 개짜리 고참이 작업하다가 기어 나온 두꺼비를 삽 뒤판으로 두드려 잡아 껍데기 벗겨 구워 먹는 걸 눈으로 직접 봤지만 시인은 구워 먹는 대신, 두꺼비의 여유작작하고 달관한 듯한 여유, 그리고 습한 구석을 찾아 들썽들썽 가는 것을 보고, 허벅지를 탁, 친다. 아, 이게 시로구나. 하고. 따뜻하고 밝은 양지가 아니라 겨우 습하고 찬 곳에 바쳐질 문태준의 서정, 감정이 시며 자신의 목숨이라고 받아들인다. 그래, 시가 별 거냐, 사는 게 시고, 시가 사는 모습이지.
  시집의 4부에 재미있는 시가 나온다. 시집을 다 읽자마자 다른 건 몰라도 이건 꼭 소개를 해야겠다 마음먹은 시다.

 


  이별이 오면

 


  이별이 오면 누구든 나에게 바지락 씻는 소리를 후련하게 들려주었으면
  바짓단을 걷어 올리고 엉덩이를 들썩들썩하면서
  바지락과 바지락을 맞비벼 치대듯이 우악스럽게 바지락 씻는 소리를 들려주었으면
  그러면 나는 눈을 질끈 감고 입을 틀어막고 구석구석 안 아픈 데가 없겠지
  가장 아픈 데가 깔깔하고 깔깔한 그 바지락 씻는 소리를 마지막까지 듣겠지
  오늘은 누가 나에게 이별이 되고 나는 또 개흙눈이 되어서  (전문)

 


  세상 살면서 이별 한 번 못해본 사람은 정말 행복한 인간이다. 인간도 아닌 인간이다. 양희은의 노래 가사처럼 “누구나 사는 동안 한 번은 잊지 못할 사람을 만나고 잊지 못할 이별도 하”는 게 사람 사는 일이다. 그럼 여러분도 그 우라질 이별이 얼마나 아픈 건지 잘 아시지?
  문태준은 이별이 오면 바짓단을 씀벅 걷어올리고 엉덩이를 아래위로 들썩거리며 쓱삭쓱삭 바지락 껍데기가 깨져라 치대며 씻는 소리를 들었으면 좋겠단다. 시를 읽으면서 즉각 머릿속에서 그림이 그려진다. 이별의 순간 차라리 이런 모습과 소리를 들어서, 그래서 오늘 겪는 가장 아픈 곳이 깔깔하고 깔깔한, 깔깔하고 웃을 만큼 깔깔하거나, 상처가 여기저기를 후벼 파 깔깔하고도 깔깔한 것이 서로 개흙처럼 엉겨버렸으면 좋았을까? 세상에 이런 역설을 터뜨릴 시인이 몇 명이나 될까. 어떤 시인은 이별을 말장난을 하느라고, 이 별에서 벌어지는 사건, 뭐 이런 식으로 쓰는 것도 봤는데, 거기다 대면 문태준의 이별, 이 생각 속 놀라운 시청각 효과야말로 이이의 시를 절창으로 과장해도 별로 어색하지 않잖아? 그렇지 않아? 않으면 말고.

 


댓글(2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2-01-06 08:51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오. 꼭 교고서에서 본 원로시인같기도 하네요. 이별이 오면 이란 시 좋은데요. ㅎㅎ 그럼에도 저 시인은 바지락 소리는 들었지 씻어보진 않았나보다 우씨 바지락도 이별한 맘도 아프겠지만 씻는 손도 아프다는 ㅎㅎ 바지락 꼬막 좋아하는 이랑 사는 아줌마는 이런 생각을 ㅠㅠ

Falstaff 2022-01-06 08:58   좋아요 4 | URL
ㅎㅎㅎ ‘이별이 오면‘ 정말 재미나지요? 바지락 씻는 소리와 동시상영되는 씻는 장면도 있잖아요. 분명히 음식점 같은 곳에서 커다란 ‘고무 다라이‘에 바지락을 가득 넣고 엉덩이를 들썩거리는 아주머니를 봤을 거예요. 리듬에 맞춰 들썩들썩. ㅋㅋㅋ
저희 집도 바지락, 홍합, 꼬막 이런 거 좋아하는데요, 바지막과 꼬막 사오면 아내가, 홍합은 제가 손질하는 걸로 정했습니다. 고무장갑 끼고 씻으면 별로 손 안 아파요. 그래도 아프면 속에 얇은 면장갑 끼고 그 위에 고무장갑 덧끼우면 안 아픕니다.
시인이야 갱상도 문둥인데 어디 씻어봤겠습니까. ㅋㅋㅋㅋ

라파엘 2022-01-06 09:1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정말 괜찮은 시인인 것 같네요!! 그나저나 있는 건 시간하고 돈 밖에 없으시다니 ㅎㅎ 누구든지 마음에 여유를 가질 수 있어야, 골드문트님처럼 삶이 인간다워지는 것 같습니다. 항상 좋은 글 감사드려요 ^^

Falstaff 2022-01-06 09:22   좋아요 3 | URL
ㅎㅎㅎㅎ 말씀 고맙습니다.
늘 안분하며 살아야지 욕심 내봐야 저만 살기 팍팍해지더라고요. ^^

미미 2022-01-06 09: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폴스타프..아니 골드문트님이 별 5개를 주셨다니 일단 그것부터 놀라서 들여다보니 <한 송이 꽃 곁에 온>이 저는 가장 느낌이 좋네요. 눈이 멀어 귀가 대신 가다니!!

Falstaff 2022-01-06 09:24   좋아요 2 | URL
넷이냐, 다섯이냐, 이거 가지고 좀 오래 고민했습니다.
넷 반이 있으면 정말 좋겠다, 싶더군요.
얘기하신대로, 눈이 멀어 귀가 대신 갔다는 거에 저도 벙~쪘습니다.
그러니 아무나 시인이 되는 거겠습니까!!

바람돌이 2022-01-06 10:08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이별이 오면 읽으면서 저는 욕함요. 이런 우라질!!!
온몬이 속속들이 아프려면 바지락을 지가 씻어야지 왜 딴 사람보고 씻고 저는 소리만 듣겠다는 거야? 이별의 고통을 속속들이 느끼는데도 무아지경으로 바지락을 박박씼으면 소리뿐 아니라 오감 전체로 고통을 함께할 수 있을거야 이러면서 역시 남자는 시인조차도 감수성이 2% 모자라군 이러면서요. 이 시는 이렇게 바뀌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합니다.
이별이 오면 누구든 나에게 바지락을 후련하게 씻어라고 했으면........ ㅋㅋ

Falstaff 2022-01-06 10:17   좋아요 4 | URL
ㅋㅋㅋ ‘우라질‘ 드라마에서 예전에 한석규가 세종임금으로 분장해 직접 농사를 지으며 이런 우라질, 이라고 하는 거 들었는데요.
자기가 바지락 박박 씻으면 씻는 소리야 들리겠지만 자기 엉덩이가 아래 위로 들썩들썩하는 건 바라보지 못할 터이니 반밖에 느낄 수 없을 거 같은 걸요.
제가 읽기엔 ˝들려주었으면˝이란 라임을 따라가느라 그런 거지, 시각적 효과도 대단합니다. ㅋㅋㅋㅋ

다락방 2022-01-06 10:2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으하하 저도 <이별이 오면> 너무 좋아하는데, 이제나저제나 골드문트 님의 이 시집 리뷰가 올라오길 기다렸습니다! 으하하하하

Falstaff 2022-01-06 11:08   좋아요 2 | URL
ㅎㅎㅎㅎ 저도 이 책 페이퍼에 다락방 님이 인용하신 <이별이 오면>을 보고 얼마나 기뻤는데요! 딱 써먹기로 한 시가 턱, 나오니까, 우와, 내 눈도 이만하면 괜찮은가 보다 싶더라고요!!!

프레이야 2022-01-06 11:0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개명하셨군요 ㅎㅎ 골드문트 님.
문태준의 시 좋아합니다.

Falstaff 2022-01-06 11:09   좋아요 3 | URL
넵! 올초부터 바꿨습니다.
가정법뭔 판사님이 기꺼이 좋다 하더라고요. ㅋㅋㅋㅋ

stella.K 2022-01-06 16:0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김천에 문인 쓰리 스타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김연수, 김중혁, 문태준. 심지어 같은 연배라고 들었습니다.
와, 위키피디아 너무하네! 우이씨~

물론 골드문트님 보다 젊긴 합니다만 그도 50 넘고보면 더 이상 젊다고도
할 수 없죠. 무엇보다 그가 시골 출신이란 게 그런 시가 가능할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근데 이 리뷰 정말 잘 쓰셨네요.
전 시 잘 안 읽게 되는데 한 번쯤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이별에 대한 탁월한 작가와 독자의 안목도 그렇고.
˝깔깔하고 깔깔한, 깔깔하고 웃을 만큼 깔깔하거나,
상처가 여기저기를 후벼 파 깔깔하고도 깔깔한 것이
서로 개흙처럼 엉겨버렸으면 좋았을까?˝ 음...유구무언입니다.

알라딘이 이달의 당선작에 시 리뷰에 당선을 준 적이 있는지
모르겠는데 이 리뷰 당선됐으면 하네요. 흐흐

Falstaff 2022-01-06 16:27   좋아요 2 | URL
오, 재밌게 읽으신 거 같아서 기분 좋습니다.
지난 달에 김사인 시집 독후감으로 제가 3만원 벌었습지요. ㅋㅋㅋㅋ
문태준이 쓴 시어들에 비해 느므느므 젊은 나이라는 거였습니다. 70년생인데 50년생인 줄 알았을 정도로요. ㅋㅋㅋㅋ

coolcat329 2022-01-06 20:0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제가 봐도 70년생 같지가 않아요. 교과서에 실렸을 시 같기도 하구요.
저도 <이별이 오면> 정말 좋네요~바지락 박박 씻어 개흙을 다 씻겨내면 이별의 아픔도 씻겨 나가는 기분일거 같아요. 이별을 극복하고 다시 삶을 시작하겠다는 희망도 보이고 ‘엉덩이를 들썩들썩‘ 건강함이 느껴지는 시에요.

Falstaff 2022-01-06 20:33   좋아요 1 | URL
ㅎㅎㅎ 정말 재미난 시인입니다. 앞으로도 좀 읽어봐야겠어요!

공쟝쟝 2022-01-06 20: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별이 오면 바지락을.... ㅇ ㅏ... 따라갈 수 없는 감송이다... 바지락.. 바지락 칼국수먹고 싶다.. 바지락바지락바지락락..

Falstaff 2022-01-06 20:33   좋아요 1 | URL
아, 그렇지요?
공쟝쟝님 공감하지 않으시면 실망할 뻔했습니다. ㅋㅋㅋㅋ

공쟝쟝 2022-01-06 20:41   좋아요 1 | URL
… 슬펐습니다 (훌찌럭) 바지락도 좋고 저 두꺼비도 좋네요.. 그렇지만… 전 산문형 인간이라 시는 정말인지… ㅋㅋ 그래도 바지락 슬펐다… 훌찌럭…

Falstaff 2022-01-06 20:57   좋아요 0 | URL
ㅋㅎㅎㅎ 시 따위를 읽는데 무슨 산문형 운문형이 있겠습니까!
톨백작도 내 맘에 안 들면 다 늙어 집 나간 늙은이에 불과한 게 문학 아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