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자 - 어떤 나무들은 세계사 1995
최승자 시인의 시집 4권을 읽고 일기형태의 감상문을 써내야 하는 과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수필집 중 한권을 읽어봤다
수필 하면 가벼운 신변잡기라고 무시하듯 하는 시각도 있고 어느정도 수긍하기도 한다
쓰는 사람 나름 아닌가 싶다.
저자가 아이오와 라는 낯선 곳에서 약 5개월 동안 지내며 세계 각국에서 모여든 시인 소설가들과의
생활들과 거기서 엿볼 수 있는 그들의 처지와 저자가 바라보는 아이오와 나아가 미국의 당시의 문학계
의 일면들이 잘 그려져 있다
나름대로 저자의 의견이 피력된 부분들에서 간접적이나마 그곳의 풍경과 지구 반대쪽에서
글쓰고 있는 사람들의 낯선 모습들이 면면이 다가온다
곳곳에 김혜순 시인을 연관 시켜 관심을 배가시키기도 하고-담당과목 선생님이시니까-
수필다운 인간미 철철 넘치는 글귀들에서 혼자 키득거리게도 하고-몇번을 혼자 키들댔는지-
말미에 잠깐 언급한 한국문학이 영어권에 소개되지 못하는 문제점들과 저자 나름대로의
해겳방법들도 충분한 공감이 가는 대목이기도 하다
제일 재미있는 부분들은 저자의 별자리가 쌍동이자리인데 그것과 관련해서 언급하는 성격적 특성
일랄지 자신의 취향,성질 등등하는 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들을 꼽을수 있겠다.
왜냐하면 본인도 그 별저리인고로. 기타 저자가 말하는 개인적인 특질들이 자신과 비슷하다면
그 또한 재미난 일 아니겠는가.
누가 내게 일체의 경비를 대줄테니 외국여행을 가라고 한다고 해도 나는 가지않을거라고
종종 떠벌리곤 했는데 그만큼 낯선 환경과 말도 통하지 않는 소통부재의 상황에 막연한 두려움
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저자가 다녀온 것처럼 어떤 프로그램에 따라 어딘가를
방문하는것은 괜찮지 않을까도 생각하지만 여전히 언어의 문제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저자 또한 새롭게 인식한 사실가운데
'내가 반성하는것이 아니라 반성당하는 것이라는 사실, 끔찍한 사실' 을 저자는 간파했다는 것이다
사실, 개인적으로 반성하는 일들이 있을때 과연 그것이 진정 반성할 일인지
아니면 그렇게 하도록 프로그램화된 교육을 하는 사회에 살고있고 전혀 그 프로그램을 느끼지
못하고 살고 있다가 전혀 다른 사회에서 그것을 알게되었을때의 당혹감 혹은 이질감? 등등
그런것을 느껴보기위해서라도 다른 사회에 어느정도 살아보는것도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
특히 여성이라면.
수필을 읽고 이렇게 기분좋은 일은 없었을것 같다
얼마나 읽어봤겠느냐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