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유죽음 - 살아가면서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것에 대하여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7월
평점 :
이 글은 '자유죽음'이라 지칭한 자살을 방조하거나 옹호하는 글이 아니다.
'죽음'보다 죽음의 '자유'와 '의지'에 대한 저자의 끈질긴 고백이자 증언이다.
하루하루 떠밀리듯 살아지는 삶에 대한 진지한 고찰이기도 하다.
죽음 이후를 알 수 없으므로 죽음이 자유를 안겨줄지는 미지수이다. 다만 그것에 대한 선택만이 있을 뿐이다. 그것으로 그만이다. 더이상 무엇이 있겠나. 현재로써는 다만 無 라는 언어밖에 없다. 죽음이 자유와 평안을 준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프리모 레비, 엘리 위젤과 더불어 아우슈비츠 생존 3대 작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자유죽음"을 쓰고 2년 후 자살했다고 한다. 뒤이어 프리모 레비 역시 자살 한다. 어쩌면 저자는 이 글을 쓰면서 이미 '자유죽음'을 결심했던게 아닐까 싶은 심정들이 곳곳에서 읽혀진다. 내가 보기엔 그렇다. 그렇지 않고서는 쓸 수 없는 글이다.
저자의 말대로 '자살'이란 말 대신 '자유죽음'이라는 말이 적합하다. 자유죽음으로 대치 하자고 하면 종교적, 사회적 반대에 부딪힐게 불보듯 뻔하다. 수많은 자유 가운데 자신의 죽음에 대한 자유가 가장 중요하지 않을지. 죽음은 곧 삶이니까. 조 로만의 저작 "知的 자살"의 주장과 상통하겠다.
저자의 표현대로 '손을 놓아버리는 것'을 아무리 이야기한들 '그래도 살아야지'편인 대다수 사람들은 이해 못한다. 인간이란 그렇게 생겨 먹은 존재다. 자기 인생 앞에 닥쳐야만 뼛속 깊이 알게 된다.
끈질긴 저자의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과연 '자유죽음'을 이해해보려는 인간이 얼마나 있을까. 저자 사후 40여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