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 한유주 연작소설집 틂 창작문고 13
한유주 지음 / 문학실험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렇게 오랫동안은 아니었어, 고작 몇 년이었다. 하지만 사람이 죽으려면 몇 초로도 충분할 때가 있다. 나는 몇 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자살을 생각했다. 밤에는 누워서 가슴에 칼을 꽂는 방식에 대해, 가슴에 칼이 꽂히는 각도에 대해 생각했고, 낮에는 길 위에서는 도로에 뛰어드는 방식에 대해, 내 몸이 그릴 포물선의 정확한 형태에 대해 생각했고, 낯선 얼굴들로 가득한 폐쇄된 공간에서는 역시 칼을 생각했다. 하지만 거기까지였어, 나는 매 순간 자살을 생각하지는 않았다. 아마 몇 초에 한 번씩 자살을 생각하기에 나는 너무 정신이 말짱했어, 그러니까 하루에 한두 번씩, 어쩌면 서너 번씩 자살을 생각했다.
08

숨 이라는 제목 숨이 있고 없고에 따라 나뉘는 그것은
숨이 이어지지 않으면 죽음이 된다 아니면 죽음이 온다
숨에 대한 이야기는 동시에 죽음에 관한 이야기 이고 죽음에 관한 이야긴 또 숨에 관한 이야기 이기도 하고

소설을 감히 내 주제에 쓴다면 이런 소설 같은 소설을 쓰지 않을까 쓰고 싶은게 아닐까 이런 것밖에 못쓰지 않을까 결코 엄두도 내지 못할 일이긴 하겠지만 작가의 글쓰기는 아무나 하는 게 아니다 분명

현실에서 작가는 소설속 사람 처럼 안산에 있는 s대학에서 강의를 한 적이 있는 것으로 안다 소설가들이 소설을 그럴듯하게 만들기 위해 현실을 그대로 옮겨놓기도 한다 그러면 소설이 ‘진짜‘같은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안산의 s대학에서 중앙역 까지의 거리와 그 부근의 동네를 잘 안다 많이도 걸어다녔고 한때 거주했기 때문이다 소설 속에서 목 매달아 자살 한 친구의 이야기 역시 안산에 살던 때 갑자스런 교통사고로 황망히 죽은 젊디 젊었던 지인의 장례에 가던 그 겨울밤의 혹독했던 풍경을 고스라니 떠오르게 했다
유명인의 부고 또는 가까운 이들의 죽음에 따른 장례는 어쩔수 없이 죽음이라는 그 뭔가를 생각케 하지만 그런 일들이 자연스레 지나가더라도 늘 매일매일 죽음이 생각 나는건 막을 수 없다 매 순간 ‘숨‘을 쉬기 때문이다
소설속 사람이 안산에서 서울로 가는 도로에서 비둘기의 사체를 보고 또 반려견들의 죽음을 통해 친구의 죽음을 계속 꺼내어보지만 그런 외부적 자극이 없음에도 내부의 누가 쉼없이 이야기 하는 죽음에 익숙한 나머지 누군가는 터부시하고 회피하는 죽음이란 것이 밍숭밍숭한지 오래다 오히려 삶 보다는 죽음이 더 낫다는 나름의 결론 역시 오래 되었다
여하튼 구매 당시에 읽었더라면 무엇을 지껄였을까 싶기도 하면서 지금은 또 이런걸 떠들고 있구나 싶고 죽기 전이기 때문에 화자처럼 죽음을 구체적으로는 자살 생각을 할 수는 있는 것이고 그러면 밥을 먹고 뭔가를 읽는 것으로 치욕을 치르고

나는 죽음이라는 단어를 처음 이해한 순간 부터 죽음에 대해서만 생각했다. 021

나는 죽음이야말로 애매한 세상에서 유일하게 확실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053

나는 죽음에 대해서라면 끝없이 이야기를 할 수 있었다. 085

나는 나를 치울 수 없었고 나를 버릴 수 없었다. 그래서 죽고 싶었고 영원히 나를 버리고 싶었다. 0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음의 책 현대문학 세계문학 단편선 앤솔러지
사키 외 지음, 김석희 외 옮김 / 현대문학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에 관한 19편의 단편 소설을 묶은 책
누군가는 죽거나 죽음에 관한 소설들이기에 각 작가들은 누구를 어떻게 죽게 할 것인가 또는 죽음을 어떻게 형상화 했을까 주시하며 읽었다
납득이 되지 않는 죽음은 이미 우리 도처에 널렸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기에 소설 역시 납득이나 이해의 영역이 아니어도 상관 없었다
죽음은 당도한 현재 그것이게 마련인데 그것의 이해 여부가 죽음을 부정해주지는 않는다 죽음 자체와 죽음 직전 까지의 시간은 별개의 일이다 인간의 이해 관계가 아닌 자연적 현상 말이다

죽음만큼 일생일대의 사건도 없지만 그에 비해 아주 하찮고 어처구니 없음으로 죽음은 닥치기도 한다
간단명료하게 죽음 이라고 하든 아니면 살짝 인간적으로 인생의 끝 이라고 말하든 어쨌든 죽음이라는 이 삶의 끝에 대해 자주자주 생각한다 코 찔찔이 때부터 죽는다는 걸 생각했다고 하면 뻥 치고 있네 그러면서 지금까지 어떻게 살았냐 비웃겠지만 나 역시 그러하다만 그러거나말거나 상관 없다

잭 런던의 불 피우기의 사내처럼 서서히 자각하는 죽음도 있겠고 번개처럼 순식간에 번쩍하는 죽음도 있겠고 굳이 일일이 열거할 필요는 없이 어쨌든 죽음이라는 그 무엇

인간은 자신의 죽음을 상상해보거나 계획하고 실행할 수도 있다 대부분은 순종적으로 죽음을 어쨌든 기다리고 있는 상태를 유지중이다

이와중에 유튭은 75세의 남자가 운영하는 단식자연사 채널을 띄워준다 때때로 유튭 알고리즘이야말로 21세기의 전지전능인가 싶다

죽음에 관한 소설을 읽고 소설 자체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해서 뭐하나 싶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료의 생각 없는 생각 - 양장
료 지음 / 열림원 / 2025년 6월
평점 :
품절


관련 기사들이 하나둘 나올수록 매각 이전에도 문제가 많았던듯...
그럼에도 줄을 서서 사먹는 웃지못할 이 진풍경
자본주의의 진면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젊은이가 지나갔다
알랭 레몽 지음, 김화영 옮김 / 현대문학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내용에 앞서 이야기할건 교정교열이 엉망진창이란 점.
번역자가 과연 그 번역자가 맞나 싶을만큼 거칠고 오자도 많은 문장들.
그런것들이 책읽기를 상당히 거슬리게 한다.

한 젊은이의 지난 날에 대한 서술로 일관하는 내용 역시 딱히 주목할건 없었다.
후루룩 훑어내리는 요약본을 읽는 느낌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젊은이가 지나갔다
알랭 레몽 지음, 김화영 옮김 / 현대문학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내용에 앞서 이야기할건 교정교열이 엉망진창이란 점.
번역자가 과연 그 번역자가 맞나 싶을만큼 거칠고 오자도 많은 문장들.
그런것들이 책읽기를 상당히 거슬리게 한다.

한 젊은이의 지난 날에 대한 서술로 일관하는 내용 역시 딱히 주목할건 없었다.
후루룩 훑어내리는 요약본을 읽는 느낌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