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을 기록하라 - 작가들이 발로 쓴 한국 현대사 : 전태일에서 세월호까지
박태순.황석영 외 20인 지음 / 실천문학사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노동 운동에 대하여

다들 힐끗힐끗 본적은 많다. 어렴풋이 본적은 많다. 면접을 보기 위해 지나가던 광화문 앞에서, 금융의 중심가 여의도의 한 증권회사 앞에서, 직장을 다니던 회사 앞에서, 학교의 학생회관에서. 둥둥 울리는 스피커 소리, 주먹을 쥐고 외치는 구호, 머리에 두른 빨간 두건들, 그리고 서서히 퍼져 나가는 향 냄새는 뭔지 모를 긴장감을 주위에 퍼트려 나간다. 그래서 피한다. 힐끗 보고는 모른 척을 한 채 지나갔었고, 그들만의 싸움이라고 생각한다. 노동자들이 물론 불리한 여건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귀족노조, 툭하면 파업하는 노조라는 생각도 한편으로는 들었기에 서로 비슷비슷한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노조에 대한 기사는 거진 매일매일 신문을 통해 들려왔고, 거기에는 그들의 공격적인 모습, 어처구니 없는 요구, 경제 악화 등의 기사가 실린다.

그러니까, 우리는 노동자의 이야기를 별로 들어본 적이 없다. 그들의 시위장소에서 들려오는 확성기 소리를 이겨내기 위해 음악의 볼륨을 더 높이고, 현수막의 빨간 글씨들은 누군가의 생 떼라고 생각하고 읽지 않았다. 대학생, 직장인들은 노동자들을 그들과는 다른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노동에도 격이 있다는 듯한 인상. 자신은 하얀 셔츠를 입고 책상에 앉아 업무를 볼 것이니 현장 노동자들과는 다른 관리자 같은 노동자라는 생각. 구조적 문제 때문에 그들이 현장 노동자가 된 것이 아니라 그들이 선택을 했다는, 개인적인 문제로 선택했다는 이런 생각들, 이런 인상들이 모여 지금의 노동 환경을 만들고 있다. 과거에 비해, 전태일 열사가 분신한 시대에 비해 그 조건이 월등히 개선되었다고 해서 충분한 것은 아니다. 여전히 절대을의 위치에 자리한 그들. 건설 일용직들, 외국인 노동자들, 비정규직들은 현재의 직장이 있음에도, 혹은 회사에서 해고당해 돈이 궁한데도 거리로 나온다. 뭔가 크게 잘못되었으니까.  2015OEDC 회원국 중 저임금 노동자 비율이 2(25.1%), 노동자의 임금불평등 수준이 3위라는 처절한 현실이 그들을 거리로 내몰았다.

그래서 우리가 노동 운동을 정면으로 응시해야 한다. 이어폰을 빼고, 시선을 돌리지 말고, 그들이 외치는 것을 보고 들어야 한다. 그것이 큰 힘이 될 것이다.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아는 것은 그것이 바뀌어야 한다는 인식을 낳는다. 우리가 붉은 두건을 두르거나, 노동가를 부르거나, 화염병을 던지는 것까지는 바라지 않는다. 단지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고 그것을 이해한다면, 적어도 그들이 과도한 임금이 아니라 정당한 임금을 요구하는 것을 이해해 준다면, 변화는 생각보다 빨리 올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