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베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7
서머셋 모옴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자들이 얼굴을 가리거나 장식하기 위하여 쓰는 얇은 망사. 베일에 대한 정의이다. 완벽하게 가리지 않기 때문에 얼굴이 살짝은 보이지만 그렇다고 완벽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인생도 보일 듯 보이지 않는 그 신비함 때문에 베일에 쌓여 있는 것과 같다. 앞으로의 인생이 나의 마음대로 갈 것 같으면서도 이내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 완벽하게 가려진 것도, 그렇다고 완전하게 드러난 것도 아닌 것이 인생이라는 것을 작가는 주인공 키티를 통해서 말하고자 한 것이었을까.

 

키티는 사랑을 찾아 헤맸다. 결혼 적령기가 지나도록 결혼을 하지못해 어머니로부터 냉대를 받고, 내키지않게 결혼한 남편으로부터 사랑을 받지만 진정한 사랑이 아니라고 무시했다. 그녀에겐 별 볼품없는 세균학자 남편을 놔두고 키티는 홍콩의 차기 총독과의 불륜을 저지른다. 그녀를 위해 모든 것을 바칠 줄 알았던 내연남 타운센드는 그들의 불륜이 들통나자 자신의 부인을 옹호하며 모든 것을 거부한다. 이에 모든 것을 포기하고 남편에게 끌려가듯이 콜레라 발병지역으로 들어간 그녀는 거기에서 수녀들을 만나 새로운 삶에 눈을 뜨게 되어 콜레라 환자들을 돕는다. 그녀는 새로운 삶으로부터 과거를 용서받지만 그녀의 남편은 끝내 그녀를 용서하지 못하고 자신의 몸을 콜레라의 실험에 이용하다가 결국 숨을 거뒀다. 그리고 그녀는 어머니께서 돌아가신 집으로 돌아와, 그동안 가족으로 서로를 받아들이지 못했던 아버지와 극적인 화해와 이해를 통해 새로운 시작을 한다. 진정한 사랑을 결국 가족,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그녀는 이제 베일을 벗고 진실된 삶을 살게 된 것이다. 사랑을 찾기 위해 영국에서 홍콩으로, 홍콩에서 콜레라가 발병한 중국의 시골로, 거기서 다시 영국으로 돌아온 그녀의 여정은 파울로 코엘료의 소설 연금술사의 주인공 산티아고의 여정과 닮았다. 보물을 찾아 여기저기를 여행하다가 결국은 자신이 태어난 고향에서 찾게 되는, 보물이나 사랑은 먼 곳에 있지 않다는 것이 공통으로 느껴진다.

오색의 베일, 살아 있는 자들은 그것을 인생이라고 부른다.’ (Lift not the painted veil which those who live call life.) 영국의 시인 비시 셀리의 말은 인생을 오묘하게 잘 표현하였다. 오색의 베일은 우리의 눈의 현혹하여 그 속에 숨겨진 얼굴을 제대로 보지 못하게 한다. 그 속에 얼굴이 있다는 것은 알지만 정확히는 알 수 없게 하는 오색의 베일. 우리네 인생도 역시 베일에 싸여 있겠지. 돈을 많이 벌고, 더 성공하고 싶은 이유는 가족들에게 더 좋은 것을 대접하기 위한 것도 있는데, 지금도 할 수 있다. 그런데도 작은 돈마저 아끼려고, 저축하려고 한다. 소중한 것은 가까이에 있는 법인데키티를 통해 인생의 베일을 약간은 열어 볼 수 있었으니, 가족들을 위한 소고기라도 조만간 사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