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 서른 살 빈털터리 대학원생을 메이지대 교수로 만든 공부법 25
사이토 다카시 지음, 김효진 옮김 / 걷는나무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독서를 통해 얻고 싶은 것에 대하여


     나는 왜 이 책을 골랐을까? 제목에서의 ‘절대’가 주는 그 강렬함에 반해서? 아니면 ‘서른 살 빈털터리 대학원생을 메이지대 교수로 만든 공부법 25’라는 부제에 이끌려서? 읽고 난 뒤에 생각해보니 나는 그냥 나의 이 독서 행위에 대해 인정을 받고 만족을 얻고 싶었기 때문에 이 책을 고른 것 같다. 다른 일반적으로 4학년으로 진학하는 사람들이 흔히 하는 취업 공부는 하지 않고 1년에 책 100권이라는 계획을 세우고 설렁설렁 책을 읽고 있는 나에 대한 보상심리였다. 책을 읽으면 좋다는 것을 신문기사를 통해서 다른 책들을 통해서 학교 수업을 통해서 머리에 충분히 입력이 될 만큼 들었다. 손정의나 워렌 버핏 처럼 책에서 저자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엄청난 독서량이 성공의 비결이라고 밝힌 수 많은 인사들의 인터뷰를 알고 있으며, 메모하며 읽기, 여러 권을 한꺼번에 읽기 등등 여러 독서법에 대해서도 주워 들은 것이 많다. 그냥 나는 지금 이 독서의 행위가 나를 정말 배신하지 않았으면, 오히려 나의 앞길을 창창하게 해주었으면 하는 과대망상을 좀 더 단단히 하기 위해 이 책을 읽었다. 그리고 깨달았다. 나는 책을 완전히 몰두하고 읽지 않았고, 단순히 책의 문장들을 읽어 내려가는 것에서 스스로의 발전이라고 착각하고 있었다는 것을 말이다. 


    치열하게 읽어야 한다. 며칠 전 친구들을 만난 자리에서 한 친구가 공무원 시험에 나온 어려운 문제라며 말했던 것이 ‘관리의 덕목에 관한 정약용의 세 개의 책을 말하라’ 였다. 대부분 목민심서만을 알고 있었을 뿐이라며 상당히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고, 나 역시 목민심서만을 기억하고 있었다. 그런데 거기 있던 친구 한 명이 흠흠신서도 거기 포함되지 않냐며 정답의 하나 더 를 말하는 것이 아닌가. (정답은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라고 한다.) 지금까지 제대로 읽은 책이 300권도 채 되지 않은 내가 왜 그때 그런 감정이 들었는지 모르지만 분하고 부러웠다. 그래서 어떻게 알고 있냐고 물었더니 인터넷 어디서 본 적이 있다고 하였다. 부럽다. 그런 기억력이 부럽다. 나는 아둔하여 한 번 읽은 책의 내용을 온전히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그나마 독후감을 써야 20%의 내용을 복기하는 정도일까. 나도 누군가와 대화하면서 유창하게 ‘제레미 다이아몬드가 총,균,쇠에서 말하기를….’.,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에서 그렇게 말했었지’라고 말하고 싶다. 책의 정보를 나의 지식으로 만들고 싶지만 너무나 어렵다. 그러니 더욱 더 치열하게 읽어야 한다.  항상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나는 그 생각에 동조하는지, 나라면 어떻게 생각할지를 염두에 두고 읽어 나가야겠다. 독서를 공부라고 생각한다면 그에 맞게 공부하듯이 열심히 읽는 것이 도리다. 


- 독서 관련 사업에 대하여


    책에서 독서의 효과를 설명하면서 저자는 영국의 서섹스 대학교에서 시행된 연구결과를 인용하였다. 결과부터 말하면 독서, 산책, 음악 감상, 게임 등 스트레스 해소에 가장 큰 효과를 보이는 것이 독서라고 밝히는 연국 결과다. 책에서 ‘ 6분 정도 책을 읽으면 스트레스가 68퍼센트 감소되고, 근육 긴장이 풀어지며 심박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진행한 루이스 박사는 “독서는 현실에서 탈출하고 싶은 욕구를 잘 충족시켜 준다. 무슨 책을 읽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다만 작가가 만든 상상의 공간에 빠져 일상의 스트레스와 걱정에서 탈출할 수 있으면 된다.”고 전했다.’ 이 얼마나 엄청난 발견인가. 쉽사리 믿을 수 없어 원문을 읽기 위해 검색을 해보는 데 논문의 제목이 'Galaxy Commissioned Stress Research', Mindlab International, Sussex University (2009)’ 인 것까지는 찾아냈다. 프린트해서 실험이 편견 없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해 볼 것이다. 그런데 정말 그렇다면 정말 엄청난 기회다. 흔히 독서를 몸과 정신을 모두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공부와 같은 등급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 논문에 따르면 정반대라는 것이다. 이제부터 독서 관련 논문도 같이 읽어봐야겠다. 그래서 아직 책을 많이 읽지 않는, 그래서 성공의 가능성이 많은 이 땅에 할 수 있는 사업이 없는지 생각해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