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 도서관에서 길을 묻다 ㅣ 선생님들의 이유 있는 도서관 여행
전국학교도서관담당교사 서울모임 지음 / 우리교육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 독서 문화와 도서관에 대하여
나는 책을 주로 빌려서 읽는다. 우리 집 바로 옆에 있는 내 출신 고등학교의 도서관을 주민들도 이용할 수 있어 엄청 크지는 않지만 아직 안 읽은 책들 천지이기 때문에 자주 이용한다. 매번 갈 때마다 느끼는 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시험기간에는 도서관이 인기 폭발이다. 자리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또 한가지는 도서관에서 책 읽는 사람은 별로 없다는 점이다. 모두 도서관에서 공부를 한다. 토익책이며 고시 공부를 위한 두꺼운 법책이며 학교 시험 공부를 위한 전공책이며 열심히 들여다보면서 정작 서가에서 꺼내 책들을 읽지는 않는다.
이 책에서 저자는 유럽의 도서관 문화를 찬양하며, 국내 도서관 수의 확대와 사서의 증가를 말하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단순히 시스템이 구비된다 하여 책을 읽을까 싶다. 독서문화가 확장되면 도서관의 수는 자연스럽게 늘 것 같지만, 도서관의 수가 증가한다하여 독서문화가 확장될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도서관은 책을 읽기 위한 공간이라기 보다는 공부를 위한 공간으로서의 역할이 좀 더 강한 것 같다.
그렇다면 독서문화를 어떻게든 퍼트려 나가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하는데, 그 방법이 참으로 어렵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배우는 것을 참 좋아한다. 요즘의 멘토 열풍이 잘 보여주는데, 멘토의 강연을 들으러 여기저기 우르르 몰려 다닌다. 근데 왜 책에서 배우는 것은 생각하지 않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이번 년도 하반기에는 우리나라 독서를 부흥시키기 위한 방안을 생각하고 실행해보는 걸로 결심했다. 어린이들의 독서 문화에서의 ‘아이북랜드’처럼 책을 좀 더 잘 읽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유통 방안, 판매 제도 등등 모든 방법을 생각해 봐야겠다.
- 독서 중독증에 대하여
책에 나온 단어 중에 참으로 신기한 단어여서 기억에 남았다. 유럽의 어느 나라는 과거에 독서중독증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독서 문화가 활발했다는 의미다. 보통 중독이라는 의미는 부정적이어서 너무 과하다는 인상을 주는데 독서를 너무 과하게 해서 중독되는 것이 과연 나쁜 것일까라는 생각이 든다. 사람들을 만나지 않고 너무 책에만 몰두해서 나쁘다는 것일까, 아니면 책의 내용에 너무 몰두해서 베르테르 효과 같은 현상이 너무 많이 일어났기에 부정적으로 말하는 것인지 궁금하다. 책은 아무리 생각해도 많이 읽으면 많이 읽을수록 좋은 거 같은 나에겐 아직 이해가 되지 않는 단어다. 요전에 어떤 이는 퇴사를 하고 매일매일 도서관으로 나가서 책을 엄청나게 읽어서 결국 스스로가 책도 내고 강의도 다녔다는 스토리가 있을 정도로 책은 결코 많이 읽는다고 하여 나쁜 것이 아닌 것 같다. 단지 좋은 책을 고르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져 나오는 책들 사이에서 지혜를 담고 시대가 지나도 그 가치가 유지될 책들을 고르는 것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