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원에 가기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 무겁지 않은 책에 대하여


    이 책은 상당히 짧은 책이다 .알랭 드 보통의 산문들을 엮은 책으로 스토리가 있다기 보다는 저자의 평소 일상과 생각을 좀 더 자연스럽게 드러낸 책이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답게 자유분방한 책의 내용도 마음에 들었고, 무겁지 않아서 좋았다. 편안한 기분으로 읽었다.  나는 책을 읽을 때 거의 고전, 꼭 읽어야 하는 필독서, 세인트존스 대학교의 100권의 책들처럼 좀 있어 보이는 책이나 어려운 책 위주로 읽으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그런 지혜를 쌓기 위한 독서의 중간중간 무겁지 않은 책들은 쉼표처럼 잠시 쉬어가는 시간을 준다. 그래서 내용이 별로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마음은 편안하다. 책의 내용을, 책의 정보를 얻는다는 느낌보다는 저자를 알아간다는, 저자와 내가 비슷하구나라는 감정을 느낀다. 책을 읽으면서 알랭 드 보통이란 유명한 사람도 쓸데없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고, 사랑 때문에 발을 동동 구르며 여느 사람들처럼 ‘보통’이구나 라고 느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의 그의 글솜씨에 부러움을 느낀다. 평소의 일상도 어떻게 풀어쓰느냐에 따라 아름다운 일상이 될 수도 있고, 단순한 일기가 될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작은 것도 아름답게 쓸 수 있다는 것은 축복이다. 내가 좋아하는 두 명의 작가, 알랭 드 보통과 밀란 쿤데라가 그런 능력은 참 뛰어나다고 생각한다.  특히 밀란 쿤데라의 ‘무의미의 축제’에서 무의미한 것에 대한 축복하는 글은 흉내를 내서 따라 쓰고 싶은 책이다. 이렇게 보면 나는 무겁고 있어 보이는 책을 읽으려고 하나, 사실은 이런 가볍고 따뜻한 분위기의 책을 더 좋아하기는 하나 보다.



- 동물원에 대하여


    이 책의 제목은 책의 소제목에서 따 왔다. 본문에 동물원에 가기란 제목의 산문에서 저자는 기념일에만 가는 동물원에 대해 생각하며 평일에 방문했던 동물원에 대한 생각을 끄적거렸다. 사실 가볍게 읽어서 내용은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느낌을 되살려보면 우리가 항상 기념일에 자유로운 곳이라 생각하며 방문하는 동물원이 사실은 동물들에게 가장 폐쇄적인 공간이라고 지적한다.  우리는 자유를 찾아서 구속의 공간으로 향한다고. 나에게도 동물원은 기념일 아니면 갈 일이 없는 곳이다. 어렸을 적, 체험활동이나 수학여행으로나 많이 갔었지 성인이 된 이후로는 동물원에 꼭 가야지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다. 하지만 저자의 내용을 보니 꼭 한번쯤은 평일에 가봐서 성인이 된 이후의 동물원에 대한 나의 감정을 한 번 느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