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도전과 그의 시대 ㅣ 이덕일의 역사특강 1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 --참모에 대하여
나는 글로벌 리더가 되고 싶은 목표가 있다. 확실히 무모한 꿈이지만 뭐 꿈이라도 크면 좋지 않을까 해서 나이를 먹어감에도 계속 가지고 있는 꿈이다.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나는 당연 나의 역량이 제일 뛰어나야 한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을 아우르는 카리스마는 단순히 행동이나 표정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가진 실력, 역량에서 발현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독서도 늦게나마 꾸준히 이어나가는 이유도 나의 실력을 높이고, 나의 역량을 높이는 데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헌데 이 책을 보면서 글쓴이의 기가 막힌 지적에 어쩔 도리가 없었다. 저자는 한국사와 중국사의 중요한 차이중 하나가 참모사와 짱사의 차이라고 말하였다. 중국사에는 중요한 역사적 시대마다 참모가 나타나 역사를 바꾸는 참모사라면, 한국사는 짱, 즉 ‘장’이 혼자 다하는 역사였다는 것이다. 리더가 혼자 사고하고, 혼자 결정하고, 혼자 행동하는 역사에서 추락한 인물은 수도 없이 많은데 그들의 공통점이 자기가 제일 똑똑한 줄 안다는 것이다. 나는 내가 똑똑하지 않은 것은 확실히 알고 있지만 제일 똑똑해져야 리더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굳게 믿고 있었다. 그런데 역사는 좋은 참모를 가진 리더가 성공하는 증거를 들이밀었다. 사실 우리가 요즈음 티비에서 인터넷에서 수없이 보는 성공기를 보면 모두 한 사람에게 집중이 된다. 그것이 영웅화하는 효과도 있고, 기업의 성공에도 도움이 된다.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 애플의 스티브 잡스, 삼성의 이건희 등. 그래서 우리는 성공이 그들 혼자의 역량으로부터 나왔다고 으레 생각하기 쉽지만(내가 그 으레 생각하는 사람의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 성공기를 가만히 읽고 있어보면 참모가 드러난다. 그것이 공동 창업자가 되었든, 부하 직원이 되었든, 배우자가 되었든, 혼자 성공한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한 것이다. 책의 주인공 정도전 역시 조선의 참모사에서 으뜸인 사람이다. 조선을 세운 사람은 이성계지만 조선을 디자인하고 구조 자체를 바꾼 사람은 정도전 이었다. 그 이전 시대의 공민왕과 신돈, 이후의 중종과 정도전 등, 우리나라에도 대표적인 케이스들이 있다. 하지만 끝은 모두 좋지 않았다. 리더가 뽑은 참모이지만 참모의 실력이 워낙 좋기 때문에 리더를 뛰어넘는 평가를 받았고 거기서 두려움을 느낀 리더들이 참모를 없애 버리는 구조는 우리 역사에서 반복되었다. 중국을 참모사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아마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라는 대표적인 경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삼고초려로 맺어진 만큼 절대적인 신뢰, 누가 봐도 제갈량이 유비보다 역량 자체는 뛰어났지만 그럼에도 유비가 그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 윈윈하는 역사를 보여주었다. 지금 중국이 한창 부패를 척결하는데 속도를 잘 내는 것도 어떻게 보면 참모들이 좋아서 일 것이다. 고위직의 부패척결은 절대로 리더 혼자서 하지 못한다. 권력의 최상층인 리더와 참모가 조화를 이룰 때 가능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살펴보면….참모는 수도 없이 바뀌는데 리더만큼은 굳건하다. 우리 역사에서 참모가 너무 큰 경우 리더가 제압하는 경우는 있어도 이렇게 참모가 크지도 못하는 시대는 또 처음인 것 같다. 그래서 김영란 법도 이 모양이고 창조경제는 어느 순간부터 누구도 외치지 않고…이래저래 좋은 사람을 만나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
- --땅에 대하여
결국은 땅이 문제다. 우리나라는 작다. 엄청 작은 건 아니지만 특히 서울은 작다. 인구 밀집도가 세계 최상위권이기 때문에 아파트를 아무리 지어도 집이 부족하다고 아우성이다. 부동산은 언제나 우리나라 최고의 화두였다. 강남 집값이 들썩인다고 하더라, 어디가 신도시로 지정된다고 하더라, 재개발이 된다고 하더라. 과거는 주로 투기형으로 화제가 되었다면 이제는 생계형으로 그 이슈가 옮겨가지 않나 싶다. 가난한 사람은 울며 겨자먹기로 전세가 아닌 집을 사는 풍토고 잘 사는 사람들이 전세로 옮겨 다닌다. 그런 부담이 밀려 밀려 이제는 대학가 근처 자취방도 방이 없다고 한다. 사회 초년생들이 집을 구하지 못해서 그냥 대학가 자취방에서 출퇴근을 하기 때문이다. 아우성. 고려 말 시기도 이와 참 비슷했다. 책을 보니 한 땅의 주인이 5-6명은 기본이요. 구가세족의 땅은 산천으로 경계를 삼았다고 한다. 서울 전체를 두 집 안이 나누어 가졌다는 의미이다. 또한 구가세족은 세금도 내지 않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재정은 부족하고 서민에게 그 부담을 떠 안기는 식이다. 복지 없는 증세를 외치는데 고위 탈세자 등 걷혀야 할 곳에서는 걷히지 않으니 복지에 필요한 돈이 부족하고, 연말정산 폭탄과 같은 방식으로 서민들에게 부담을 떠 안기는 식이다. 역사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 있나 보다. 반복이 되는 것. 모양은 다르지만, 주체는 다르지만 본질은 같다. 정도전은 조선 건국을 계획하면서 토지개혁부터 떠올렸다고 한다. 그래서 정작 조선 건국은 위화도 회군 4개월 이후이지만 그 사이에 급진적 토지개혁, 계민수전(사람의 수에 맞게 땅을 분배)을 주장하며 토지개혁의 기틀부터 다졌다. 이성계라는 상승장군와 그의 군대가 있었기 때문에 권력층의 반발을 막을 수 있었다. 현 사회에서는 이성계와 그의 군대 같은 것을 바랄 수도 바라서도 안 된다. 좋아질 기미는 없이 점점 악화되어만 가는 우리 나라 토지 상황. 책에서 말하길 2013년 대한민국 인구의 상위 1퍼센트가 전국 토지의 55퍼센트를 소유하고 있다고 하였다. 2015년 지금은 더 심할 거라고 자신(?)한다. 높이 2미터도 안되고 가로 세로 10미터도 안 되는 공간을 차지하기 위한 99퍼센트의 사투. 땅을 가지고 우리가 싸워야 할 상대는 서로가 아니라 이 구조, 이 사회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