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짐 콜린스 지음, 이무열 옮김 / 김영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사람에
대하여
책에서 좋은 기업에서 위대한 기업으로 올라선 기업들에 대해 다양한 이유를 들었지만, 모든 것은 결국 사람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단계 5의 리더도 그렇고, 문화를 만들 때도 그렇고, 결국은 좋은 사람을 뽑는 것이 위대한 기업의 기초 작업이라는 것이다. 책에서는 버스를 어느 방향으로 몰아 가야 하는지는 중요하지 않고, 버스에 누구를 태우냐가 훨씬 중요한 것이라고 했다. 태우기만 하면 어디든지 가기는 가는데, 태운 사람이 최고의 사람이라면 결국은 좋은 방향으로 간다. 언제나 사람이 문제인 것 같다. 책에 나온 몇몇 사례를 보면 원하는 분야의 최고 적임자를 데려오기 위해 많은 돈을 쓰기도 한다. 하지만 그 이전에 좋은 사람을 보는 눈이 필요하다. 그 사람이 최고인지 아닌지는 평판이나 경력을 보면 잘 나온다. 하지만 그 사람이 나와는 잘 맞을 것이라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결국 그런 사람을 찾기 위해서는 사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역량인 것 같다. 책에서도 단계 5의 리더가 위대한 기업의 주요 요소라고 보았다. 책에서는 몇 가지 다른 요소와 동등한 중요도로 표현하였지만 단계 5의 리더가 결국은 최우선이자 전제조건이라고 생각한다. 좋은 사람을 찾아 좋은 자리에 앉히기만 한다면 특별히 기술적 능력이 뛰어나지 않아도 얼마든지 위대한 기업으로 올라설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내가 특별한 능력이 없는데 최고의 실력을 가진 사람을 어떻게 데려올 수 있을지 걱정이다. 책에서는 단순히 최고의 적임자를 데려왔다고만 했는데 어떻게 데려왔는지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적어놓지 않았다. 주변 친구들에게 창업에 대하여 장난으로라도 얘기를 하면 모두들 관심을 가진다. 하지만 그들 중 얼마나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을지는 생각해 보지 않아도 별로 없을 것이다. 좋은 사람을 만나기 위해서는 일단 많은 사람을 만날 수 있는 환경으로 나가야 한다. 몇 년 전, 나는 어떤 친구의 프로젝트에 잠깐 참여했던 기억이 있다. 그 친구는 그 프로젝트를 크게 생각하여 사업으로 생각했는데, 나를 파트너로 생각하였다. 하지만 나는 첫 번째 프로젝트에 끝까지 참여하였는데, 확실하게 하겠다, 하지 않겠다 라고 말하지도 않은 채 흐지부지 지금까지 학교를 다니고 있다. 지금도 그 친구와는 자주 연락을 하지만 마음 한 켠 속에 미안한 감정이 있다. 그 친구의 프로젝트는 상당히 좋아 지원도 받는 프로젝트 이었는데, 내가 하고 싶은 방향과는 달랐고, 무엇보다 나도 내가 직접 해보고 싶은 옹졸한 마음이 이런 결과를 만들어 낸 것 같다. 그 친구는 이미 시작했다는 부러움, 그런 치졸한 마음이 더해져 그 친구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했던 것이다. 내게도 분명 좋은 기회가 되었을 텐데 너무 어렸던 것 같다. 파트너를 얻는다는 것은 다시 말하면 누군가의 파트너가 된다는 것이다. 앞으로는 내 자신을 더 키워 좋은 사람이 되어야겠다.
- 위대한 기업과 좋은 기업에 대하여
대단한 줄 알았다. 좋은 기업도 아닌 대단한 기업이라 했을 때 생각난 기업들은 애플, 코카콜라, IBM, 맥도날드 등 전세계에서 인지도가 높고 브랜드 가치가 높은 기업들이었다. 하지만 책에서 제시한 위대한 기업들은 하나 같이 잘 알지도 못하는 기업들이었다. 물론 미국 기업에 한정되어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처음에는 납득하기 어려웠다. 나중에 본문에 나온 수익률의 차이와 지속능력을 보고 나서야 이해 할 수 있었다. 책에서는 위대한 기업들의 특징을 몇 가지로 간추려서 우리에게 제시한다. 그렇다면 좋은 기업들이 그러한 특징들을 그대로 따라 하기만 하면 위대한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 같지만 현실은 당연히 그렇지 않다. 따라 하기만 해서 될 수 있다면 그 어느 기업이 위대한 기업이 아닐 수 있으랴. 예를 들어 직원 복지가 어마어마한 회사가 오히려 생산성이 좋다는 사례는 수도 없이 들어서 많은 기업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들이 여전히 비용을 아끼기 위해 적은 복지만을 추구하는데, 왜 그들은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