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어드 - 우리가 그들이고 그들이 곧 우리다
데브 팻나이크 지음, 주철범 옮김, 현용진 감수 / 이상미디어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1979 어느 이른 아침, 뉴욕에 살고 있던 젊은 디자이너 패티 무어는 평소와 다르게 행동하기 시작했다.

-          공감에 대하여

  본문에 나온 공감의 예시를 기억나는 대로 적어보면, 휠체어에서 2주간 체험, 자동차 주차공간이 없는 할리 데이비슨, 폭력성 게이머들의 공감에 성공한 MS Xbox. 해리 백의 다이어그램 지하철 노선도, 분사시키지 않고 거대 회사를 그대로 유지, 성공시킨 IBM 거스트너, 연주자들과 수없이 어울리며 최고의 심벌즈를 만들어낸 아베디스 질지언사, 영국에서 국산 농산물 소비운동을 시작한 니나 플랭크, 직접 식당에서 일을 하며 만들어낸 만화 영화 라따뚜이’, 대학가를 방문해서 관찰을 통해 스포츠 패션 분야을 개척한 나이키 등등 많은 성공 사례들이 등장한다. 외국 작가가 책이기에 외국 사례들만 나온 것은 이해할 있어도, 국내의 성공적이 사례를 스스로 생각해 보려 해도, 나지 않는다. 이유를 가만히 생각해보면 역시나 고스펙 시대, 다스펙 시대로 이어지지 않나 싶다. 공감이라는 것은 본문에서처럼 대상과 오랜 시간 같이 지내면서 교감을 하고 이해를 하면서 생겨나는 것이고 그것을 토대로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온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겉으로 보기에 아무런 생산적이지 않는 추상적인 공감을 용인하지 않는다. 영어 점수, 대외 활동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지표를 원한다. 그리고 가지를 잘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잘하기를 원한다. 단군의 홍익인간 정신은 정말 죽어도 지키는 같다. 때문에 우리 사회의 사람들은 공감할 시간, 주위 사람들을 돌아볼 시간에 점수를 올리기에 바쁘다. 이런 사회에서는 아이디어는커녕 대상을 이해하기도 힘들다.  미국의 실리콘 밸리가 끊임없이 새로운 스타트업을 쏟아내며 명성을 이어가는 데에는 공감처럼 어찌 보면 쓸데없는 행위에 관대하고 허용하는 분위기를 지니고 있어서 것이다. 미국과 대비하여 우리나라는 대체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걱정할 일이다. 현상유지를 해보았자 경제성장률은 쥐꼬리만큼이고 내로라했던 대기업들은 이제 세계에서 힘을 잃어간다. 새로운 벤처 기업이 대기업으로 사례는 아예 없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분명 능력이 있는데 그런지 모르겠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원체 공감의 능력이 특별하다. 본문에서 인간에게는 거울 신경이란 것이 존재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똑같이 느끼는 능력이 있다고 했는데, 우리는 동안 그것을 이라고 불렀을 뿐이다. 외국인들도 정이 너무 좋아서 한국을 다시 찾아올 정도로 공감 능력이 특히 발달했는데, 엉망진창인 사회구조가 우리 국민의 특출 능력마저 억누르고 있다. 청년의 5 1명이 취업을 못하고 그나마 취업을 자들도 1 계약직이 대부분, 직장에 들어가도 40대까지 버티지 못하고 나가라고 하는 것이 다반사, 자영업은 이미 레드오션열거할수록 더욱 암담한 현실인데도 딱히 목소리는 나오지 않는다. 아마 우리 국민의 특출 공감능력이 발휘되어 나만 힘든 것이 아니고 너도 힘들고 우리 모두 힘드니 참고 살자라고 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          디자인 씽킹에 대하여

지난 학기 들었던 수업 중에 책과 정말로 유사한 개념을 배웠던 적이 있었다. 디자인 씽킹이라는 방식이었는데, 평범한 같은 사람들은 어려워했던 수업이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디자인이라 하면 예술적 감각이 뛰어난 디자이너들이 어디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디자인 씽킹은 디자인을 쓰는 사람들을 먼저 관찰하고 이해한 뒤에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 대상을 설정하고, 대상에 공감하고(empathy), 공감을 바탕으로 문제를 도출하고(define problem), 문제를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내고(ideate),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켜보고(prototype), 구체화 시켜 대상에게 적용(test)해서 좋으면 발전하고 아니면 이전의 단계들로 돌아가는 것이 기본 구조이자 주요 구조이다. 처음에 개념을 배웠을 때에는 ideate, 아이디어를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구나라고 어림짐작을 했었는데, 완전히 틀렸다. 학기의 중반이 지나가도록 empathy 머물러 있었다. 대상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면 다음단계는 아무런 소용이 없다고 하였다. 정말로 책에서 강조하는 말과 일맥상통하였다. 그리고 매우 어려웠다. 본문에는 문제해결을 위해 휠체어를 동안 이용해보거나 대상과 주일 동안 같이 다니며 관찰하고 이해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같은 경우는 바쁜 학기를 핑계 삼아 대상을 관찰하지 않았고, 기본적으로 이해를 하지 못했다.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대상이었는데, 노약자나 생활이 어려운 사람이었던 다른 팀들에 비해 비교적 접근하기 쉬운 대상이었음에도 불성실하게 임하였고, 내가 자전거를 타니까 생각이 맞을 것이라는 편견에 휩싸였다. 결국 결과물로 내놓은 것에 확신이 없었고, 점수는 거짓말을 하지 않았던 기억이 난다. 책의 저자가 하는 수업을 한국에서 들었다고 있는데, 낙제점을 받은 학생이었던 것이다. 평소 읽기를 좋아하고, 다양한 것을 접하는 것을 즐겨 하여 나름 창의적이고 기발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순서부터가 잘못된 것이었다. 정말 좋은 디자인, 해결책은 나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대상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이번 수업, 책을 통해 번이나 느꼈다. 문제에 이미 답이 있다는 것이 디자인씽킹의 핵심인 같다.  우리나라의 대다수 사람들은 나처럼 문제의 근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할 것이다. 문제는 항상 주어져 있었고, 이미 정해져 있는 답만 찾으면 됐었으니까. 교수님도 empathy define problem에서 어려워하는 우리들을 보고, 지금 우리가 하는 것은 문제를 찾아내는 것부터 하는 것이기에 어려울 밖에 없다고 하셨다. 그렇다고 피하면 안되고 끈질기게 지켜보고 이해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너무 빨리빨리 문화이다. 최근 정부의 어처구니 없는 대책도 같은 이치이다. 액티브 x 없애라고 명령이 내려오자 부랴부랴 액티브x 없애고 불편한. exe다운로드 방식을 추진한 정부. 문제의 근원이 무엇인지 몰라도 한참 모르는 대책이었고, 디자인 씽킹을 모르는 것이 아니라 thinking 자체를 못한 같다. 국민들이 액티브x 사용하는 데에 불편함을 느끼는지 조금이라도 조사를 했더라면(이미 불편한지, 어느 나라가 좋은 사례인지 언론과 인터넷에서 모두가 말하고 있지만) 그와 같은 졸작은 내놓지 않았을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액티브x 인터넷 사용과정을 인터넷 사용유저에게 넘기기 위한 도구라고 하며, 미국과 같은 경우는 추가적인 설치파일은 모두 해당 웹사이트나 회사에서 처리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해도, 정부는 그저 액티브x 자체가 잘못 되었으니 다른 걸로 대체하면 되겠구나라고 결론을 내렸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창조경제의 흐름이 어떻게 흘러갈지 정말 걱정이다. 창조경제(공무원 분들이 의미라도 제대로 알고 있다면) 정말 살리고 싶다면 부디 지금과는 조금만이라도 다르게 생각하고 정책을 짜주었으면 좋겠다. 책의 문장도 패티 무어라는 등장인물이 평소와 다르게 행동했다는 문장이다. 나의 동안의 사고방식, 일반적인 생각의 방향에서 벗어나 다르게 바라보는 . 이것이 모두에게 필요하다. 자원 하나 없는 나라에 믿을 것은 우리 국민의 thinking 뿐이다. 정부가 방해만 되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