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부끄러웠다. 책을 대하는 저자의 자세를 알고 나면 그 동안 책을 어떻게 대해왔는지에 대한 반성을 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얼굴이 붉혀진다. 어째서 이 책을 오거서 프로그램의 마지막 책으로 읽었는지 아쉬울 따름이다. 첫 번째 책으로 읽었었더라면 그 동안에
읽었던 책들을 더 맛깔나게 읽었을 것이었는데 그것이 아쉬운 점이다.
책은 저자인 박웅현씨가 어떤 인문학 강연회를 진행했던 것을 책으로 집필해 놓은 것이다. 삼주마다 진행했던 강의라고 하는데, 몇몇 작가나 작품들을 주제로 정해놓고 그 주제에 대해 박웅현씨의 생각을, 그리고 책의 깊이를 배우는 강연이다. 박웅현씨는 유명한 광고인으로 ‘나이는 숫자에불과하다’ 나 ‘진심이 짓습니다’라는 우리에게 친숙한 광고카피를 많이 만들어낸 사람이라고 한다.처음 책 표지에 있는 저자 소개를 봤을 때, 박웅현씨가 정말로 재치가 번뜩이는 사람이거나 매우 창의적인 사람, 우리와는 아예 동떨어진 사람이기 때문에 그런 광고 문구를 만들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책 안에서의 강독회를 경험하면서 책에 대한 그의 내공과 깊이에 다만 놀라며 읽을 수 밖에 없었다. 박웅현씨의 사무실에는 메모지가 사방 팔방에 붙어있다고 한다. 내용들은 명언이나 귀감이 되는 문구가 아닌 그가 책에서 읽고 감명받은 부분을 발췌해서 적어놓은 것이라고 한다. 그런 것들로부터 영감을 얻고 깨달음을 얻는다고 하는데, 책을 읽을 때 역시 줄을 치며 읽고 따라 쓰며 읽어서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낸다.
책을 읽는 방법. 서점엘 가보면 책에 대한 책들이 매장의 한 구석을 차지하고 있다. 성인 연평균 독서량이 10권이 채 안 되는 우리나라의 서글픈 현실에서 책을 어떻게 읽어야 좋은지 알려주는 책들이 그만큼 많다는 것이고, 읽는 방법 또한 다양하다. 한 권만 붙잡고 읽어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분야의 책부터 만화책이든 상관이 없으니 읽어라. 10종류의 책을 한꺼번에 읽어라. 시간을 정해놓고 읽어라 등. 책은 단순히 많이 읽는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제대로 깊게 읽어야 좋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동안의 나의 독서법을 생각해보면 그때그때 끌리는 책을 읽는 것이었다. 오거서 프로그램을 알게 되고 나서는 무턱대고 기준 독서량을 맞추기 위해 빠르게 읽으려고 노력했다. 한 번에 세종류의 책을 붙잡고 읽기도 했고, 조금 두꺼운 책보다는 읽기 쉬운 얇을 책들을 위주로 읽을 때도있었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가시적인 목표에 너무 치중해서 그 목표에 담겨있는 진정한 의미를보지 못한 것이 아닐까 싶다. 진정한 독서를 위해 읽기 시작했는데 읽는 다는 것 그 자체에 만족을느껴버린 것이다. 때문에 누군가와 내가 읽은 책에 대해 논의하라고 할 때 제대로 논쟁을 이어나갈자신이 없다. 분명히 읽었음에도 빨리 읽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내용을 기억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었던 것이다. 저자는 한 문장, 한 문장 읽으며 감명을 받는데, 나는 한 권을 다 읽고 나서야 감명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책이 도끼가 되어 내 머리를 순간순간 찍어내리며 읽게 하는 것,그것이 진정한 독서라는 것을 24살이 돼서야 깨닫는다.
미국에 세인트존스대학은 아이비리그가 부럽지 않은 명문 대학이라고 한다. 입학한 학생들은 책을 한 무더기 받게 되는데, 졸업시까지 읽어야 할 책 100권이라고 한다. 세인트존스 대학만의 가장특별한 교육은 책을 이용한 세미나 수업이라고 한다. 각자가 책을 읽고 와서 원탁에 앉아 토론을 하며 의견을 나눈다고 하는데, 제대로 된 토론을 위해서는 대충 읽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 진정한 배움이 과연 거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대충 읽는 나에게도 책은 큰 감명을 주는데, 읽고서 남들과 토론을 한다면 어떤 창의적이고 발전적인 생각이 나올지 그러한 대학으로 유학을 가고 싶다는 생각이 마구 샘솟는다. 우리 학교에서도 이 오거서 프로그램을 만든 것은 참으로 잘한 일이라고 생각하는데 아직 학우들의 관심이 부족한 것 같다. 대학 측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서 독서토론 동아리도 활성화 시키고 백일장 대회를 여는 것이 어떨까 싶다. 독서발표대회는 매우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얘기는 한편으로 우리학교 학우들이 아주 책을 안 읽는 것이 아니구나라는 안도감을 들게 한다. 책을 읽는 학교가 되었으면 한다.
책은 도끼고, 학교이며, 그리고 평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