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들어진 신 -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
리처드 도킨스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07년 7월
평점 :
고등학교 시절, 친구들과 함께 토론 스터디를 구성해 진행한 적이 있었다. 대학 입시에 논술 부분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이었지만 서로 모여 서로의 생각을 나누며 참으로 발전적이 모임이었다. 안락사, 이민 등 익히 알려진 주제들에 대해 토론을 했었고 혹은 개인적인 생각에 대해 서로 갑론을박을 하기도 했었다.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한 친구의 말이었다. 신의 존재에 대해 서로의의견에 맞서 싸우던 중, 내가 무신론자라는 말에 크게 놀랐다는 것이다. 그녀는 독실한 기독교인으로 술도 거의 마시지 않을 정도로 자기 절제가 강했었는데, 나의 그러한 발언을 몇 년이 지나 만났을 때도 할 정도로 강렬한 기억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어떤 논리로 그러한 주장을 펼쳤는지에 대해서는 도무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나는 현재 애매하게 말하면 신보다는 나를 믿는 다고 하고, 극단적으로 말하면 무신론자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생각만 그렇게 하고 있지 정작 그러한 ‘이유’에대해서는 제대로 생각해 보지 않았다. 세상에 수많은 종교인들 사이에서 무신론자 혹은 불가지론자로 살아남으려면 정확하고 강한 논리가 필요한데 아무런 준비도 없이 그냥 마음이 가는 대로 살아왔던 것이다. 나는 왜 신을 믿지 않는가.
리처드 도킨스는 정말 지독하다고 할 만큼 자신의 논리를 구축해 나간다. 종교, 특히 기독교의 약점을 한없이 파고들어 그것을 종교의 약점과 무신론자의 장점으로 만들어내는 그의 논리력은 그의편으로서 전장에 나서기 전 무기를 얻는 것과 같았다. 신약성서와 구약성서에 담겨 있는 모순적이고 기독교의 일반적인 상식을 벗어난 이야기는 성경을 읽어본 적이 없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놀라움을 주며, 기독교인들이 그러한 내용을 아무런 가감 없이 받아들였다는 것에 또 한번 놀랄 것이다. 창조론을 끊임없이 물고 늘어지며 다윈의 진화론을 옹호하는 그의 글을 보며 이런 사람 정도는되야 당당하게 무신론자라고 말할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사람들이 종교를 믿는 이유를 어렸을 적의 경험에서 찾는 그의 주장 중 하나는 나에게 있어 타당해 보인다. 주위를 둘러보면 종교를 믿는 사람의 대부분의 그들의 친지 역시 같은 종교를 믿고 있고, 부모를 통해 종교를 믿기 시작했다고 한다. 사리분석이 안 되는 아이에게 세례를 하고, 매주 행사에 참여하게 한다면 몸의 기억으로라도 종교를 믿게 될 수 밖에 되지 않을까? 나의 부모님은 불교에 가까우시지만 등산을 통해 절을 방문하는 것이 더 가깝다고 할 정도로 그렇게 깊은 불심은 가지고 계시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나에게 종교를 강요하시지 않았고, 나는 어렸을 적부터 종교에 대해 아주 자유로운 위치에 있었다. 자라면서 나는 신이라는 것에 대해 제대로 생각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일에 대해 원인과 결과를 모두 나로부터 찾았다. 나의 행동을 주관하고 결정하는 것은 나이고, 결국 내가 책임져야 한다는 마음이 계속 유지 되었고 이는 몇 년 전 무신론자 발언까지 이어진 것이다. 근데 내가 나를 믿는다고 해서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고까지 주장할 수 있을까?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나의 논리는 아무런 죄가 없는 아기의 목숨을 거둬가는 사실에 대해 선한 신은 어떤 역할을 하느냐는 단계에서 멈추어 버린다. 아기가 전생에 불경한 짓을 저질렀기 때문에라고 대답한다면 나는 그렇다면 왜 그 당시 벌을 내리지 않느냐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나올 수 있는 반론이 신은 우리에게 스스로 깨닫게 하고 주위 사람들에게도 깨닫게 하기 위해 그렇게 하신다고 말 할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꼬리에 꼬리를 무는 나 혼자만의 질문은 결론을 내지 못하고 언제나 중간에대충 신이 없다는 결론을 내 버린다. 사실상 나는 무신론자라기 보다는 신에 대해 그다지 인식하지않는 사람인 것이다. 나와 같은 사람들은 참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딱히 신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지 않은 사람들, 신이 있으면 좋은 거고 없어도 그만인 사람들. 이런 사람들에게 있어 종교는그저 내가 아이언맨을 좋아하는 것처럼 존재하지 않는 것을 좋아하는 현상일 뿐이다. 그러나 종교는 여타의 좋아함과는 차원이 다르다. 종교의 이름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죽었고, 더 많은 사람들이아픔을 겪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십자군 전쟁, 마녀사냥부터 9.11테러와 중동에서의 끊임없는 분쟁. 실재하지 않지만 실재하는 그 어떤 무기들보다도 강력한 것이 종교인 것이다. 나의 신이너의 신과 다른지 같은지도 아무도 모르지만 우리는 싸운다. 이것 역시 신이 의도한 것인지 궁금하다.
나는 왜 신을 믿지 않느냐는 나 자신을 향한 질문에 나는 신을 믿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을 더믿는 것이라고 대답하고 싶다. 신보다는 나, 절대적 존재보다는 불완전한 나를 믿는 것이 더 믿음직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