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국내 最古 한글성서본 발견(종합)

강순애 한성대 교수, 1882년본 성서 공개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국내에 남아있는 한글 성서본 가운데 간행시기가 가장 빠른 책이 발견됐다.

   한성대 인문과학연구원장인 강순애 교수는 "간행년도가 청나라 연호인 광서 8년(1882년)으로 적힌 '예수셩교 요안내복음젼셔(예수성교 요한복음전서)'를 최근 인사동 고서점에서 입수했다"면서 "국내에는 1883년본만 남아 있었는데 이번에 발견한 책은 간행 시기가 더 빠르다"고 26일 밝혔다.

   '예수셩교 요안내복음젼셔'는 영국인 존 로스(1842~1915) 목사가 이응찬, 이성하 등과 함께 중국 심양에서 1882년과 1883년에 발간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최초의 한글성서본으로 국내에는 숭실대에 1883년본만 남아 있다. 1882년본은 영국 대영성서공회 도서관과 미국성서공회가 소장하고 있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심양의 문광서원에서 1882년 5월에 3천부를 인쇄하고 1883년 10월에 300부를 간행했다.

   강 교수는 이번에 발견된 책은 표기법으로 볼 때 1882년의 초간본과 1883년본 사이에 간행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초간본에는 '하느님'이라고 표기하다 1883년본에는 '하나님'으로 바뀌었는데, 이번 발굴본은 '하나님'이라고 나와있으며 모음 '아래아(ㆍ)' 사용이 많다"며 "이로 미뤄 이번 발굴본은 1882년본과 1883년본 사이 과도기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본문 뒷면은 백지가 아니라 관청의 서식을 모은 '간독요취(簡牘要聚)'가 필사돼 있다. 강 교수는 "외국 종교서적 유입이 금지된 상황에서 관리의 눈을 피하려고 '간독요취'가 필사된 면으로 장정(裝幀)해 밀반입했다가 복음 선교를 위해 성경이 인쇄된 부분으로 재장정한 것"이라면서 "어느 지역에서건 초기 복음의 역사는 고되고 슬픈데 이 책을 국내에 들여오기가 얼마나 어려웠는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수입하는 폐지 속에 장정하지 않는 복음서 낱장을 끼워 밀반입하는 방식도 이용됐다고 그는 덧붙였다.

  




본문은 모두 39쪽이며 40쪽은 단어를 해설했다. 책은 목판활자로 인쇄했으며 크기는 가로 14.3㎝, 세로 23.6㎝로 가로, 세로 각각 0.5㎝ 이하의 작은 글자가 사용됐다.

   식자층이 아니라 일반대중을 염두에 두고 어려운 한자어보다 순 한글을 쓰고 문어체보다 구어체로 번역했다. 문장은 띄어쓰기를 전혀 하지 않았지만, 존경을 표시하기 위해 하나님, 예수, 키리스토(그리스도), 쥬(주) 등의 단어 뒤에 글씨를 띄어 썼다.

   강 교수는 "근대 기독교자료가 거의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나온 이 자료는 국내에서 발굴된 최고(最古)의 한글성서로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크다"고 평가했다.

   로스 목사는 스코틀랜드성서공회와 영국성서공회의 지원을 받아 한국인 번역자 십여 명의 도움으로 1882년부터 1889년까지 9종의 성서를 발간했다.

   강 교수는 한글성서 발굴본에 대해 연구한 성과를 27일 한성대 미래관에서 열리는 '한성대 인문과학연구원 제10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한다.

   kimy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09/11/26 15:05 송고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연합] "성서 최초 작성시기는 B.C 10세기?"
    from 毘盧峰 想像頭에서 2010-01-16 21:39 
    "성서 최초 작성시기는 B.C 10세기?" 연합뉴스 | 입력 2010.01.16 09:37 | 수정 2010.01.16 13:54 |  #EXTENSIBLE_WRAP {position:relative;z-index:4000;height:250px;} #EXTENSIBLE_BANNER_WRAP {} #EXTENSIBLE_BANNER {position:relative;width:250px;height:0px;z-
 
 
 

일본 황후 소장품이었던 원효의 저술


세계 유일본 '판비량론' 日 오타니대학 전시




연합뉴스 | 입력 2009.10.28 07:01 | 수정 2009.10.28 09:23


(교토=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판비량론'(判比量論)이라는 저술은 여러모로 주목받는 고대 전적이다.

첫째, 저자가 다름 아닌 신라를 대표하는 고승 원효(元曉)다. 둘째, 그 온전한 판본은 사라지고 그 8분의 1분량밖에 남아있진 않지만, 일본 교토 소재 오타니(大谷)대학이 소장한 필사본은 현존 세계 유일의 옛날 판본이다.









 

셋째, 이에 찍힌 '내가사인'(內家私印)이라는 도장으로 보아 이를 소장한 주인은 나라시대 고대 일본의 쇼무천황(聖武天皇) 부인인 고묘(光明) 황후임을 알 수 있다. 고묘는 다름 아닌 오늘날 일본이 세계를 향해 자랑하는 고대 일본의 보물창고 쇼소인(正倉院)을 태동케 한 장본인이다.

이에 더해 이 판비량론 필사본에서는 각필(角筆)이라 해서, 고대인들이 한문 경전을 읽을 때, 그 뜻이나 독송(讀誦)을 위해 달아둔 읽기 부호가 발견되기도 했다.

원효가 55세 때인 신라 문무왕 11년(671)에 완성한 불교철학 논문으로, 당시 불교계를 풍미한 당나라 현장 법사의 유식학(唯識學) 논리에 결정적인 결함이 있음을 명쾌히 지적한 판비량론이 오타니대학박물관(관장 도나미 마모루)이 동국대박물관(관장 최응천)과 공동으로 마련한 '한국불교미술의 명품' 특별전에 출품됐다.

지난 13일 개막해 다음달 28일까지 오타니대학박물관에서 계속할 이번 전시회에는 동국대박물관에서 출품한 불교미술품 28점과 일본 내 여러 박물관 및 개인소장자, 그리고 오타니대학박물관 자체 소장품이 전시 중이다.

특히 이 자리에는 일본 각지에서 모은 고려불화 8점과 고려시대 사경(寫經), 그리고 판비량론을 비롯한 희귀본 불교전적이 모였다.

올해 제61회 쇼소인 특별전 개막식 참석차 일본을 찾은 길에 지난 24일 오타니대학박물관 기획전을 둘러본 이영훈 국립경주박물관장은 "판비량론 필사본의 글씨가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더 명필"이라고 말했다.

초서체로 쓴 이 필사본은 한동안 나라시대 일본에서 썼다고 간주됐지만, 최근에는 서체라든가 서풍으로 보아 신라에서 직접 일본으로 들여왔다는 주장이 강하게 대두하기 시작했다. 특히, 각필이 발견됨으로써 이런 주장은 한층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번 특별전에 선보인 고려시대 불화로는 교토 에이칸도(永觀堂) 젠린지(禪林寺) 소장 아미타여래도와 같은 교토 지역 치온지(知恩寺) 소장 아미타삼존도, 오사카 다이넨부쓰지(大念佛寺) 소장 아미타팔대보살도, 그리고 교토 로산지(盧山寺)와 나라국립박물관, 교토 센오쿠하구코칸(泉屋博古館), 그리고 나라(奈良)의 하세테라(長谷寺)가 각각 소장한 수월관음도 등이 있다.

이밖에도 교토 난젠지(南禪寺) 소장 고려대장경 초조본 '어제불부'(御製佛賦),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대보적경(大寶績經.1006년), 오타니대학도서관 소장인 고려대장경 재조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등 일본 소재 고려시대 중요한 성보문화유산도 선보인다.

최응천 관장은 "이번 특별전은 2007년 동국대박물관이 오타니대학 박물관과 체결한 '박물관 교류에 관한 협정'에 따른 첫번째 결실로 일본 내 주요한 한국불교미술품을 한자리에 모았다는 점에서 특히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 원효의 저술 판비량론 > >
< <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대보적경(大寶績經) > >
< < 오타니대학도서관 소장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 >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taeshik@yna.co.kr
(끝)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자나 2009-10-28 1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몇 년 전에 나온 원효대사의 판비량론 관련 저술들이 일본에 있는 유일본을 저본으로 했었군요. 그나마 전체 내용은 유실되어 버렸다는 사실이 더더욱 안타깝네요.
 

신비와 영성을 강조하는 뉴에이지 문화, 이와 결부된 신과학,

마법, 심령술, 초자연 등 제반 현상의 허상을 폭로하고

과학 정신을 계몽하는 "전사" 강건일.

 

 

 

 

 

 

 

이 책에서는 마술, 점술, 예언, 풍수, 수맥, 전생, 외계인, 기적 등등 대중과 호사가의 관심에 영합하는 각종 의사과학(pseudoscience, "似而非")에 대한 공격을 하고 있다.

불순한 목적으로 혹세무민하는 각종 요망한 사술의 시시비비를 가리고 정리하여 건전한 상식을 지키는 것은 비판적인 의무일 것이기에, 일시적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꾸준히 한 목소리를 지켜온 저자의 노력에는 경의를 표한다. 

제대로 된 영성주의라면 잡된 기술이나 힘을 경계하여야 한다는 상식을 새삼 확인했다. 그런데 각종 쓰레기 더미를 치워 내고도 남는 것들은 어떻게 한다?

비판: 스스로도 밝혔지만, 미국의 CSICOP이란 단체의 자료를 인용한 편역서의 성격이 짙어 내용적 가치는 좀 떨어진다. 

낸시 레이건 여사의 점성술 조언 파문, 볼리 목사관 귀신, 펄럭시 인간 발자국, 오드리 성모상의 눈물, 등등... 한국 독자들에게 별 관련이 없거나, 흥미없는 구닥다리 주제를 나열해 놓고서 핏대만 높여서야 쓰겠는가. 

자신의 저작물이 왜 초판을 넘기지 못하는 것인지, 현실을 한탄만 하고 앉아 있지 말고 과학 정신에 바탕을 두고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길 바란다.

새로 쓰고 있다는 작품에서는 좀더 "학술적 논쟁" 거리가 되면서 우리에게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들을 다루기 바란다. 

 2004-06-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One day a student from Chicago came to the Providence Zen Center and asked Seung Sahn Soen-Sa, "What is Zen?"  

Soen-sa held his Zen stick above his head and said, "Do you understand?"
 
The student said, "I don't know." 
 
Soen-sa said, "This don't know mind is you. Zen is understanding yourself."
 
"What do you understand about me? Teach me."
 
Soen-sa said, "In a cookie factory, different cookies are baked in the shape of animals, cars, people, and airplanes. They all have different names and forms, but they are all made from the same dough, and they all taste the same.
 
"In the same way, all things in the universe - the sun, the moon, the stars, mountains, rivers, people, and so forth - have different names and forms, but they are all made from the same substance.
 
The universe is organized into pairs of opposites: light and darkness, man and woman, sound and silence, good and bad. But all these opposites are mutual, because they are made from the same substance.
 
Their names and their forms are different, but their substance is the same. Names and forms are made by your thinking.
 
If you are not thinking and have no attachment to name and form, then all substance is one. Your don't know mind cuts off all thinking. This is your substance. The substance of this Zen stick and your own substance are the same. You are this stick; this stick is you."

 
The student said, "Some philosophers say this substance is energy, or mind, or God, or matter. Which is the truth?"
 
Soen-sa said, "Four blind men went to the zoo and visited the elephant.
 
One blind man touched its side and said, 'The elephant is like a wall.'
 
The next blind man touched its trunk and said, 'The elephant is like a snake.'
 
The next blind man touched its leg and said, 'The elephant is like a column.'
 
The last blind man touched its tail and said, 'The elephant is like a broom.'
 
Then the four blind men started to fight, each one believing that his opinion was the right one.
 
Each only understood the part he had touched; none of them understood the whole.
 
 
"Substance has no name and no form. Energy, mind, God, and matter are all name and form.
 
Substance is the Absolute.
 
Having name and form is having opposites.
 
So the whole world is like the blind men fighting among themselves.
 
 
Not understanding yourself is not understanding the truth. That is why there is fighting among ourselves.
 
If all the people in the world understood themselves, they would attain the Absolute. Then the world would be at peace. World peace is Zen."
 
The student said, "How can practicing Zen make world peace?"
 
Soen-sa said, "People desire money, fame, sex, food, and rest. All this desire is thinking. Thinking is suffering. Suffering means no world peace. Not thinking is not suffering. Not suffering means world peace.World peace is the Absolute. The Absolute is I."
 
The student said, "How can I understand the Absolute?"
 
Soen-sa said, "You must first understand yourself."
"How can I understand myself?"
 
Soen-sa held up the Zen stick and said, "Do you see this?"
 
He then quickly hit the table with the stick and said, "Do you hear this? This stick, this sound, your mind - are they the same or different?"
 
The student said, "The same."
Soen-sa said, "If you say they are the same, I will hit you thirty times. If you say they are different, I will still hit you thirty times. Why?"
 
The student was silent.
 
Soen-sa shouted, "KATZ!!!"

 

Then he said, "Spring comes, the grass grows by itself."

Providence Zen Center
This book and others are available from our
Primary Point Press   



 

 

 

 

 

 

 

From Dropping Ashes On The Buddha: The Teaching of Zen Master Seung Sahn
edited by Stephen Mitchell (Grove Press, New York, NY, 1976)
Copyright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이 기독교도라면 한번쯤은 종교에 대한 회의니 교리체계에 대한 의문이니 하는 것을 품어보았을 것이다. 필자도 일순간 밀려온 회의의 소용돌이에 못이기고 지금까지 회의의 장벽을 높이 쌓아올리고 살아온 탕아의 부류에 속한다고 할까.

필연적인 그 모든 것이 그러하듯 우연히 다가와 거대한 충격을 주고 지나간 이 책은 미국에서 출간 당시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장기 베스트셀러가 되었던 책. 한국에서도 폭발적 반응을 일으켜 이 땅의 기독교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지 않을까 은근히 기대하였으나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한국의 기독교도들은 어떤 이유에서 이 책에 반응하지 않았을까. 한국 기독교계의 내면을 알 수 없는 필자로서는 궁금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아둥바둥 마지못해 살아가던 한 중년 남성이 있다. 그는 어느날 새벽 자신을 이렇게 만든 주범인 신에게 직접 분풀이나 해보겠답시고 휘갈겨 내려가던 일련의 절규어린 질문들에 신이 직접 대답을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아, 아, 나도 안다. 그런 일은 일어날 수 없다는 걸...... 아마 누구라도 그런 일은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할 (혹은 그렇게 배워왔을) 것이다. 신에게 말할 수는 있으되 신과 이야기할 수는 없다고. 요는 신은 응답해주지 않으리라는 얘기." - 5쪽 머리말에서

우리는 이제껏 우리의 기도를 들어는 주되 우리에게 말을 걸어주지는 않는 신에게 제물을 바쳐왔다. 그 신은 수천년전 서남아 사막의 선택받은 몇몇 사람들에게만 신비한 힘을 내려 책 몇 권을 쓰게 하고는 사라졌고 그 뒤로 쭈욱 묵묵부답인 신이다. 하지만 이제 한 사내가 용감히 일어나 신은 착한자에게도, 악한자에게도, 당신을 포함한 그 누구에게도 끊임없이 말을 걸어왔노라고 말한다. 수없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그랬듯 앞으로도 그렇게 당신이 마침내 귀기울일 때까지.

그외에도 기존의 기독교 사상에서 당연히 여겨져왔던 많은 것들이 '신'의 손에 의해 도마 위에 오르고 사정없이 난도질당한다. 자유의지와 정해진 운명, 선과 맞짱뜨는 악이라는 관념, 신의 사랑은 조건적이며 신은 우리의 잘못을 가차없이 심판하고 벌을 내리고 죄악을 응징한다는 관념, 신은 다른 신들(gods)을 인정하지 못하는 '질투하는 신'이라는 생각 등등. 이제까지 수천여년을 이어왔던 유대,기독교의 신학체계와는 양립하기 어려워 보이는 위험스런 생각이건만 힘차고 자신있게 말하는 그 어조는(누가 하는 소린데!) 너무도 시원한 카타르시스와 해방감을 준다.

"나는 너희가 원하는 걸 원한다"

그리고 신은 창조의 목적과 과정(그노시즘 쪽에 상당히 가까운 내용의),영혼의 문제, 삶과 죽음, 죽음 뒤의 세계, 우리 삶과 삶의 운동방식과 목적과 과제, 소망과 그 실현 등의 굵직굵직한 형이상학적 문제들을 화려하고 탄탄한 체계를 세우며 훑어갈 뿐만 아니라 성공하는 삶, 인간관계, 직업, 건강, 섹스 등의 소소한 일에까지 친절히 설명해준다.

굳이 골치 아픈 철학적 문제에 골 썩이고 싶지 않은 독자라도 살아가며 얻는 여러 의문들에 대한 근원적인 관점에서의 해답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요컨데, 유일한 신을 믿어만 왔던[credo in unum Deum]* 단계의 신앙인들은 그 유일한 신을 이성의 힘으로 명쾌히 이해하고 알게 되는[cognisco unum Deum]* 잊지 못할 감동의 체험을 하게 될 것이고, 그런 문제에는 담을 쌓은 독자라도 인생 문제에 대한 '신의 가장 최근 해답'을 듣게 될 것이다.

(* []안은 아시시의 에기디우스의 유명한 구절)  

 

 

"바람의 속삭임과 시냇물 흐르는 소리와 천지를 울리는 천둥소리와 나직하게 두드리는 빗발 소리에도 내 진리가 깃들어 있다. 내 진리는 대지의 감촉, 백합의 향그러움, 태양의 따스함, 달의 인력이다. 내 진리와 너희가 도움을 필요로 할 때마다 항상 도우리라는 진실은 밤하늘만큼이나 외경스럽고, 갓난아기의 옹알이만큼이나 단순하고 자명하다. 내 진리는 쿵쾅거리는 심장의 고동소리만큼이나 크고, 나와의 합일 속에서 쉬는 숨소리만큼이나 고요하다. 나는 너희를 떠나지 않을 것이고 또 떠날 수도 없다.너희는 바로 내 소산이요 창조물이고, 내 딸이요 아들이며, 내 목적이자 나... 자신이기에." 

 

 

 

 

 


사족 1: 이 책의 '신'이 자신을 전지전능한 창조자라 주장하지만 이 책이 제시하는 이설과 해답도 어디까지나 하나의 가능한 해답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당신의 판단과 자유의지이기에.    

 

사족 2: 1편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 그러니까 지은이의 신산했던 삶의 역정을 담은 영화도 있다. 이 책이 미국에서 불러일으킨 열풍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가늠케 하는 증거로만 제시해두도록 하겠다. 이 책의 마니아가 아니라면-아니, 마니아라도!- 굳이 추천하고 싶지는 않다.  

이유는... 보면 알게 되겠지...   

(뭔가 포스터부터가 범상치않은 포스를 풍기지 않는가?)

  

 

 

 

 

 

  

 

 

사족 3: 명료한 발음과 알맞은 속도, 훌륭한 내용까지! 영어 공부 하기에 너무 좋은 오디오북... 닐 도날드 월시 역은 닐 도날드 월시 본인.  

 

 

  

 

 

 

 

2000-07-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