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형 SE - 일반판
안권태 감독, 원빈 외 출연 / CJ 엔터테인먼트 / 2005년 2월
평점 :
품절
형제의 우애를 회복하는 길
-영화<우리형에 대한 단상>
한국에서 살다간 어린이와 미국에서 태어나서 자란 어린이가 말다툼을 할 때 한국 출신의 어린이가 종종 이런 질문을 한다고 한다. “너 도대체 몇 살이야?” 이럴 때 미국에서 태어나서 자란 아이들로서는 말다툼을 하고 있는데 상대방이 대체 왜 이런 느닷없는 질문을 하는지, 대체 말다툼 중에 나이를 알아서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 도무지 감을 잡지 못해서 눈이 휘둥그레 해진다고 한다.
“너 도대체 몇 살이야?” 묻는 아이는 “너는 대체 몇 살이기에 너보다 나이가 많은 나에게 건방지게 구느냐” 항변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나이를 한국처럼 중시하지 않는 미국사회에서 이 아이의 질문은 그야말로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로 들리는 것이다.
논쟁에서 중요한 것은 논리이지 나이가 아니다. 나이가 논리를 압도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미국과는 다르다. 우리 사회는 서열을 무척이나 중시한다. “어른이 말씀하시면 그런 줄 알지. 무슨 대꾸냐?” 호령을 하는 어른들께 이치를 따져가며 조목조목 논리적으로 반박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어른의 말씀이면 일단은 순종하라는 것이 가부장제의 논리다.
서열을 중시하는 가부장제에서는 차남보다 장남이 중시된다. 어른들과 겸상을 할 수 있고 고기반찬을 동생보다 먼저 먹을 수 있는 것이 장남들의 특권이었다. 장남은 집안의 기둥이니 동생들보다 더 배워야 한다. 그러니 공부도 열심히 해야 한다. 형은 동생들에게 모범이 되어야 하니 품행도 바르게 하거라. 장남들에게는 어른들의 과도한 주문이 주어진다. 특권만큼 무거운 책임이 따르는 것이 장남이라는 지위다. 그러나 동생들에게는 형의 과도한 책임이 눈에 보일 리가 없다. 동생들의 눈에는 형의 특권만이 도드라지게 보인다. 왜 부모님은 형에게는 주는 것을 나에게는 주지 않을까. 동생들은 불만이 쌓일 수밖에 없다. 형은 형대로 과도한 책임이 부담스럽다. 나도 동생처럼 자유로울 수 있다면, 부모님의 기대로부터 벗어나 내 생각대로 살아보았으면 하는 것이 장남들의 은밀한 희망이다.
영화 <우리형>에서 형은 동생에 비해 몸이 약하다. 그러나 공부는 동생보다 월등히 잘한다. 부모님은 형에게 관심을 쏟는다. 공부를 잘하면 자식이고 공부를 못하면 자식도 아닌가. 동생은 불만이다. 지적인 면에서 내가 뒤떨어질지는 몰라도 형보다 내가 못한 것이 뭐야. 동생은 형을 제압하고 싶다는 내면적 욕망을 키운다. 우애로 가득해야 할 형제들의 내면은 때로 서로에 대한 적의로 가득 차기도 한다.
동생들은 왜 형만이 특권적 입장을 누려야 하느냐, 시기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고, 형은 내가 누려야 할 특권에는 엄청난 부담이 따른다는 것을 왜 몰라주느냐는 억울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 이럴 때는 형이 짊어져야 할 책임이 무겁겠구나. 동생은 형의 입장으로 돌아가 볼 필요가 있다. 동생이 입장에서라면 억울하기도 하겠는 걸. 형은 동생의 처지에 서볼 필요가 있다. 역지사지(易地思之), 서로의 입장을 헤아려 보는 것이 우애를 회복하는 지름길이 아닐까.
감독:안권태. 주연:신하균, 원빈,김해숙. 제작:200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