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렉 - 비디오테이프 1개 - 영어자막
드림윅스 픽쳐스 지음 / 스크린에듀케이션(애플리스외국어)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세상은 생각처럼 단순하지 않다
  -영화 <슈렉>에 대한 단상

아저씨에게 엄마 없다고 말하렴. 아이는 당장 손님에게 가서 말한다. “우리 엄마가요 아저씨에게 엄마 없다고 말하래요.” 그 말을 듣는 아저씨야 화가 좀 나시겠지만 그 광경을 보고 있는 사람들은 사심없이 웃는다.
 
어디선가 들어본 이 이야기가 웃음의 이론인 ‘우월이론’을 잘 말해준다.'우월 이론'은 상대방보다 자신이 우월하다고 인식하는 부류들이 자신에게 고통이나 피해를 입히지 않는 과오나 추악상을 보여주는 인물을 향해 심리적인 우월적 지위를 확보함으로써 웃게 된다는 것이다. 아이의 하는 행동으로부터 피해를 당하지 않는 입장, 아이보다 우월한 입장에 있다고 생각하는 자는 아이의 하는 짓을 귀엽다고 생각하며 웃는다.
 
덩치 큰 남자에게서 우람한 목소리를 예상했는데, 예상외로 여자처럼 가는 목소리가 흘러나오면 사람들은 웃는다. 비장한 표정의 무사가 멋진 칼을 뽑으면 우리는 멋진 액션을 기대 한다. 그러나 그 무사의 칼이 정작 사과를 깎게 되면 우리는 허탈한 웃음을 짓는다.  이런 유의 웃음을 고찰한 데서 나온 웃음의 이론이 이른바 '대조 이론'이다. 예상과 결과의 불합리한 대조에 의해 웃음이 촉발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아름다운 공주는 반드시 멋진 왕자와 맺어져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우리의 예상이다. 그러나 그런 기대치를 영화 <슈렉>은 여지없이 깨어버린다. 오 마이 갓, 피오나 공주의 짝은 엄청 못생긴 초록괴물 ‘슈렉’이다. 공주와 짝이 되는 배우자라면 준마를 타아 한다는 것이 우리의 예상인데, 영화는 우리의 기대를 저버린다. 겁 많은 수다쟁이 덩키가 준마를 대신한다.
 
공주도 보통 공주는 아니다. '잠자는 숲속의 공주'라도 되는 양 얌전떨고 누워있더니 갑자기 키스를 해야 한다고 조르질 않나, 산적들이 나타나면 공중 제비를 돌며 <매트릭스> 발차기를 하지 않나. 우리가 예상했던 공주와는 딴판이다. 한마디로 기존상식을 뒤엎는다. 영화의 압권은 마지막 장면, 마법에서 풀린 공주가 늘씬한 미녀가 아니라 작달만한 키에 살이 피둥피둥 찐, 일반적인 미녀와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먼 공주다. 영화는 계속해서 기존의 상식과 동화가 가지는 전통적 이야기 방식을 뒤집으면서 관객을 즐겁게 한다.
 
세상은 복잡하다. 그러나 우리는 세상을 단순화시켜서 이해한다. 아이들은 아이답고, 어른은 어른답고, 노인은 노인답다고 우리는 쉽게 생각한다. 그러나 그건 단지 우리의 바람일 뿐이다. 세상을 보라. 당장 오늘 저녁의 뉴스를 보라. 우리의 기대와는 너무나도 다른 일들, 예상외의 일들이 벌어진다. 자식이 부모를 해치고, 반대로 부모가 자식을 해쳤다는 뉴스까지 접하고 보면 오히려 몰상식한 행위들이 일상화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든다. 세상은 우리의 기대와 예상과는 달리 돌아가는 데도 우리는 여전히 세상을 단순하게 이해한다. 바로 웃음은 우리의 이런 단순한 생각을 깬다. 당신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세상은 단순하지가 않다. 아이들은 조폭보다 무섭고, 어른들은 아이들보다 유치하다. 바로 이것이 세상의 실상이다. 그런데도 당신은 순진하게 세상을 바라보고 있는가. 그 순진한 당신의 의식을 깨고 세상을 바라보고 세계의 실상과 용기 있게 대면하라. 진정한 코미디는 두려움 없이 세상의 실상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웃음의 인식적 기능이 바로 여기에 있다.
 
감독:비키 잰슨,앤드류 아담슨. 제작:2001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