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03 #시라는별 74
내 수의를
- 최승자
내 수의를 한올 한올 짜고 있는
깊은 밤의 빗소리.
내가 이승에서 어질러놓은 자리,
파란만장한 자리
없었을 듯, 없었을 듯, 덮어주고 있구나.
점점 더 드넓어지는
이 일대의 물바다,
그 위에 이제 새로이 구중궁궐
깊은 잠의 이불을 펴리라.
최승자 시인의 『한 게으른 시인의 이야기』를 읽고 났더니 그의 시들을 더 많이 읽고 싶어 1993년작 『내 무덤 푸르고』와 2010년작『쓸쓸해서 머나먼』을 대출했다.『내 무덤 푸르고』를 먼저 읽기 시작했다. 역시나 어둡고 절망적이다. 그런데 『이 시대의 사랑』에서도 느꼈듯 역시나 도발적이고 매력적이다.
53편의 시들 중 <내 수의를>이라는 시가 오늘 눈에 띈 것은 요양원에 계신 늙은 어미를 보고 온 탓이고, 얼마 전 내 어미가 20년도 훨씬 전에 준비해 놓은 수의를 살펴본 탓이다. 시인은 ˝깊은 밤의 빗소리˝를 자신의 수의를 짜는 소리로 들었다면, 내 어미는 한 푼 두 푼 모은
돈으로 제법 값 나가는 수의를 주문했더랬다. 20년 전인지, 30년 전인지 기억이 까마득한데, 그때 어미랑 나눈 대화만큼은 선명히 기억하고 있다.
ㅡ 아직도 날아다닐 만큼 팔팔하신 분이 수의는 어쩌자고 준비하셨대?
ㅡ 이년아, 내일을 모를 것이 인간 목숨이란다. 그라고 내 수족 멀쩡할 때 준비해 둬야재. 맨날 철딱서니 없는 니년이 언가이(어지간히) 준비해 놓을기가.
ㅡ 뭐. 그때 일은 그때 가서 처리하면 될 일이재.
ㅡ 니는 그래서 안 된다. 준비해둬서 나쁠 것 없다. 그라고 수의를 준비해 두면 장수한다 카더라.
ㅡ 하이고. 엄마 허우대 보면 그런 거 준비 안 해 둬도 엄~~청 오래 살겠거마는.
ㅡ 못된 년. 엄마한테 하는 말 뽄새 좀 보래. 암튼, 이리 준비해둬서 내사 맘이 편하다. 운제 죽을지 몰라도 마, 한시름은 놓았고. 한 사흘 아프다 죽으면 딱 좋겠구만. 칩지 않은 날에.
사흘 후면 엄마의 여든아홉 번째 생일이다. 숟가락 들 힘만 있어도 죽지 않는다는 옛말을 증명하듯, 늙은 어미는 기력이 떨어진 몸으로도 오른손에 포크를 쥐고 케익을 찍어 드셨다. 천천히 씹다가 빨다가 하면서 기어이 목구멍으로 넘기셨다. 한 사흘 아프다 죽는 소망은 어그러졌지만,
춥지 않은 날에 ˝깊은 잠의 이불˝을 펴고 눈을 감겠다는 듯이. 나의 어미도 최승자 시인만큼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시인처럼 정신분열증을 앓거나 정신병원을 들락거리진 않았지만, 인생의 고난과 고통과 고독이 그것만이 아님을 우리는 잘 알지 않는가. 세상 모든 이들에겐 제 삶의
무게가 가장 무거운 법이다. 내 어미에게도 그랬을 것이다.
마음에 병이 들면 몸도 덩달아 병이 드는 법이다. 시인을 시를 통해, 시쓰기를 통해 병중에서 일어서고자 했지만 실패했고, 이후 실패를 딛고 다시 일어섰다. 눈물겹게도 말이다.
마음은 오랫동안 病中(병중)이었다.
마음은 자리 깔고 누워 일어나지 못했다.
너무도 오랫동안 마음은 病하고만 놀았다.
詩혹은 詩쓰기에 대해 이제까지 나
는 아무것도 바라지도 믿지도 않았지만,
이제 비로소 나는 바라고, 믿고 싶다.
詩 혹은, 시쓰기가 내 마음을 病中에서
일으켜 세워줄 것을. (시인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