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29 #시라는별 61
천문의 즐거움
- 김선우
하늘을 오래 바라보다 알게 되었다
별들이 죽으면서 남겨놓은 것들이
어찌어찌 모여서 새로운 별들로 태어난다는 거
숨결에 그림자가 있다는 거
당신도 나도 그렇게 왔다는 거
우리가 하나씩의 우주라는 거
수백억광년의 과거로부터 오늘에 이른
빛의 내음
소리의 촉감
온갖 원자들의 맛
지구에서 살아가는 나는 가끔
죽은 지 오래인 별들의 임종게를 발굴해 옮겨 쓴다
그대들이 세상이라 믿는 세상이여, 나를 받아라. 내가 그쪽을 먼저 사양하기 전에.
오늘 아침 닦아준 그림자에서 흘러나온 말
임종게가 늘 탄생게로 연결되는 건 아닐 테지만
가끔 유난히 아름다운 탄생의 문양들이 있어
우주가 지나치게 쓸쓸하진 않았다
16년만에 설악 산행에 나섰다. 이 여행길에 배낭에 끼워 간 책은 김선우의 『내 따스한 유령들』 느릿느릿 아껴가며 읽는 시집이다. 이 시를 읽고 모르는 낱말이 있어 찾아 보았다.
임종게(臨終偈)는 고승들이 입적할 때 수행을 통해 얻은 깨달음을 후인들에게 전하는 마지막 말이나 글이다.
탄생게(誕生偈)는 석가모니 부처가 태어났을 때 외쳤다고 하는 게송을 일컫는다. 부처님의 탄생게는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다.
˝죽은 지 오래된 별들의 임종게를 발굴해 옮겨 쓰˝는 김선우 시인의 이 시는 내게 ‘천문의 즐거움‘ 뿐 아니라 ‘산행의 즐거움‘까지 물씬 느끼게 해주었다. 하늘이든 무엇이든 ˝오래 바라보다˝ 보면 전에 모르던 것들을, 알 수 있으리라 생각지도 못했던 것들을 알게 된다. 16년 전 겨울 설악에서 나는 바람의 무늬가 새겨진 눈밭을 ˝오래 바라보다˝ 우주를 발견한 적이 있다. 소금밭 같기도 설탕밭 같기도 한 하이얀 눈밭은 우주와 이어져 그 속으로 나를 빨아들이곤 했다.
만 가지 경치가 올려다보이고 내려다보인다는 만경대(922.2m)에 앉아 ˝수백억광년의 과거로부터 오늘에 이른 / 빛의 내음 / 소리의 촉감 / 온갖 원자들의 맛˝을 오감으로 느꼈다. 하여 알게 된 것들
소나무 잎은 두 가닥, 잣나무 잎은 다섯 가닥
마가목 열매 바닥에는 별이 박혀 있다
둥글둥글한 돌 속에는 수정이 숨어 있다
진달래는 아래서부터 거북이처럼 올라가고
단풍은 위에서부터 내달리듯 내려간다
설악에는 ˝유난히 아름다운 탄생의 문양들이 있어˝
쓸쓸함을 느낄 겨를이 없다. ^^
사진 방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