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9 #시라는별 56
우리가 없는 이튿날에
-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아침에는 안개가 끼고 서늘하겠습니다.
서쪽에서 비구름이 몰려와 시야가 흐려지겠습니다.
도로는 미끄럽겠습니다.
한낮에는
북쪽에서 다가오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곳에 따라 점차 날씨가 개는 곳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강한 돌풍이 불어와
천둥 번개가 칠 수도 있겠습니다.
한밤중에는
전국에 걸쳐 화창한 날씨를 보이겠습니다.
남동부 지방에서는
곳에 따라 비가 내리는 경우도 있겠습니다.
기온은 급격히 떨어지고, 기압은 오르겠습니다.
내일은
대체로 날씨가 맑겠습니다만,
여전히 살아 계신 분들에겐
우산이 유용하겠으니
외출 시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자우메 카브레의 『나는 고백한다』 3권 58장에서 다음 문장을 만났다.
˝당신에게 쓰는 이 길고도 긴 편지가 마침내 끝나 가네. 글을 더 줄일 시간이 없어 이렇게 긴 글을 남길 수밖에 없겠군.(프랑스어) 치열했던 수많은 날들을 보낸 후 드디어 휴식이 찾아왔지. 가을의 시작이야. 균형의 종착점인 아침이 밝아오고 있어. 현재는 영원히 내일이지. 나는 텔레비전을 켰어. 졸린 얼굴의 기상 캐스터가 앞으로 몇 시간 동안 극심한 기온 강하와 불규칙한 집중 호우가 예상된다는군. 심보르스카가
떠올랐어. 비록 대부분 지역에서 해를 볼 수 있겠지만 살아 있는 자들에게는 우산이 여전히 유용할 거라고 했지. 나에게는 물론 필요 없지만.˝ (3권 374쪽)
심보르스카? 올해 3월에 내가 읽은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그랬다.
『나는 고백한다』 에는 저런 식으로 불쑥불쑥 여러 작가와 문학 작품이 등장하곤 한다. 아는 이름들을 만나면 오랜 시간 못 만난 친구를 만난 듯 반갑다. 고백한다를 읽는 곁가지 묘미들 중 하나이다. 올해 쉼보르스카 시집『검은 노래』 를 읽지 않았다면 저 단락을 스쳐지나고 말았을 것이다.
인생은 새옹지마. 극심한 추위와 지독한 폭우로 세상이 얼어붙거나 물에 잠겼다가도 어느 순간 해가 쨍! 모습을 드러내며 대지를 데우거나 말린다. 날씨는 나의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무심히 흐른다. ‘우리가 없는 이튿날‘에도 해는 뜨고 안개도 끼고 비구름도 몰려오고 돌풍도 불고 천둥번개도 친다.
내일은
대체로 날씨가 맑겠습니다만,
여전히 살아 계신 분들에겐
우산이 유용하겠으니
외출 시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한 고별사로 이만한 당부를 보지 못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