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28 #시라는별 44
어떤 품앗이
- 박성우
구복리양반 돌아가셨다 그만 울어, 두말없이
한천댁과 청동댁이 구복리댁 집으로 가서 몇날 며칠 자줬다
구년 뒤, 한천양반 돌아가셨다 그만 울어, 두말없이
구복리댁과 청동댁이 한천댁 집으로 가서 몇날 며칠 자줬다
다시 십일년 뒤, 청동양반 돌아가셨다 그만 울어, 두말없이
구복리댁과 한천댁이 청동댁 집으로 가서 몇날 며칠 자줬다
연속극 켜놓고 간간이 얘기하다 자는 게 전부라고들 했다
자식새끼들 후다닥 왔다 후다닥 가는 명절 뒤 밤에도
이 별스런 품앗이는 소쩍새 울음처럼 이어지곤 하는데,
구복리댁은 울 큰어매고 청동댁은 내 친구수열이 어매고
한천댁은 울어매다
박성우 시인은 내게 <아홉 살 마음사전>을 비롯 ‘아홉 살 사전‘ 시리즈로 먼저 알게 된 작가이다. 초등학교 2학년부터 국어 교과서에는 마음 알기 단원이 등장하는데, 학년이 올라갈수록 상황과 감정의 폭이 넓어진다. ‘아홉 살 사전‘은 그런 이유로 기획된 시리즈 같다. 내 경우에는 어휘 습득이 더없이 더딘 아들 때문에 이 시리즈를 몇 권 구매했다. 나는 출판사의 상술이 대놓고 보이는 책이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데, 다행히
아들은 5학년인 지금도 이 사전 시리즈를 이따금 들춰 보며 진지하게 읽는다. 무엇보다 그림이 정말 귀엽다.
내 마음을 알고 남의 마음을 알아주는 일을 책으로 배워야 한다는 데서 나는 씁쓸함을 느꼈던 것 같다. 그러나 생각해 보면 나 역시 장르만 다를 뿐 많은 책(특히 소설)을 통해 인간이 가진 숱한 갈래의 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지 않았던가.
박성우 시집 <<자두나무 정류장>>은 마음을 따뜻하게 적시는 푸근한 시집이다. 첫 시 <바닥>부터 마지막 시 <종점>까지 휘리릭 읽고 든 첫 느낌은, 뭐 이리 착한 시집을 보았나, 시인의 눈이 사슴 눈을 닮았더니 시인이 착한가 보네였다. 글은 마음을 담는 그릇이니.
<어떤 품앗이>는 말하지 않아도 서로의 마음을 잘 아는 세 여자의 ˝별스런 품앗이˝를 노래한 시다. ‘검은 머리 파뿌리‘ 될 때까지 살자고 약속했던 두 사람 중 한 사람이 저 세상으로 먼저 가버렸다. 이 세상에 남은 한 사람이 ‘난자리‘의 공허함과 쓸쓸함에 잠못 이룰 것을 염려한 다른 두 여인이 그 자리의 공백을 채워주러 밤이면 ˝두말없이˝ 그 집에 찾아와 같이 드러누웠다. 두 사람 중 한 사람은 돌아가며 세상을 등졌고, 그때마다 세 여인은 ˝몇날 며칠˝을 같이 잤다.
위로의 말보다 더 큰 위로는 ‘같이 있어주기‘가 아닐까. ˝연속극 켜놓고 간간이 얘기하다 자는 게 전부˝라지만, 그 함께하기가 ‘내, 그 마음 안다‘를 별말없이 드러내는 정겨운 위로가 아니겠는가. ‘너는 혼자가 아니야‘를 온몸으로 전하는 뭉클한 위로가 아니겠는가.
이 시를 읽으면서 나는 세 여인의 호들갑 떨지 않는 우정이 참으로 부러웠다. 너에게 그런 사람이 있니 라고 묻기 전에 너부터 그런 사람이 되어 보자라고 생각했다.
덧붙여. 폴스타프님께 감사. 덕분에 미소를 잔뜩 짓게 하는 시집을 만났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