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키노 아이 러브 러브 EDT - 여성용 30ml
모스키노
평점 :
단종


사실 국내에서 모스키노 향수는 그리 인기 있는 품목은 아닌데.. 알라딘의 결과는 좀 뜻박이네요.

여름향수하면 뭐니뭐니해도 겐조, 쿨워터, 그린티일꺼라 생각했는데.. 흠..

하긴 워낙 싸긴 하네요...

용기도 귀엽구요.. 꼭 뿌빠 같은 느낌을 주네요.

아무튼 모스키노 향수가 넘버원을 먹었다니.. 향수의 다양화를 위해서는 긍정적인 결과네요.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anda78 2005-08-27 0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모스키노의 슬로건 칩 앤 쉭의 문제점은.. 칩해보이긴 하는데 쉭하지가 않은 거라고나 할까.. ㅎㅎㅎ (저는 모스키노 좋아해요. ^^;;)

아르미안 2005-08-27 03: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모스키노의 경우 향은 제 취향은 아니구.. 용기 디자인은 마음에 들어요. 특히 이것두 좋지만, 동그란거가 딱 제 취향이죠.. 제 몸매랑 딱 어울리는 거라고나 할까.. ㅋㅋ

panda78 2005-08-27 03: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게 뽀빠이의 올리브 모양이람서요? ㅎㅎㅎ (몸매가 아주 착하신가 보죠? 저도 그래요.ㅎㅎㅎ)

아르미안 2005-08-27 0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쩝.. 그게 그렇게 되는건가요. 하하하.. 아무래도 좋아하는 향수도 앞으로는 비버리힐즈 G처럼 늘씬한걸로 바꿔야겠네요. 하하하..
 
글로우 바이 제이로 EDT - 여성용 30ml
랑케스터
평점 :
단종


요즘 유행하는 연예인 향수 중 하나.

미국에서는 요즘 유명 연예인의 이름을 딴 향수가 여럿 나오고 있지만,

유독 국내에서는 이런 향수들이 맥을 못추고 있네요.

하긴 향수의 사용층이 상대적으로 엷다보니.. 나가는 향수 위주로만 나가게 되나 봅니다. 그러다 보니 수입하는 곳에서도 매번 팔던 것만 팔구.

그런 의미에서 제이로는 올 봄에 들여온 향수치고는 시장에서 그나마 반응이 좀 있는 편이죠.

우선 용기 자체가 목이 긴 백조 모양에다 J 이니셜을 형상화한 목걸이가 달려있는 디자인이 사람의 시선을 확 끌죠.

새로 나온 마이애미 글로우의 경우는 여기다 붉은색 위스키 색상에 색실로 목걸이를 달아놔서 더 멋지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anda78 2005-08-27 0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무래도.. 그리 고급스럽단 이미지를 못 줘서 그런 것도 있을테구.. (제이로가 아주 우아한 스타일은 아니잖아요? 저만 그렇게 생각하는지도 모르지만.. ^^;;), 향수나 그 향에 대한 이미지가 고정된다고나 할까? 그래서 그 연예인에 대한 호감이 없는 사람은 전혀 관심을 안 가지게 되기도 하고..
여러가지로 연예인 이름 딴 향수는 크게 힛트치기 힘들 것 같은데(사견일 뿐), 제이로는 은근히 잘 나가대요. ^^; 의외였어요.
(전요, 요즘 제일 써 보고 싶은데 데메테르에요. 토마토 꼭지 향이니, 섬유유연제 향이니 하는 것들.. 그런 건 자신만의 추억과도 연관지을 수도 있고 하니 ^^)
아르미안님의 페이보릿 향수는 뭘까요?

아르미안 2005-08-27 03: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사실 향수를 향으로 즐기기 보다는 용기 디자인을 더 좋아해요. 취미도 향수 미니어쳐 모으는거구요... 그래서 향은 가리지 않고 기분에 따라 쓰는 편입니다.
써본 것 중에서는 후지야마 그린, 베리 이레이지터블, 챨스 쥬르당이 좋아요.. 발렌시아가 같은 경우엔 너무 강해서 그냥 방향제처럼 간혹 방에다만 뿌려주고 있죠.. 참 국내에선 별로 안팔렸지만, 우연히 구한 가이마띠올로도 용기두 예쁘구 향도 정말 좋습니다.

panda78 2005-08-27 0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발렌시아가 미니도 모양 이쁘던데.. ^^ 그렇군요. 챨스 쥬르당이라.. 그거 백화점 가판에서 만원받고 파는 양산이랑 삼천원짜리 손수건.. 쿨럭.. (라이센스 줘서 울나라에서 망한 브랜드죠..? ^^;;)
가이 마띠올로라.. 어찌 생겼는지 궁금하네요. ^^

아르미안 2005-08-28 18: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사각형 용기구요... 가운데 하트가 약간 겸쳐서 음각되어있습니다.. 뚜껑은 금색이구요.. 무지 예쁘답니다.. 밍키 같은 향수 전문몰에는 어쩌면 있을지도 모르죠.. 아니면 gai mattiolo 라고 검색하면 나올지도 모르겠네요.,
 

이 책만큼 남자와 여자의 차이를 일목요연하게 설명해주는 책은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 같다.

연애중이거나, 연애를 하려는 사람은 물론,

결혼한 사람들에게 필독서이리라.

사실 주변에서 결혼하는 신랑, 신부에게 가장 많이 권해주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상대방의 차이를 인정하고, 보다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하기 위한 지침서로서는 최고인 것 같다.

판권이 어떻게 되었는지, 이 유명한 제목 말고도 다른 이름으로 몇군데 출판사에서 나온 것으로 알고 있는데, 역시 이 제목이 가장 좋은 것 같다.

금성, 화성 하면 왠만한 사람들은 다 알아들을 정도니까.

간혹 부부싸움을 하면서도 이 책에 실린 문구를 떠올리며, 더 쎄게 나갈지 아니면 타협할지를 순간적으로 고민하면서... 웃곤 한다.

그만큼 우리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많은 상황들에서 많은 도움이 되는 책이다.

물론 책의 주제는 아주 간단하다.

서로를 이해하라...

하지만, 상황 상황에 맞는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와 상대 이성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제를 [이성과 살아가는 법]으로 해보면 어떨까 싶기도 하다. 아니면 [이성교제 바이블] 도 좋구.. ^^*

누가 축의금 없애기 운동하면서, 이런 책처럼 함께 살아가는 법에 대한 책이나, 그와 관련된 용품 같은거 선물해주는 운동 같은 거 하면 아직도 이책은 매년 백만권 이상은 팔리지 않을까.. 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 신화를 이해하는 12가지 열쇠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이윤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그리스 로마 신화라는게 원래 서양에서 전해져오는 오래된 이야기들을 정리한거라고 보면 적절하지 않을까.

불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가 가장 대표적인 걸로 알고 있는데... 아무튼 외국 특히 서양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꼭 읽어봐야 할 책이 바로 그리스 로마 신화가 아닐까 싶다.

각종 어원에서부터 시작해서, 기호학은 물론 생활 주변의 다양한 상황에서 그리스 로마 신화의 흔적을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양인의 사고를 이해하는데도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어쩌면 오스틴파워라는 영화가 미국에선 흥행했지만, 한국에서는 기대만큼 흥행하기 어려웠던 것도 미국적 사고방식과 말로는 설명되지 않는 그들만의 유머러스함을 이해하지 못할 수밖에 없는 문화적 차이가 크지 않았을까.

마찬가지로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댄 브라운의 다빈치 코드와 같은 책을 두배로 재미있게 읽기 위해서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꼭 읽어봐야 한다고 본다.

그냥 애들 만화에나 나오는 얘기라고 생각한다면 크나큰 오해이다. 사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을 시간이 없다면 만화라도 열심히 봐야한다는게 내 생각이다. 서양의 문화가 더 좋고 동양이나 우리나라의 문화가 격이 떨어진다는 것이 아니라, 그만큼 서양 문화의 이해를 읽어서는 꼭 읽어봐야 한다는 의미이다.

최근에 나온 브래드 피트 주연의 [트로이]의 경우에도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간에는 이해의 폭과 깊이가 달라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아무튼 꼭 이 책이 아니여도 뒤져보면 어디 한구석에선가 그리스로마 신화라는 책 한권쯤은 주변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흔하고 흔하면서도 왠진 제목이 주는 무거움으로 인해 생각보다 읽지 않은 사람들이 많은 거 같은데.. 꼭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참고로 연애할 때 유식한 척 할 때 그리스 로마신화만큼 유용한 책이 또 있을까.. ^^*

지적 유희의 소산일진 모르겠지만, 비너스 하면 속옷이 생각나지만, 아프로디테하면 왠지 고상해 보이지 않는가... 사실 같은 신을 두고 각자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것 뿐이지만..

이 외에도 각종 로보트, 상점 이름, 상품 이름에 얼마나 많은 그리스와 로마의 신 이름이 들어가 있는지는 아마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 오션 전략
김위찬 외 지음, 강혜구 옮김 / 교보문고(단행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제 경우에는 유비처럼 경영하고 제갈량처럼 마케팅하라에 한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