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의 정복자 에드워드 오스본 윌슨 지음, 이한음 옮김, 최재천 감수 / 사이언스북스
"가장 큰 물음에 대한 가장 분명한 대답" 에드워드 윌슨은 사회생물학의 기틀을 세운 학자이자 <통섭>이라는 저작으로 잘 알려진 생물학계의 거장이다. 80대 중반, 학문의 황혼기에 그가 내놓은 저작 <지구의 정복자>는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란 물음으로 시작한다. 어쩌면 모든 인간의 삶이 끊임없이 묻고 답해온 '가장 큰 물음'에, 평생 '인간 조건'과 사회성, 진화를 연구해온 동시대 최고의 학자가 드디어 답을 펼쳐보인다. 물음은 다시 두 가지로 정리된다. 인간이 이룩한 고도의 사회성은 왜 존재하며, 이런 고도의 사회성을 존재하게 한 원동력의 정채가 무엇이냐는 것이다. 그는 개미, 꿀벌, 말벌 등 인간과 비슷한 수준의 사회를 만들어낸 생물과의 비교를 통해 앞선 질문에 답하려 한다.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에 대해서는 사회성 진화로, 우리는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문화, 종교, 예술, 도덕의 기원으로 설명하는데, 모두가 궁금해할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란 물음에 답하는 과정에서 학계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킨 새로운 이론을 제시한다, 혈연의 생존을 위한 이기적 본능이 아니라 공동체를 위한 이타적 집단 선택이 오늘 인간 사회를 이룬 이유이자 방향이라는 말이다. 도킨스를 비롯한 여러 학자가 논쟁에 참여했지만, 결과는 아직 모른다. 이기적 유전자의 시대는 정말 끝난 걸까? 우리는 정말 '지구의 정복자'일까? 윌슨의 분명한 대답에도 물음은 끝나지 않는다. 어쩌면 이런 과정 역시 또 하나의 대답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 과학 MD 박태근
추천사 : 인간 조건의 생물학적 기원에 대한 기념비적인 탐구.(제임스 왓슨,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거대하지만 간명한 잘문, 힘 있는 설명, 자연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 그리고 아름다운 문장.(재러드 다이아몬드, <총균쇠>)
언어, 종교, 예술, 그리고 모든 인류 문화의 기원이라는 수수께끼에 도전하는 생물학과 인문학의 지헤로운 융합.(올리버 색스,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