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product/1956/27/cover/8964450558_1.jpg)
![자세히 보기](http://www.aladin.co.kr/img/blog2/thisweek/book_go_2.gif) ![장바구니에 담기](http://www.aladin.co.kr/img/blog2/thisweek/basket_go_2.gif) |
왜 마르크스가 옳았는가 테리 이글턴 지음, 황정아 옮김 / 길
"다시 마르크스다, 역시 테리 이글턴이다" 최근 마르크스를 해설하고 재조명하는 책들이 꾸준하다. <마르크스와 함께 A학점을>, <마르크스가 살아있다면>, <마르크스 사용설명서>, <마르크스가 내게 아프냐고 물었다>, <청년이여, 마르크스를 읽자> 등등. 관점이나 접근 방식이 다채롭고 주요 독자 대상도 2, 30대로 낮아졌다. 2008년 경제위기 이후 유럽에서도 <공산당 선언>의 판매량이 급증하는 등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한다. 테리 이글턴의 신작 <왜 마르크스가 옳았는가>는 이런 흐름을 다시 확인하는 동시에, 본격적으로 마르크스주의에 다시 시동을 거는 출발점이라 하겠다.
대표적인 마르크스주의 비평가 테리 이글턴은 마르크스만큼 곡해된 사상가는 없었다며, 그에 대한 열 가지 표준 비판(혹은 오해)에 대해 변론을 펼친다. 소극적으로 방어하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상대가 비판의 근거로 삼은 내용들을 받아들이면 결국 자본주의를 비판하게 되거나 오히려 마르크스를 옹호하게 되는 웃지 못할 상황들을 제시하며 마르크스가 진정 꿈꾸었던 세상이 무엇인지 선명하게 그려낸다. 한때 마르크스를 읽었으나 지금은 자본에 귀의한 선배들, 마르크스의 이름 정도는 들었으나 직접 읽은 적은 없는 동료들, 태어나자마자 자본의, 자본에 의한, 자본을 위한 삶에 놓여진 후배들 모두에게 권하고 싶다. 게다가 본문 곳곳에 숨겨진 시니컬한 비아냥(?)과 키득키득 웃게 만드는 유머는 마르크스를 웃으며 읽을 수 있겠다는 기대감마저 전해준다. 최고의 사상가가 드디어 최고의 전파자를 만났다. - 인문 MD 박태근
* 마르크스에 대한 10가지 오해: 1. 마르크스주의는 끝났다? 2. 마르크스주의는 이론적으로만 괜찮다? 3. 마르크스주의는 결정론이다? 4. 마르크스주의는 유토피아를 꿈꾼다? 5. 마르크스주의는 만사를 경제로 환원한다? 6. 마르크스에게 세계는 물질 덩어리였다? 7. 마르크스주의는 이미 사라진 노동계급에만 집착한다? 8. 마르크스주의자들은 폭력적인 정치 행동을 선호한다? 9. 마르크스주의는 전권을 가진 국가를 믿는다? 10. 마르크스주의는 최근의 급진적 운동에 기여한 바가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