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 댄 애리얼리 지음 / 청림출판
"우리는 왜 부정행위에 끌리는가" <상식 밖의 경제학>의 저자 댄 애리얼리 교수의 신작이다. 행동경제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잘 알려진 저자가 이번에 눈을 돌린 주제는 '도덕성'이다. 누구나 일상에서 자잘한 부정행위를 저지른다. 상사에게 보고를 부풀리거나 정답을 훔쳐 보거나 홀에 들어가지 않은 골프공을 남들이 보지 않을 때 손으로 집어넣어버리기도 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자신은 그럭저럭 착한 사람이라 믿으며 합리화한다. 이 책은 대다수가 가진 이 탁월한 도덕적 합리화 능력을 다양한 실험 사례와 연구 자료들로 보여준다. 우리의 정직하지 못한, 비윤리적인, 그러나 어디까지나 사소하게 시작된 행동들이 인간관계나 비즈니스, 정치, 사회 등에 어떻게 나타나고 또 어떻게 스스로에게 칼이 되어 돌아오는지 살핀다.
책은 저자의 전작이 그러했듯이 혁신적이고도 흥미로운 실험과 현상을 바라보는 놀라운 통찰력이 돋보인다. 윤리와 비윤리를 가르는 비이성적 요인들에 대한 사유를 인지심리학, 행동경제학, 신경경제학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펼쳐 보인다. 무엇이 우리를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으로 만드는지, 인간의 '부정'과 '믿음'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책은 '이성적인 정답' 대신 그럼에도 더 나은 선택과 미래가 여전히 가능하다는 '비이성적 이해'를 이야기한다. - 경영 MD 채선욱
책속에서 : 하지만 우리는 사람이다. 우리는 까치발을 하고 팔을 흔들어대거나 털을 곧추세우거나 혹은 낮은 목소리로 으르렁거리는 것보다 훨씬 더 정교하게 자기 자신을 과장하는 여러가지 수단을 갖고 있다. 우리는 거짓말을 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그것도 남에게뿐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도 거짓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자기기만self-deception은 자기 자신에게 하는 여러 가지 이야기를 믿게 해주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자기기만이 성공적으로 이뤄질수록 스스로 어떤 일에서 꽁무니를 빼거나, 자신의 본모습이 자신이 드러내고 싶어 하는 모습보다 형편없다는 사실이 밝혀질 가능성은 그만큼 줄어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