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product/1727/0/cover/8958624957_1.jpg)
![자세히 보기](http://www.aladin.co.kr/img/blog2/thisweek/book_go_2.gif) ![장바구니에 담기](http://www.aladin.co.kr/img/blog2/thisweek/basket_go_2.gif) |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1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지음 / 휴머니스트
"평화와 화해로 가는 첫 걸음 그리고 긴 호흡" 최근 강제징용 배상을 둘러싼 대법원의 판결이 논란이다. 일본 기업이 배상을 해야 한다는 판결 내용도 그렇지만 일본의 수용 여부와 실효성 문제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한편 가수 김장훈과 한국홍보전문가 서경덕은 뉴욕타임스에 위안부 관련 광고를 실었다. 그리고 가장 덜 알려졌지만 올해부터 고등학교에서 ‘동아시아사’ 과목이 개설되었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둘러싼 몇몇 풍경은 여전히와 아직도, 어쩌면과 그래도 사이 어디쯤에서 수십 년째 헤매는 모양새다. 한, 중, 일 세 나라의 역사학자들은 이런 답보 상태를 넘어 동아시아 삼국의 평화와 화해를 바라는 마음으로 역사책 쓰기에 나섰다. 첫 성과물이 <미래를 여는 역사>이고 이번 책이 두 번째 결실이다. 전작이 근현대 시기별 역사를 각국의 입장에서 정리했다면, 이번에는 관계사에 집중하여 세 나라 각각, 동아시아, 세계로 시선을 넓혀가며 ‘대변’이 아닌 ‘대화’의 수준에 이르렀다. 또한 제국주의 등 국가 단위의 이데올로기에 머물렀던 한계를 넘어 대중문화 등 민중의 삶을 적극적으로 드러냈다. 이런 역사책을 쓰는 과정 자체가 세 나라의 언어와 문화, 학문이 교류하는 장이었다면, 이를 읽는 일은 평화와 화해로 가는 새로운 시도라 하겠다. 역사가 그러하듯, 첫 걸음을 떼는 일은 어렵지만 긴 호흡으로 이어질 거라 믿는다. - 인문 MD 박태근
추천의 글 : 근현대의 역사는 국경을 넘어 진행되었다. 우리나라가 왜 식민지로 전락했는지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식민지로, 반식민지로, 제국으로 운명이 갈린 한•중•일 3국이 어떠한 관계를 맺고 하나의 역사를 만들어왔는지 파악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세 나라 국경을 넘어 하나의 역사를 들려주는 이 책이 참으로 반갑다.(한홍구, 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 한국의 근현대사만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동아시아로 시선을 확장하는 순간 한•중•일 세 나라가 얼마나 밀접하고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왔는지를 새롭게 깨닫게 될 것이다. 3국의 역사학자가 6년간 함께 집필한 이 책은 세 나라의 관계사를 드러내기 위해 노력한 흔적으로 가득하다. 서로의 차이를 깨닫고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공동의 역사 인식이 싹튼다고 할 때, 이 책은 동아시아 공동체를 모색하는 데 좋은 반려자가 될 것이다.(서중석,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