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의 사생활
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 지음 / 지식채널
"내 아이의 과거, 현재, 미래를 잇는 이해와 감동 보고서"
일 년간의 준비 끝에 화제를 모으며 방송된 EBS 다큐멘터리 ‘아이의 사생활’을 바탕으로 엮은 책이다. 어른들이 알지 못하는 아이들의 성격과 지능, 남녀의 차이, 도덕성 등 포괄적인 주제를 과학적으로 분석한다. 실험을 기반으로 제시된 다양한 시각의 자료들을 접하다 보면 보다 아이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된다. 인간 내면에 대한 탐구와 이해가 밑바탕 된 자녀교육의 해법을 제시함으로써 부모와 아이의 행복 찾기는 물론 인문학적 소양 쌓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됐다. 교육학자 문용린, 심리학자 곽금주 등 국내 유명 연구자와 하워드 가드너, 존 매닝 등 세계적인 석학 70여 명이 참여해 전문성과 신뢰도를 더했다. - 가정 MD 조현정
EBS ‘아이의 사생활’의 수상 내역 :
2009년 방송통신위원회 방송 대상(방송통신위원회 주최)
제4회 학부모가 뽑은 교육 브랜드 대상(여성신문사 주최)
제21회 한국PD대상 TV교양부문(한국PD연합회 주최)
제12회 YWCA가 뽑은 좋은 TV프로그램상(대한YWCA연합회 주최)
2008년 2월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방송통신심의위원회 주최)
제10회 남녀평등상(여성부 주최)
|
|

 |
도시 읽는 CEO
김진애 지음 / 21세기북스
"세계적 도시에서 찾은 가장 인간적인 상상력"
인간은 기껏해야 100년을 살지만, 도시는 흥망성쇠를 겪으며 5000년 이상을 살아왔으며,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삶에 영향을 주었다. 그래서 도시를 읽으면 인간이 보인다고 한다. 저자는 도시에서 인간을 발견하는 과정을 ‘호기심’, ‘성찰하며 선택하기’, ‘푹 빠져 보는 것’, ‘상상하는 것’ 등 네 가지 단계를 통해 설명한다. 우리들에게 도시란 과연 무엇일까? 이 책은 인간이 창조한 가장 복잡한 대상이자 최고의 발명품인 도시에서 인간을 발견하고, 스스로를 성장시키며, 인간세계의 경영을 배우고, 마지막으로 인간세계의 운명을 깨닫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 경영 MD 홍성원
저자 '김진애'는? : 서울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MIT에서 건축 석사와 도시계획 박사학위를 받았다. 산본 신도시, 인사동 길을 설계했고, 참여정부의 대통령자문 건설기술, 건축문화선진화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건축기본법 제정과 건축도시연구원 설립을 주도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추친위원회, 광복60년기념사업위원회 미래와 세계 분과위원장, 대통령자문 세계화추진위원회 등의 적극적인 공공 활동을 해왔다. <타임>지 선정 '차세대 리더 100인'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사람, 사회, 건축, 도시'를 주제로 20여 권의 책을 저술했다.)
|
|

 |
여학생이라면 꼭 배워야 할 힐러리 파워
데니스 에이브람스 지음 / 명진출판
"스스로 정해 놓은 모든 한계의 선을 넘어설 준비를 해야 한다."
청소년을 위한 베스트 멘토링 <바보처럼 공부하고 천재처럼 꿈꿔라> <오바마 이야기>에 이어 <힐러리 파워>가 출간되었다. 이번 새 책은 세계 여성들의 롤모델 힐러리 클린턴의 인생에 포커스를 맞춘다. 힐러리의 어린 시절부터 빌 클린턴과의 사랑, 미국 최초 여성 대통령 후보로서, 외교장관으로서의 활약까지 힐러리의 인생이야기를 다양하게 펼쳐낸다. 꿈과 사랑 사이에서의 갈등, 사회무대에서의 성공과 실패 등의 과정을 통해 힐러리의 파워 리더십, 여성리더로서 갖춰야 할 덕목을 배우게 된다. 책 속 부록으로 힐러리의 최근 아시아 순방 때 방문했던 이화여대와 일본 도쿄대에서의 연설문을 영한 대역문을 수록했다. - 청소년 MD 송진경
추천 멘토 시리즈 :
<바보처럼 공부하고 천재처럼 꿈꿔라>, <오바마 이야기>, <세계를 가슴에 품어라>
.
|
|

 |
나와 마릴린
이지민 지음 / 그책
"<모던보이> 이지민의 1950년대 퓨전시대극"
<모던보이>(혹은 <망하거나 죽지 않고 살 수 있겠니>)의 작가 이지민의 세 번째 장편소설. 1954년 2월, 전란 이후 폐허가 된 서울 한복판에서 전쟁보다 더한 열기를 뿜어내며 악착같이 살아가는 사람들 속에 깡마른 몸, 기이하다 못해 우스꽝스럽기까지 한 미군부대 타이피스트 앨리스와 주한 미군의 위문공연차 한국에 오게 된 마릴린 먼로의 이야기를 담은 퓨전시대극이다. 비슷한 구석이라곤 전혀 없을 것 같은 두 여자가 함께 하는 3박 4일의 여정. 전쟁의 포화 속에 각자의 사정을 지닌 채 살았던 두 여인은 어떤 경험을 하게 될까. - 문학 MD 김재욱
작가의 말 : 이 소설은 두 장의 사진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한 장은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과 북한 포로 사이에서 통역을 하던 여자 통역사의 사진이고, 또 한 장은 전쟁 직후 미군 위문공연을 왔던 마릴린 먼로의 사진이다. 6.25를 배경으로 한, 그러나 완전히 다른 이 두 장의 사진을 보면서 나는 똑같은 질문을 떠올렸다. "이렇게 젊고, 아름답고, 꿈 많던 여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