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와 아들은 친밀하고 비정상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요하나는 1957년 결핵이 재발하여 세상을 떴다.

머리카락이 빠지기 시작하자 아예 삭발을 했는데, 머리통은 완벽한 달걀꼴이었다. 사진 속의 그는 미셸 푸코와 일란성 쌍둥이처럼 보인다.

유능한 권투 선수였고 베토벤의 후기 4중주곡과 바흐에 열광했으며 자연을 사랑했고 "태양과 생명으로 가득한, 자그맣고 나이 많은 올리브나무"를 존경했지만, 수학을 비롯한 이 세상 무엇보다 더 몰두한 것은 글쓰기였다.

그로텐디크는 자신이 발견한 개념에 대한 르 모 쥐스트(딱 맞아떨어지는 낱말)를 고르는 일에서 재미를 느꼈다. 이것은 개념을 길들이고 친숙하게 만들어 온전히 파악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이를테면 그의에탈 개념은 썰물의 잔잔하고 온순한 파도, 거울처럼 고요한 바다, 끝까지 펼친 날개의 표면, 갓난아기를 감싼 흰 배내옷을 연상시킨다.

그의 친구 이브 라드겔레리는 이렇게 회상한다. "천재와 함께 연구하는 일은 매혹적이었다. 이 단어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그로텐디크는 다른 어떤 말로도 묘사할 수 없다. 그는 매혹적이면서도 두려웠는데, 그것은 이 남자가 어떤 인간과도 닮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로텐디크가 불러일으킨 수학적 풍경은 아무리 급진적이었을지언정 인위적이라는 인상은 전혀 들지 않았다. 수학자의 훈련된 눈으로 보면 이 풍경은 마치 자연환경처럼 모습을 드러냈다.

그로텐디크는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기보다는 풍경이 스스로 자라고 발전하기를 바랐다. 그 결과는 마치 각각의 개념이 제 나름의 생명 충동을 따라 싹을 틔우고 열매를 맺는 듯한 유기적 아름다움을 발산했다.

그가 20년간 수학계를 어찌나 확고하게 지배했던지 또다른 명민한 필즈상 수상자 르네 톰은 그로텐디크의 압도적으로 우월한 능력에 "주눅이 들었다"고 털어놓았다.

"나를 고무하는 것은 야심이나 권력욕이 아니다. 거대하면서도 매우 섬세한 것을 예리하게 지각하는 것이다."

지구를 파괴할 사람은 정치인이 아니라 "몽유병자처럼 종말을 향해 행진하"는 그들 같은 과학자라고 말했다.

인류가 심장의 심장에 도달하면 무슨 짓을 저지르게 될까?

그로텐디크는 "수학을 하는 것은 사랑을 나누는 것과 같다"고 썼다.

Le reveur n’est autre que Dieu.(꿈꾸는 자는 다름 아닌 하느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