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시카고에서 다녔던 고등학교에는 칼 W. 클래더Carl W. Clader라는 훌륭한화학 선생님이 있었다. 당시 선생님은 서른다섯 살이었다. 선생님의 화학 실험실은 4년 동안 나의 거실과 다름없었다. 당시에는 안전 규정이 없었다. 작업대가운데 배수구가 있었는데, 우리는 고농도 황산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위험한화학물질을 그곳에 버렸다. 우리는 폭발 화합물도 만들 수 있었다. 그렇게 나는화학에 진짜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다. 그때의 경험이 없었다면 과학자가 될 결심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과학자가 직업이 될 수 있다는 걸 당시에는 몰랐다. - P131

부모님은 두 분 모두 미국에서 태어난 동유럽 이민자의 자녀들이다. 두분은 끊임없이 교육의 의미를 강조했다. - P131

보이스카우트에는 승급제가 있는데, 가장 높은 단계인 ‘이글 스카우트‘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배지 21개를 따야 한다. 사람들은 활동의 영역을 선택할 수있었다. 예를 들어 매듭을 묶는 수백 가지 방법이나 물건들을 만드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보이스카우트의 활동은 대단히 능동적인 교육이었고, 이후 나의교육관에 큰 영향을 주었다. - P132

나는 교육에서 아이들이 단순 사실만 암기하는 게 아니라 스스로 해결해야 할어떤 도전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교육 체계 안에서는 개선할 수 있는 일들이 많이 있다.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무언가를 하고, 스스로할 일을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 - P132

‘프리 메드 학생‘ 첫해에 나는 하버드에서 많은과학 수업을 신청했고, 일주일 중 서너 번은 실험실에서 오후를 보냈다. 적지않은 시간이었고 엄청 지루한 시간이었다. 왜냐하면 수업에서는 지침만 따라야 했기 때문이다. 마치 요리법을 배우는 것 같았다. 그러나 과학의 진행 과정은 요리와는 전혀 다르다. 해마다 우리가 배분받던 독립 프로젝트들은 정반대였다. 이 놀라운 프로젝트들은 우리에게 동기를 유발했다. 이 프로젝트들은 행동으로 배우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 이것이 내 삶의 근본적인 깨달음이었다. 내는 이 프로젝트들 속에서 스스로를 시험했고, 많은 걸 배웠다. 당시 우리를 가르치던 선생님들의 비전은 스스로 노력하게 하는 것이었다. 도움이 필요하면우리는 도움을 받았다. 그렇지만 선생님들은 완성된 해답을 주지 않았고, 유일한 정답도 존재하지 않았다. - P132

삶에서 실패를 통해 가장 많이 배웠다. 나는 실패를 자주 경험했다. 과학자 경력에서 가장 중요한 실패 경험은 1965년 하버드 박사논문 심사에서 떨어진 일이다. 그 실패는 대단히 힘들었다. 당시 나에게는 18개월 된 아기가 있었고, 아내와 나는 이미 집 계약을 해지한 후 박사후 과정을 시작하려고 했던 제네바행비행기표를 구매했었다. 나의 박사논문에 대해 짧은 토론을 마친 후 심사위원들은 내 논문이 만족스럽지 않으며, 6개월 더 하버드에 머물러야 한다고 말했다. 이 경험을 통해 나는 과학에서는 좋은 전략이 전부라는 것을 배웠다. - P133

누구나 이런 문제를 고민한다. 이것이 교육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자신이 잘하는 분야와 즐거움을 주는 일을 찾고, 그 능력을 이용할 수 있는 직업을 찾는일, 대학도 다르지 않다. 다른 사람들이 이미 했던 것을 암기하고 연습하는 일만으로는 누구도 성공하지 못한다. 과학은 그림 그리기처럼 창조적인 과감한시도다. 나는 모든 박사과정생에게 자신을 직접 시험해 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 P133

나의 재능은 큰 전체를 보는 능력이다. 그래서 교과서를 집필했다. 나는 문제의해답을 제시하는 데 창조적이어서 다양한 방식의 해답을 제시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해답을 제시하는 일은 삶에 유용하다. 비단 과학뿐 아니라 삶의 다른영역도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적으로 일하는 법을 배웠다면일상에서도 도움이 된다. 왜냐하면 모든 것에도 대안은 있고, 사람들은 전략이필요하기 때문이다. - P133

중요한 것은 유일하고 독특한 영역을 찾는 일이었나?
유일하고 독특할 뿐 아니라 충분히 의미가 있는 영역이어야 했다. 남들과 같은일을 하는 건 재미도 없고 인류에게 아무것도 가져다주지 않는다. 인간은 오직한 번 산다. 그 때문에 차이도 만들 수 있다. - P134

나는 늘 너무 늦게 저녁 식사를 하러 집에 갔고, 일주일에 최소한 80시간은 일했다. 만약 과학이 한 사람을 정말로 매료시킨다면, 과학은 믿을 수 없을 만큼 즐거운 일이 될 것이다. 많은 주제가 나를 사로잡았다. 이것이 첫 번째 나를 매료시킨 주제였고, 그 후 나는 다른 주제에 몰두했다. - P135

나는 우리 아이들이 학교에서 무엇을 하는지 보게 되었다. 아이들의 생물 교과서를 보았는데, 그 책은 모든 것을 조금씩 포함하는 단어와 개념들로 가득 차있었다. 중급 학교의 생물 교과서는 내가 그때까지 보았던 가장 어려운 책이었다. - P135

이 과학 지식의 증가에 인류의 모든 이익이 달려 있다. - P138

당신 분야에서 또 바꾸고 싶은 것이 있는가?
과학 교육은 지금과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은 문제를 어떻게 푸는지를 배워야 한다. 과학 교육은 아이들에게 도전을 주어야 하고, 아이들은 해답에 도달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예를 들어 보자. 유치원에서 보육교사는 모든 아이에게 흰 양말을 신기고 씨앗이 뿌려져 있는 유치원 흙마당을 돌아다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이들은 다시 실내 - P138

로 들어와 양말에 묻은 오물을 털어낸다. 이때 다섯 살 아이들은 그 오물 가운데 어느 것이 씨앗이고 어느 것이 흙인지를 찾아내야 한다. 이구별을 잘하면 아이들은 보육교사의 생각이아닌 자신의 생각을 따라가게 된다. - P139

세상에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는가?
모든 사람이 다음 세대를 위해 세상을 더 낫게 만드는 데 작은 기여라도 할 때그리고 그럴 때만 인류는 생존하게 될 것이다. - P1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