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분은 어떤 교육을 받았나?
당시 중국의 교육 시스템은 잘 갖추어지지 않았다. 특히 농촌 지역은 더 그랬다. 아버지는 초등학교를 다녔지만 형제 중 맏이였던 탓에 중등학교에 진학할수 없었다. 어머니는 문맹이었다. - P111

우리의 임무는 빙하에서 나오는 장강의 원류를찾는 것이었다. 우리는 장강의 첫 번째 물방울을 나르는 빙하를 정확하게 찾으려고 노력했다. 빙원의 아름다움과 숨이 멎을 듯한 풍경은 큰 인상을 남겼고, 나는 그 자리에서 빙하학을 공부하기로 결정했다. - P112

1978년 나의 첫 번째 방문 이후 우리는 거의 40년째 티베트 고원지대에서 일하고 있다. 이 시기 동안기후변화가 빙하, 호수, 강, 그리고 전체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제3극 지역에서 지구 온난화는 지구 전체 평균보다 두 배 정도강한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로 빙하가 붕괴하면서 거리, 다리, 마을에 해를 입히고 사람의 생명도 희생된다. 얼음 눈사태의 속도는 시속 100km에 이른다.
근처에 있는 사람들 모두는 이 눈사태에 속수무책이다. 예를 들어 3년 전 티베트 고원지대에서 빙하가 깨지면서 많은 사람이 얼음에 묻혔다. - P114

중국에 있는 빙하는 언제 사라질 것으로 예측하는가?
몇몇 작은 빙하들은 곧 사라질 테지만, 큰 빙하들은 상당히 오랫동안 존재할것이다. 우리의 진단에 따르면, 2050년 또는 2060년에 전환점이 온다. 그 이후 빙하는 점점 줄어들 것이다. 더 많은 빙하가 녹고 강물의 수위는 높아질 것이다. 2090년에도 빙하는 여전히 존재하겠지만 고원지대의 아주 작은 일부만덮고 있을 것이다. - P115

세상에 보내는 당신의 메시지는 무엇인가?
세계는 변한다. 우리는 이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하지만 언제나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위기는 언제나 기회와 함께 온다. - P115

최소 하루 다섯 시간은자려고 노력한다. 그 정도면 나는 생생하다. 여섯 시간을 자면 더 많은 에너지가 생긴다. - P116

실제로 많은 이론물리학자들이 변호사 가정에서 나온다. 사고 과정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서양법은 과학과 마찬가지로 종교적 원칙에 기초한다. 진리가존재하고 이 진리가 갈등 속에서 드러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서양 문화의 한특징이다. 법정에서는 진리를 확정하기 위해 논쟁한다. 과학 시스템도 정확히이렇게 작동한다. 과학자는 자신의 생각을 공개하고, 이 생각 중 진리가 아닌것을 솎아내기 위해 서로 비판하고 방어한다. - P119

"고등학생 때 나는 폭탄을 만들었습니다. 오늘날 이런 일을 고백한다면 테러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을 겁니다. 그런데 혹시여러분 중에도 학창 시절 폭탄을 다루어 본 분이 있지 않나요?" 청중 모두가손을 들었다! - P120

군대는 슬픈 공간이었다. 핵전쟁의발발은 끔찍한 일이다. - P121

사람들은 최고의 사람을 찾고, 최고의 사람은 종종 외국에서 온다. 그러나 인종과 비자 문제는 늘 존재한다. - P121

동아시아에 있는 내 친구들은 과학의 중심이 아시아로 옮겨지기를 바라겠지만 이 점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 P122

아시아 사람들은 종종 서구에서 이미 증명된 사업모델을 기초로 회사를 만든다. 모범을 연구하고 배우며 몇 가지 적응 사례를만든다. 이런 방식으로 아시아인들은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런모습 자체가 중국에는 과학과 경제 사이의 다리가 여전히 대단히 약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그 밖에도 아시아에서는 과학과 기술이 서로 얽혀 있어 기술적 지식이 누구에게 속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 P123

바로 과학은 모임과 위원회의 지배를 받는 사회적 활동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보통이런 위원회는 경제와 부정한 동맹을 맺고 있다. - P123

무언가를 창조한다면, 기억할 수있도록 단순하게 만들어야 한다. 당시 나는 서른둘이었고, 이 방정식이 분명히나를 생존하게 해줄 거라고 믿었다. - P124

수상자에게는 노벨상이 아름다운 자아도취지만 배우자에게는 그렇지 않다. 그리고 나의 우선순위도 그렇다. 나는 나의 과학적 명성보다 가족을 더 많이 돌본다. 노벨상을 받은 후 생기는가장 큰 문제는 그다음에 무슨 연구를 할 것인가다. - P124

아내는 천사다. 아내는 내가 땅에 발을 붙이게 해주고, 내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너무 많은 시간을 컴퓨터 앞에서 보내면서 내 안으로만 들어가려는 걸 막아 준다. 나는 아내의 조언을 따르려고 노력한다. 그렇지 않으면 혼이 나기 때문이다. - P125

내 경험에 따르면 돈이 관계되면 인간들은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이 왜 좋은지, 그 이유를 곧잘 만들어 낸다. 에너지에서도 중요한 건 돈이다. 나는 숫자를 좋아한다. 이 혼란스러운 정치적 논쟁에 질서를 가져오는 한 가지 방법은 개념 대신 수치를 놓고 토론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나는 오해를 받고 있다. 내 책의 편집자는 지구의 나이를 다룬 장을 삭제했고, 이를 별도로 출판했다. 특히 우파 정당들이 나의 주장을 왜곡해 한 노벨상 수상자가 기후변화를 믿지 않는다는 것을보여 주려고 한다. 실제로 나는 기후변화를 크게 걱정한다. 바로 그 걱정 때문에 주요 연구 주제를 에너지로 바꾸었다. - P125

돈이 세계를 지배한다. 가난한 사람들은 가난에 머물고 싶어 하지 않는다. 즉 그들은 더 많은 에너지를 쓰고 싶어 한다. 대기를 파괴하지 않고도 더 많은 에너지를 쓸 수 있는 방법 찾기. 이것이 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기술의 핵심 질문이다. - P126

자연과학 공부를 고민하는 젊은이에게 어떤 말을 해주겠는가?
자연과학을 잘하는 사람은 이미 그렇게 태어난다. 그들은 자신들을 빛나게 해주는 타고난 재능의 혼합물을 가지고 있다. 과학을 좋아하고 잘하기 때문에 그들은 과학자가 된다. 노벨상을 받은 나의 한 동료는 스탠퍼드를 개선하기 위해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더 많은 너드를 허락하라." 다방면에 능한 학생들은 충분히 똑똑해 경제가 과학보다 가치 있다는 걸알아차리는 경우가 많다. 발달이 조금 느려서 이 사실을 아직 인지하지 못한학생들이 스탠퍼드 연구실들을 위해 필요하다. 결국 사람은 진정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하고,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 P126

과학은 여전히 남성들이 지배하는 영역처럼 보인다.
성별에 따른 차별은 과학 전반에 퍼져 있고, 물리학이 특히 그렇다. 성차별은어찌 되었든 문화의 일부다. 우리는 여성들이 위로 쉽게 오를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여성들도 자신들이 남성들의 영역을 정복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여야 한다. 우리는 여성들의 지위 향상을 돕고 있지만, 사실 이 일은 나라 전체의문화를 바꾸려는 것과 같다. 기본적으로 완전한 변화는 불가능하다. 내 생각에는 문화의 변화는 싸움이 필요하지만, 여성들은 전사로 인지되고 싶어 하지 않는다. 타고난 본성이 그렇다. - P127

육체가 고장 나면 모든 이론은 무의미해진다. 사람들은 계속 살아가야 하고, 생산적인 과제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이렇게 큰 패배도 사람을 강하게 만든다. 그 사람을 죽이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필요하면 사람은 강해진다. - P1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