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을 통해 세계를 바꾸고 싶은 사람은 국경과 분야를 넘어 다른 사람들보다더 넓게 볼 줄 알아야 한다. 한편 우리 사회는 우리가 사는 세상이 어떻게 변하고, 우리는 어떻게 결속하며, 기후변화나 코로나 팬데믹 같은 위기 속에 흔들리는 것은 무엇인지 이해하고 싶어 한다. 기후변화와 코로나라는 두 가지 도전은과학 연구가 사회 현상의 중심으로 더욱더 강하게 자리 잡아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 P12

새로운 인식이란 과학 법칙처럼 작지만 중요한 발전이 아니라, 새로운 작업 분야를 정의하고 세계를 바꾸는 일회적이며 근본적인 발견을 의미한다. 이런 발견들은 대부분 우연히 일어나지만 이 우연은 준비된 사람, 그리고 면밀히 관찰하는 사람에게 떨어진다(준비된 정신the prepared mind). - P13

에 대중은 과학의 의미를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대중이 과학의 의미를 배우지못할 때 과학에서 나오는 조언은 신뢰받지 못하며, 그 결과 우리 종의 지속적인 미래도 보장되지 않을 것이다. 세 걸음 앞으로 갔다가 두 걸음 뒤로 가는 에히터나흐의 춤Die Echternacher Springprozession은 사회적 과정을 위한 해법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사람들은 보통 빠르고 명쾌한 해답을 원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 제기되는 복잡한 질문 상황에서 과학적 변환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인내와긴 호흡이 필요하다. - P13

다음 세대가 준비하고 있다. - P15

훨씬 긴 단어들의 집합을 거의 순식간에 한꺼번에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나는어떤 감정을 느낀다. 감정은 기억의 일부이며, 기억은 감정의 일부다. 아무런감정도 불러오지 않는 것을 기억으로 유지할 이유가 없다. 이처럼 단어들의 묶음이 나의 기억을 도와준다. - P18

광유전학은 발견을 위한 하나의 도구다. 우리는 이 도구로 뇌가 어떻게 일하는지 연구할 수 있다. 우리는 뇌 안에서 어떤 세포가 무슨 일을 하는지, 모순은 어떻게 해소되는지, 그리고 긍정과 부정의 감정이 뇌 어디에 자리하는지 찾아낸다. 우리는 이 단백질의 결정 구조를 매우 높은 해상도로 시각화했기 때문에 모든 원자를 각자의 자리에서 볼 수 있다.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질문을 이제 제기할 수 있다. 이 세포는 거기에서 무엇을 하는가? 세포의 종류는 무엇인가? 이세포는 다른 세포들과 어떻게 말하는가? 이 세포는 마지막 행동이 일어날 때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P19

이야기는 왜 그렇게 중요한가?
왜냐하면 인간은 이야기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배우기 때문이다. - P21

아내는 과학자로 대단히 성공했다. 의학 박사학위를 두 개 가지고 있고, 대학에서 탁월한 연구소를 이끌고 있다. 아내 또한 전 세계를 여행한다. 당연히 무언가 잘못되는 일은 늘 있고, 우리에게도 패배나 재앙 같은 일이 생기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일이 잘못될 때 이를 채워 주는 다른 것이 있다. - P22

어떤 경우에도 모든 것을 조화롭게 해결해 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내가 보기에 아내의 경험이 그 가능성을 아주 분명하게 보여 준다. 인생의 동반자가 바라고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파악해야 한다. 부부는 서로에게 적응해야 한다. 물론 부부마다 적용되는 규칙은 서로 다르다. 각자에게 맞는규칙을 만들기 위해서는 진지한 대화와 좋은 계획이 필요하다. - P23

삶이 무언가의미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곳으로 당신을 데려간다면, 그것은 특권이다. 그 특권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 P24

적절한 휴식이 중요하다. 너무 열심히 일하지 말고, 규칙적으로 스스로 새롭게조정하는 게 필요하다. 매일 근본적인 숙고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 비상 사태는언제나 있지만 매일 특정 시간을, 최소 한 시간은 비워 두고, 일의 근본을 사색하고 규명하는 시간을 가져라. 그것은 목숨만큼 중요하다. - P25

많은 과학자가 청소년 시절에 사랑받는 아이가 아니었다. - P26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해서는 결국 많은 일을 해내야 한다. - P31

우리는 남녀 비율이 어느 정도 같고, 다양한 국적으로 구성된 혼합된 팀을 만들면서 아주 좋은 경험을 했다. 다양한 생활환경과 조건의 결합이 성공으로 이끌어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P33

화학자는 잡종이다. 논리적 사고와 공간을 상상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3차원공간에서 회전하는 분자를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 화학자는 박사후 연구까지마무리하면서 자신의 실험 작업을 끝마친다. - P35

지금은 다행히 가족을 꾸렸고, 삶은 더 풍성해졌다. 내가 그 일을 해냈다는 게 조금은 자랑스럽기도 하다. - P37

너무 일찍 결정할 필요는 없다. 열심히 일하면 아주 많은 것을성취할 수 있음을 나는 MIT에서 배웠다. 프랑켄지역 출신들은 아마 잘 알 것이다. 큰 연못에 있어야 큰 물고기와 함께 헤엄칠 수 있다. - P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